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년의 화가 김홍도 - 붓으로 세상을 흔들다
이충렬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19년 12월
평점 :
인간 김홍도
반갑기 그지없다. 김홍도의 이야기라면 무엇이든 앞뒤 가리지 않고 손에 든다. 직간접적으로 김홍도를 언급한 수많은 출판물 중에서 유독 기억에 남는 책을 고르라면 우선 오주석의 '단원 김홍도'(솔, 2006)와 설흔의 ‘내 아버지 김홍도’(낮은산, 2014)가 있다. 오주석의 책이 김홍도에 대한 종합해설서라고 한다면 설흔의 독특한 시각은 김홍도의 내면에 집중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비해 이충렬은 전기적 성격이 강하다. 각기 다른 시각으로 만나는 김홍도, 어느 한 가지도 놓칠 수없는 매력이 있다.
"가난한 바닷가 마을 소년이 임금을 그리는 어용화사가 되고, 조선의 새로운 경지라는 찬사를 듣는 화원으로 성장하기까지, 그러다 생의 마지막조차 기록되지 않을 만큼 쓸쓸한 말년을 보내기까지, 중인 출신 화가가 겪었을 파란만장한 삶"
이충렬의 ‘천년의 화가 김홍도’는 태어나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생을 차분하게 펼쳐 보이고 있다.무인 집안에서 태어나 대를 잇기를 바라는 아버지의 바람과는 달리 그림을 배우고 화가로 입신양명하기에 이른다. 김홍도는 바로 그 그림을 통해 몸도 마음도 자유롭고자 했지만 평생 신분의 그림자를 벗어나지 못했다. 말년에 객지에서 쓸쓸한 죽음에 이르기까지 굴곡이 심했던 일생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저자가 김홍도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축을 그림에 두고 있다. 남아 있는 그림과 그 그림이 그려진 배경을 살피면서 김홍도의 일상을 추적해간다. 그림에 대한 설명이 곧 김홍도의 일생에서 중요한 변곡점이 되거나 특별했던 시기를 조명하는 작용으로 쓰이고 있다. 특히 ‘금강사군첩’과 ‘병진년화첩’등을 묘사하는 저자의 이야기는 그 현장을 따라가는 착각을 할 정도로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이충렬의 김홍도 전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또 있다. 김홍도와 강세황, 심사정의 두 명의 스승과의 관계를 한축으로 하고 도화서 동료 화원으로 이인문, 신한평, 김응환 등과의 교류를 통한 김홍도의 인적 교류에 대한 흐름과 100점에 이르는 그림을 따로 감상하는 즐거움이 그것이다. 중인 신분으로 겪어야했던 신분적 한계를 서로 다독이며 화원의 길을 함께 걸었던 이들과의 우정이 김홍도의 삶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세 번의 어용화사’, ‘정조의 총애를 받은 도화서 화원’ 등 당대에 성공한 화원이었지만 늘 외로웠던 인간 김홍도의 모습도 놓칠 수 없다. “전라도 관찰사 심상규가 한양에 있는 벗 예조판서 서용보에게 보낸 편지와 김홍도가 아들에게 보낸 마지막 편지를 통해 가난과 병고 속에 허망하게 세상을 떠났으리라 짐작할 뿐”인 김홍도의 최후는 무엇을 의미할까.
붓으로 세상을 흔들며 자신만의 독특한 그림 세계를 개척한 인물 감홍도의 일생을 차분하게 따라가며 만나는 작품마다 새롭게 시선이 머문다. 귀한 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