세계 문학 위주의 편식 독서를 좀 벗어난 4월이었다. 역사책들을 보기 시작했고, 미국 초등학생들이 읽는 책들도 - 중고로 - 구입해서 보기시작했다. 소크라테스도 유대인의 탈무드도 모두 후세의 교육을 최고 가치로 둔다고 위로하며.
















"찰리와 초콜릿 공장"의 로알드 달. 정말 시대의 이야기꾼 같다! 이렇게 재미있을 수가. 그리고 각 단편들이 꼬집는 인간의 욕망과 그것으로 단죄 받음은 흥미진진하고 재미있게 서사 되었지만 동시에 등줄기에 굵은 땀이 흐르게한다.

















"소년이 온다"에 이은 두번째 한강 작가의 단편집 채식주의자. 역시 아주 강렬하다. 세 편의 단편이 모두 연결되어있다. 화자가 달라지는 것이다. 예전부터 좋아했던 한강작가가 세계 3대 문학상 중의 하나인 부커상 후보에 올라 더 없이 기쁘다.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2A, 미국 초등학교 2학년 수준. Newbery Honor Book, Lewis Carroll Shelf Award Book 답다. 글과 그림이 함께 어우러져 춤을 추는 것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어부들의 용어에 맞춰 맛깔나게 이인규님이 번역한 문동 노인과 바다. 세계 문학은 문동으로 나오면 다시보게 만든다.











결혼하면 사유재산을 못 가지고 불편한 드레스만 입고 다녀야했던 미국의 여성들이 자신의 권리를 찾고 투표권까지 가지게되는 여성 운동을 서사한 책이다. 미국 5학년 정도가 되면 읽는다는 책. 우리 나라에도 이런 책들이 많았으면 좋겠다.
















엄마가 아이에게 재미있게 이야기해주는 세계사. 식탁위랑 옷장속의 세계사도 장바구니에 담아두고 중고 알림까지 해두었다.
















최근에 다시 듣기 시작하면서 교재도 사고 있다. 정말 정말 좋다. Live with Passio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 Drop Of Water
월터 윅 / Scholastic / 1998년 9월
평점 :
품절


상품 준비 시간이 있어 주문하고 일주일 가까이 기다렸다.하지만 기다림 보람이 배가되는 책이다.물 분자를 통해서 물의 특성을 이렇게 흥미진진하게 설명하다니! 책을 보며 실험을 해보고 싶었는데, 마지막 장에 실험을 어떻게 해야하는지 사려깊게 설명되어있다.저자가 사진작가라는 사실에 박수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06-10 23: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곰브리치 세계사 즐거운 지식 (비룡소 청소년) 17
에른스트 H. 곰브리치 지음, 클리퍼드 하퍼 그림, 박민수 옮김 / 비룡소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5장 서양의 지배자편에서 로마가 세계를 - 유럽과 소아시아 그리고 북아프리카 - 지배하고, 핍박을 받는 사람들이 늘어날 즈음에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났습니다. (16장 기쁜 소식). 신과 인간 사이에서 중요한 것은 '정의'가 아니라 '은총'이며 이 '은총'은 아낌없이 베풀고 용서하는 신의 무한한 사랑을 말하고 그렇게 신이 인간을 대하듯 인간도 인간을 그렇게 대해야한다는 예수의 가르침으로 크리스트교도 그 핍박에서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사도 바울이 코린트 인들에게 보낸 첫 번째 편지 13장에서는 '사랑'을 이렇게 말합니다.


"

내가 이제 가장 좋은 길을 당신에게 보여 드리겠습니다.


내가 인간의 여러 언어를 말하고 천사의 말까지 한다 하더라도 사랑이 없으면 나는 울리는 징이나 요란한 꽹과리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

내가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전할 수 있다 하더라도, 온갖 신비를 환히 꿰뚫어 보고 모든 지식을 가졌다 하더라도, 산을 옮길 만한 완전한 믿음을 가졌다 하더라도, 사랑이 없으면 나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내가 비록 모든 재산을 남에게 나누어 준다 하더라도 또 내가 남을 위하여 불 속에 뛰어든다 하더라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사랑은 오래 참습니다.

사랑은 친절합니다.

사랑은 시기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자랑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교만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무례하지 않습니다.

사랑은 사욕을 품지 않습니다.

사랑은 성을 내지 않습니다.

사랑은 앙심을 품지 않습니다.

사랑은 불의를 보고 기뻐하지 아니하고 진리를 보고 기뻐합니다.

사랑은 모든 것을 덮어 주고 모든 것을 믿고 모든 것을 바라고 모든 것을 견디어 냅니다.


사랑은 가실줄 모릅니다.

" p165 - 166, 16장 기쁜 소식


그래서 사랑은 쉬운 것이 아닌것 같습니다. 아니 아주 어렵고 알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 사랑하는 대상 중 가장 가깝고 쉬워 보이는 '자신'에게도 그리 쉬이 행하기 힘든가 봅니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는 '마음이 그 것을 (선한 것을, 진정한 것을) 제대로 알고 있으니 그에 따라 행복하면 된다'는 식으로 말했나 봅니다.

그래서 유재석과 이적은 '말하는대로'라는 노래를 불렀나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f You Were There When They Signed the Constitution (Paperback, Updated)
Levy, Elizabeth / Scholastic / 199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금은 지루했다.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하고 그들이 헌법 (Constitution)을 만드는 4개월 과정을 다룬 미국 초딩 5학년 정도가 읽는 80여페이지 짜리 적지 않은 글밥의 책이다. 한국 초딩인 나에겐 페이지와 글밥이 큰 의미를 가진다. 영어니깐.

그들이 헌법을 만든 과정의 바닥에 깔려 있는 가치판단의 방법은 타협 'compromise'이다.

헌법 제정 당시 미국은 14개 주였고, 각 주에는 한개의 투표권이 주어졌다. 이 것을 주의 크기 (인구)로 바꾸는 논의를 할 때, 주의 대표 (delegate)들에게는 큰 논쟁이 있었다. 인구가 적은 주에서의 불만이 컸음은 당연지사일 것이다. 그래서 합리적인 그들이 타협안으로 만들어낸 것이 미국의 상/하원 제도이다. 인구 기반으로 2년에 한번씩 뽑히는 하원 (House of Representatives)과 각주마다 두명씩 두는 상원 (Senate)이다. 그들의 합리적인 타협은 노예에게는 비인간적으로 적용되었다. 노예제도에 다른 입장을 가진 남부와 북부의 논쟁 끝에 노예는 3/5을 인정하기로 했단다. 흑인 노예 5명이 백인 3명과 같다는 식이다. 비참한 타협이다. 타협. 어쨌든 그들은 헌법을 만들어 2백년동안 그 시스템을 잘 지켜왔고, 세계 제일의 강국이 되었다. 헌법을 만든 각 인물들을 자세히 다루는 페이지들을 보면서, 그저 33인으로 희미하게 기억되는 한국의 그분들이 대접받는 방식과 너무 달라 부럽기도 했지만, 그들의 노예를 대하는 방식에서는 책에 정이 뚝 떨어지기도 했다. 나는 옆길로 새서 '타협'에 대해서 잠시 생각했다. 합의와 함께.


국어는 네버로 영어는 Oxford로 뜻을 찾아봤다.


타협

어떤 일을 서로 양보하여 협의함.


합의

서로 의견이 일치함. 또는 그 의견.


compromise (타협)

an agreement made between two people or groups in which each side gives up some of the things they want so that both sides are happy at the end

(초딩의 번역: 두 사람이나 그룹이 각자가 원하는 것을 포기하고 양쪽이 모두 만족하게 만들어진 동의)


arrangement (합의)

an agreement that you make with somebody that you can both accept

(역시 초딩의 번역: 당신이 누군가와 함께 수긍할 수 있는 동의)


얼핏 보면 합의가 타협을 포함하는 것 같다. 타협에는 고통이 수반될 수 있을 것 같고 잠재적인 문제를 안고 갈 수도 있을 것 같다. 모든 것이 좋을 때 '타협'이라는 말 자체가 사전에 있기는 힘들 것이다. 어떠한 것도 원하지 않을 때도 마찬가지로.

타인과 함께 '어떤 것'을 함께 원할 때, 그 타인과 나의 '다름'으로 생기는 문제들을 '양보' 또는 '포기'로 함께 - 어쨌든 그 때는 - 행복하게 합의점을 도출하며 풀어내는 것이다. 그 방법이 논쟁 끝에 그 '어떤 것'을 원하지 못하는 것 보다는 '합리적'이라고 - 최소한 미국인들은 - 말하는 것 같다.

하지만 많은 경우 '양보'는 문제의 해결이라기 보다는 문제 해결의 '지연'에 가까운 것 같다.

남부와 북부의 노예에 대한 입장 차이로 야기된 문제를 노예 5명 당 백인 3명으로 세어 푼 것은 헌법을 제정하는 과정에서 생긴 큰 논쟁 하나를 없앴지만, '노예 제도' 자체는 해결하지 못했다. 물론 후에 남북전쟁이 생겨 노예제도도 폐지되고 헌법도 개정되어 노예에게 투표권이 주어졌지만 그 남북전쟁은 '헌법 제정' 당시의 '양보'로 해결된 것은 아닌 것이다. 그 문제가 불거졌을 때 그저 잠재웠을 뿐이다.


미국 초딩 책을

타협에 익숙해하며 살았던,

그래서 문제를 잠재우기에 능하지만 여전히 안고 사는,

누군가 그 것을 지적해도 지나치게 무뎌서 잘 인지하지 못하는

한국 초딩은 이렇게 읽고 마지막 장을 덮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6-05-21 08:50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책 읽고 싶다고 체크했더니, 이 리뷰를 추천해 주었어요~ 바보같은 북플; 이 리뷰보고 읽고싶어 한 건데 말이죠 ;_; ㅎㅎ

전 아마 5학년 수준에 못 미쳐서 ㅜㅜ 이해하는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겠죠...흑흑

초딩 2016-05-21 09:11   좋아요 2 | URL
엄청 저도 사전 찾아가며 읽었어요. ㅎㅎ 미국 초딩들의 높은 수준을 깨달았습니다.
 














인간의 영혼은 영원하다고 했다. 궁금했다. 어떻게 소크라테스는 그의 산파법으로 그것을 증명할 것인지. 나는 매료되었고 매료시켰다.

'세상의 모든 것들은 서로 반하는 것들이 존재한다'의 명제로 시작하는 그의 논리에 나는 끄덕끄덕 했다. 2천년이 훌쩍 지난 때에 그의 변호를 하듯이 나는 재잘거렸다.















그랬다. 나는 탈무드를 읽고 성이 차지 않았다. 고른 책도 이렇게 얇았다. 그래서 소크라테스를 읽었다.

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고민할 겨를은 없었다. 온통 뭔가 뒤죽박죽이 된 것 같았고 좌초했다. 먼저 살았던 현인들의 아무 말이나 듣고 싶었다.















공감했다. 백년 동안 반복되어지는 것들에 대해서. 그리고 그 반복 속에 배어있는 고독에.

















나에게 참존가는 백년의 '짝지'이다. 참존가의 강렬한 첫 장을 몇번이나 읽었는지 모른다. 그들에 매료되고 쿤데라의 말에 심취해있었다.















몇번이나 읽었다. 영원회귀, 백년이 그 연장선상에 있었다.















나는 창작의 고통에 공감할 수 있는가. 그럴 자격이 있는가.

창작하는 사람들. 그 창작의 쉬이 알아주지 못할 고통에 있는 사람들. 그 사람들과 곁에 있고 싶었다. 나도 무엇을 만들기는 하니깐.

나의 만듦을 창작으로 포장하고 싶었다. 창작하고 싶었다.















나는 나의 감정을 애써 외면했다. 그런데 나는 나의 감정도 잘 알지 못했다.

박박 우겼다. 나는 이 작가와 이 책 모두가 싫다고. 비난했다. 그리고 알았다. 내가 무척 좋아했다는 것을. 에밀 아자르를.

나는 내 감정에 대해 패배자였다.















생경했다. 이름 참 희한하네 라고 했던 그 작가의 책을 읽을 줄은 몰랐다. 어떤 사람인지도 모르고 선입견을 가졌다.

그리고 또 반했다. 몹시.

예측대로 되는 것이 어디있을까. 한치 앞도 모르는 것이 인생인데.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 두번째 책이다. 한강 작가의. 그동안 나는 참 많이 변해있었다. 채 1년이 안되는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커피를 조금 천천히 마시게되었다. 아직도 맛은 모른다. 몰라서 담백하다고 생각하고 아메리카노만 마신다.















세계문학만 고집하던 내가 한국문학도 틈틈이 읽고 있단다. 문동 북카페에 가서 이 책을 신기하게 보았던 때가 추억된다. 비닐에 밀봉되어있는 책을 한참 바라보았다. 사람들도 한참 쳐다보았다.















나는 사진을 찍는다. 귀동냥과 몸으로 배웠다. 그래서 귀하게 읽었다.















이런 사람 처음봤다. 이렇게 말하는 사람 처음 봤다. 얼마나 많이 인용하며 찬사하며 재잘거렸는지 모른다.














나는 무엇을 위해서 살아야하는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하는가.


이 러시아 문호들의 책을 겨울에 운치 있게 읽으며 나는 저 짧게 뱉어진 멋진 말을 들을 수 있었다.

그리고 나는 길을 잃었다.

책 속에는 길도 있고 답도 있다고 하는데, 길을 잃었다. 겨울에.















길을 잃었다고 길을 찾아나선다. 내 등 뒤에 거대한 태엽이 박혀있고 그 것을 그 새가 밤마다 돌리나부다.

나의 우물에 한줄기 단 한 번 비치는 저 빛. 그 것에 눈이 멀지언정 뚫어져라 보고 싶다. 싶었다.















비극도 희극적인 삶을 살 때는 그저 아름다워 보이나보다. 괴물의 머리 스타일을 상상하며 읽었다. 계절이 바뀌고 노란 은행잎이 권태로운 길 위를 덮을 때.














우리는 언젠가 다 죽는단다. 논쟁을 벌일 필요도 없고 재고할 필요도 없다.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 그래서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살아야할까. 한정된 삶인데. 모든 한정은 부정이라고 스피노자가 말했단다. 그러면 삶도 부정인가보다.

삶이 모두 부정되어지면 인류의 공존이 위협 받으니 소크라테스는 인류애를 그토록 말했고 탈무드는 후세의 교육을 그리 강조했나보다.

그리스는 나라가 만신창이가 되었고 유태인은 세계를 지배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조목조목 말하고 그것을 계승 발전시킨 유태인이 잘 된 것일까? 소크라테스의 말이 너무 어려웠던 것일까?















마음 내키는 대로 읽었다. 그래서 읽고 싶었던 1984를 집어들었다. 동물농장도 읽고 싶다. 인류의 사회라는 곳에 내가 살고 있다. '나'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윈스턴이 '줄리아에게 해'라고 한다. '윈스턴'은 '사회'에 속해 살고 있다.















그 '사회'를 벗어날 수 없을까? 심해로 잠수하는 삶의 행위로 나는 그 '사회'를 벗어날 수 없을까? 한정에 이어 '한계'가 여기 쓰여져 있었다.















우리는 모두 먹어야하는 동물인 것인가 보다.

우리가 그 동물들에서 더 나아가버려, 먹는 것을 좀더 형이상학적으로 만든 경제 때문에 굶주림에 고통받는 사람들도 있고, 사유로 벗어나 보기도 하나보다. 그래도 배가 고프면 안되는 것 같다. 날카로워지고 감정의 심연에서 좀처럼 벗어나기 힘드니.

게다가 인간의 탐욕은 동물의 본능보다 비극적인것 같다.















그래서 나는 따뜻한 롤빵에 감격했나보다. '우리는 언젠가 죽는다' 보다 '대성당'이 동물에 속하는 우리를 알려주는데 훨씬 따뜻하고 친절하고 정감가는 것 같다.















약처방이 필요할 만큼 생각에 생각을 했나보다. 공감간다. 그 내면의 의식의 흐름에 공감한다.
















너덜너덜 해졌다. 독거시킨 마음이 나를 단죄한다.















억측스러운 두 노인이다. 그리고 개츠비.

우리는 나이들어감에 위안과 면죄부를 받고 싶어하나 보다.














그래도 '면죄부'는 나쁜 것이다. 역사가 그렇게 말해준다. 그래도 개츠비는 최고의 작품으로 미국에서 손꼽힌다.














나는 왜 책을 읽을까.

루쉰처럼 대중을 계몽하려는 명백한 이유도 없는데.

얄팍한 초딩인 나는 왜 책을 이렇게 읽을까.















'고민'은 선택하려는 숙고가 아니고 그저 사념의 덩어리인가. 아니면 '위로' 인가. 아니면 억압된 그 무엇이 '분출'되지 못한 상태의 동작인가?















이쑤시개에 촘촘히 무한히 각인할 나의 무의식을 위로한다.

계산사의 그림자와 나의 그림자 우리 모두의 그림자에 - 그 뜻을 아직 모르지만 - 애도한다.


나는 '초딩'이다.



우.또.다.고.그.흘.1.세.있.뿐.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yureka01 2016-05-01 01:2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오.사진 관련 책들이 .딱 띄네요.....^^.

초딩 2016-05-01 11:10   좋아요 2 | URL
아 네~ :-) 역시 ^^
근데 사진학 강의를 빠뜨렸어요 ㅎㅎ 그 책은 워낙 백서라 맘 먹고 써 보려는데 벅차네요 :-) 좋은 밤 되세요~

깊이에의강요 2016-05-01 07:1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초딩의 뜻이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제가 알고 있는 그 초딩이 맞는건지???^^

초딩 2016-05-01 11:14   좋아요 1 | URL
네에 그 `초딩` 이 맞아요 :-) 그런 초딩이 되고 싶네요. 우리가 언젠가 죽는다에서 톨스토이인지 도스토옙키는 5세나 지금이나 같다라고도 하니 :-) 좋은 하루 되세요~

별이랑 2016-05-01 09:3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그리스와 유태인의 현재를 소크라테스를 인용하고 탈무드를 언급하시다니.... 초딩님 덕분에 저도 이 글들이 궁금하네요.
소크라테스의 말은 여전히 어렵지만, 탈무드가 제것만 고집하고 다르다는 이유로 타인들을 핍박하라고 후세를 교육시켰는지...

초딩 2016-05-01 11:16   좋아요 1 | URL
비유가 그렇지만 탈무드와 유태인은 지극히 이기적인 우등생 같아요 :-) 그리스인은 사차원의 똑똑이 같구요. 일단 그리스 고대만 보자면요.
탈무드 조금 더 많은 내용이 있는 책으로 저도 다시 봐야겠어요. :-)
감사합니다 :-) 좋은 하루 되세요~

지니 2016-05-29 01: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초딩님 올리신 책 중에 제가 읽고 좋아하는 책이 24권이나 되네요~^^;;
`초딩`이라는 반전의 이름에 다시 한 번 놀랍네요~
점점 더 초딩님이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징가 2016-05-29 03:5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유태인이 대단한건 아마도 박해 받으며 세계를 떠돌면서 생긴 그들만의 고유한 적응능력 때문 아닌가 싶습니다. 제가 모시던 상관 중에 유태인이 있었는데 그들은 세계 어느 나라에 있던 히브리어를 꼭 가르친다고 합니다. 유대교전통을 반드시 준수하는 그들은 선택받은 만족이라는 선민의식과 고유의 전통을 이어가려는 의지가 뚜렷이 나타났던걸로 기억합니다. 그것이 그들이 가지고 있는 힘 아닐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