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은행나무'
철마다 잊지않고 찾아온다. 잠시 그 넉넉한 품에 머무는 동안 가슴에 쌓인 버거움을 내려 놓을 수 있다. 시간이 겹으로 쌓인 수피를 어루만지면 그 까칠하고 거침 속에 온기가 전해진다. 그 온기는 고스란히 가슴에 담긴다.


내가 찾는 이 은행나무는 담양군 봉안리 은행나무다. 천연기념물 제482호로 지정되어 관리받고 있다. 이 나무는 마을 외곽 네 방위에 있는 느티나무와 함께 마을을 지키는 당산나무로 일제강점기, 8·15광복, 6·25전쟁 등 국가의 중대사 때마다 울었다고 전한다.


은행나무 중에는 천연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된 용문사 은행나무를 비롯하여 19그루의 은행나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은 은행나무과로만 이루어져 있는데 이 과는 고생대 이첩기에 나타난 15속(屬) 정도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우는 은행나무는 크고 멋진 수형에 푸른 잎에서부터 노란단풍, 풍성한 열매까지 다양한 멋으로 사람과 함께 살아온 나무다.


싹이 튼 지 20년 이상이 지나야 열매를 맺기 시작하는데, 씨를 심어 손자를 볼 나이에 열매를 얻을 수 있다고 하여 공손수(公孫樹)라고도 부르는 은행나무는 '장수'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모란'
그토록 붉은 속내를 거침없이 보여주던 도발적인 모습은 다 어디로 갔을까. 넉넉한 꽂잎에 매혹적이어서 더 처절한 꽃술까지 모두 너의 모습인데도 유추가 불가능한 모습으로 변하고 말았다.


눈모자 쓰고 차디찬 겨울동안 다시 그 붉은 속내를 채워가고 있을 새순이 곁에 있어 그 찬란할 봄날을 기다린다. 모든 생명의 지고난 화양연화의 끝자락이 이와 같지는 않으리라.


모란은 중국이 원산지로 알려진 줄기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작은키나무다.


꽃은 4 ~ 5월에 피며 붉은 자줏빛의 꽃잎이 5~8조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작은 접시만 한 큰 꽃이 가지 끝에 피는데 일주일쯤 간다. 꽃의 색깔은 붉은색 계통이 가장 많고 여러 색상의 원예품종이 있다. 열매는 가죽질이며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고 8 ~ 9월에 익으며 종자는 둥글고 검다.


모란이라는 이름은 꽃의 빛깔이 붉기 때문에 란[丹]이라 하였고, 굵은 뿌리 위에서 새싹이 돋아나오는 모습이 수컷의 형상을 닮았다 하여 모[牧]자를 붙였다고 한다.


양귀비의 미모, 선덕여왕의 일화 등에 등장하고 선비들의 수묵화에 단골로 그려지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주목받았던 꽃이다.


목단牧丹·목작약木芍藥·부귀화富貴花라고도 하는데 '부귀', '영화' 등의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나무'
열매가 단풍나무 닮았는데 뭉텅이로 달렸다. 꽃에 주목하지 못했으니 열매로 겨우 알아볼 뿐이다. 공원의 나무들 사이에서 만난다. 비슷한 이웃이 있어 같은 무리에 들 것이라는 짐작으로 보아오던 나무다. 겨우 잎사귀 갈라진 모양으로 구분하던 것의 한계다.


신나무는 사람 왕래가 많은 길가, 야트막한 야산자락이나 들판의 둑 등지에서 자라는 낙엽지는 많이. 크지는 않은 나무다. 잎 모양에서 신나무는 셋으로 갈라진 잎의 가운데 갈래가 가장 길게 늘어져 있어 다른 나무와는 구분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꽃은 5월에 향기를 풍기는 연노란색 작은 꽃이 아기 우산모양으로 핀다. 열매는 8월 중순 ~ 10월 중순에 성숙하며 날개는 거의 평행하거나 혹은 서로 합쳐진다.


신나무의 옛이름이 '때깔 나는 나무'란 뜻의 '색목(色木)이다. 옛 한글 발음으로 '싣나모'라고 하다가 오늘날 신나무가 되었다고 한다. 다른 유래는 잎이 갈라진 모양이 신발을 닮았다 하여 신나무라고 불린다는 설과 옛날에 짚신 바닥에 깔았다 하여 신나무라고 불린다는 속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
대롱대롱 실바람에도 흔들리면서 잘 견딘다. 제법 특별한 모양의 씨방을 갖추고 새로운 꿈을 담았다. 바람을 맞는 면적을 넓혀 멀리 날아갈 모양이다.


늦가을부터 눈내리는 겨울 잎이 다 져버린 숲에서 열매로 만난다. 제 철 꽃필때 보다 쉽게 눈에 띄는 것이 열매의 사명을 다하는 수고로움으로 읽힌다.


마는 숲이나 길가에서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마주나거나 돌려나는데 삼각형 또는 삼각 모양의 달걀꼴이다. 줄기는 오른쪽으로 감아 오르면서 다른 물체에 감긴다.


꽃은 6~7월에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피는데 잎겨드랑이에서 1~3개씩 꽃차례가 나온다. 암수딴그루이다. 열매는 9~10월에 황회색의 삭과가 달려 익는데 3개의 날개가 있고 그 속에 둥근 날개가 달린 씨가 들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마 이외에도 참마, 도꼬로마, 부채마, 각시마, 단풍마, 국화마 등이 있으며 중국산 둥근마도 들어와 자라고 있다고 한다. '운명'이라는 꽃말을 가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배롱나무'
붉고 희고 때론 분홍의 색으로 피고 지고 다시 피고 지고를 반복하며 100일을 간다고 한다. 오랫동안 향기를 더하더니 씨 맺고 이젠 그마져 다 보네고 흔적만 남았다. 네 속에 쌓았던 그 많은 시간을 날려보네고도 의연한 모습이 오히려 더 쓸쓸하게만 보인다.


꽃도 열매도 제 멋을 가졌지만 나무 수피가 벗겨지며 보여주는 속내가 그럴듯 하다. 노각나무, 모과나무와 함께 만나면 꼭 쓰다듬고 나무가 전하는 기운을 손끝으로 담는다.


배롱나무는 중국이 원산지인 낙엽지는 작은키나무다. 주로 관상용으로 심어 기르며 추위에 약하다. 자미화, 목백일홍, 만당홍라고 부르기도 한다.


꽃은 홍자색으로 피며 늦가을까지 꽃이 달려있다. 열매는 타원형으로 10월에 익는다.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배롱나무라 한다. 수피는 옅은 갈색으로 매끄러우며 얇게 벗겨지면서 흰색의 무늬가 생긴다.


피고지기를 반복해 꽃과 향기를 전해주기에 오랫동안 누리고 싶은 '부귀'로 꽃말을 붙인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