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꽃 좋고 열매도 좋은 석류화石榴花

간밤에 비 오더니 석류꽃이 다 피겠다

부용당芙蓉堂 가에 수정렴水晶簾 걸어 두고

뉘 향한 깊은 시름을 못내 풀려 하노라

*조선사람 상촌象村 심흠申欽의 시조다. 머리속에 한편의 풍경이 지나간다.

“석류는 본래 서역西域에서 나는 것으로, 한나라 때 장건張蹇이 안석국安石國에서 가져왔다 하여 석류石榴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석류는 꽃이 좋을 뿐 아니라 그 열매가 볼 만하고 또 먹을 만하여, 예로부터 흔히 재배해 왔다.”

다음은 강희안의 ‘양화소록養花小錄’에 나오는 석류에 대한 내용이다.

“층층이 뻗은 가지가 위는 뾰족하고 밑은 퍼진 것은 백양류柏樣榴, 즉 잣석류라 한다. 줄기가 곧고 위쪽은 성글어 가지가 마치 일산日傘을 펼친 것 같은 것은 주석류柱石榴, 곧 기둥석류라 한다. 몇 그루가 덤불로 나서 가지가 뒤엉긴 것은 수석류藪石榴, 즉 기둥 석류라고한다.”

옛사람들의 그림 속에도 자주 등장하는데 이는 열매 속에 씨앗이 많아 다산을 상징하는 의미를 나타낸다고 한다.

퇴근 후 길을 가다 눈을 사로잡는 꽃이 있다. 담장 아래 초록 잎이 무성한 키 작은 나무에 붉은 꽃이 몇 개 보인다. 차를 돌려 다시 그곳에 멈춘다. 자세히 보니 석류나무다. 다가섰다 물러섰다 눈맞춤 하는 사이 할머니 한분이 다가와 비시시 웃는다. 할머니 얼굴에도 석류꽃이 피었다. 속류는 붉은 것이 과하지 않아 친근감이 있고 수줍은 듯 빼꼼히 속내를 보여주는 열매도 좋다. 그것만으로 충분하다는 듯 석류꽃은 향기가 없다.

*문일평의 '화하만필'을 정민 선생이 번역하고 발간한 책, '꽃밭 속의 생각'에 나오는 꽃이야기에 내 이야기를 더하고자 한다. 책의 순서와 상관 없이 꽃 피는 시기에 맞춰 내가 만난 꽃을 따라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국화

꽃과 술과 차와 함께하는 가을

詠菊二首 영국이수

靑帝司花剪刻多 청제사화전각다

如何白帝又司花 여하백제우사화

金風日日吹蕭瑟 금풍일일취소슬

借底陽和放豔葩 차저양화방염파

不憑春力仗秋光 불빙춘력장추광

故作寒芳勿怕霜 고작한방물파상

有酒何人辜負汝 유주하인고부여

莫言陶令獨憐香 막언도령독련향

국화를 읊다 두 수

봄의 신이 꽃 일을 맡아 교묘하게 새겼거늘

어찌하여 가을의 신이 또 꽃 일을 맡았는가?

가을바람 날마다 불어오는데

어디서 따뜻한 기운 빌려다 꽃 피울까.

봄 힘 빌리지 않고 가을빛에 피었기에

차가운 꽃이 서리 겁내지 않네.

술 가진 이 누가 너를 저버리겠는가?

도연명만이 그 향기를 사랑했다 말하지 마라.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이규보(李奎報,1168~1241)의 시 "詠菊二首 영국이수"다.

국화는 가을에 무리지어 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품종에 따라 노란색·흰색·주황색 등 다양하다. 2,000여 종이 넘는 품종들이 알려져 있는데, 크기에 따라서 대국·중국·소국으로 구분한다. 관상용으로 많이 심었다.

특히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사군자의 하나로 귀한 대접을 받아왔다. 모든 꽃이 시들어버리는 가을에 핀 모습에 주목하여 은일과 절조를 상징하는 존재로 의미부여를 하며 특별한 관심을 갖었다.

또한 "국화는 차와 술 떡 약 심지어 베개까지 만들어 사용하는 등 그 쓰임이 매우 큰 꽃이다.

내게 국화는 남도민요 흥타령과 함께 한다. ‘창밖에 국화를 심고/ 국화 밑에 술을 빚어 놓으니/ 술 익자 국화 피자/ 벗님 오자 달이 돋네/ 아희야 거문고 청 쳐라/ 밤새도록 놀아 보리라’로 시작되는 흥타령에 등장하는 국화가 전부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정도로 강한 인상으로 자리잡았다.

꽃이 있고 술이 있고 달이 뜨고 거문고 소리 울리며 여기에 벗까지 있으니 무엇을 더하랴. 옛사람들이 국화에 감정이입한 거의 모든 것이 들어있다. 꽃도 음악도 지금이 딱 좋은 때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갈대꽃

물가에 피어난 호젓한 가을

蘆花 노화

雨入寒塘動碧漣 우입한당동벽연

蘆花開盡白於綿 로화개진백어면

我園從此多奇絶 아원종차다기절

一片江南在眼前 일편강남재안전

갈대꽂

찬 못에 비가 내리니 푸른 물결 출렁이는데

갈대꽃 활짝 피어 솜보다 희네.

내 뜰에는 이제부터 기이하고 빼어남 많아져

한 조각 강남의 풍광이 눈앞에 펼쳐지리.

-서거정, 사가시집 권50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쉰 한번째로 등장하는 서거정(徐居正,1420~1488)의 시 "蘆花 노화"다.

갈대는 습지나 갯가, 호수 주변의 모래땅에 군락을 이루고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월 하순부터 9월까지 피며 색깔이 차츰 자주색에서 갈색으로 변화한다. 산지에서 주로 보이며 흰색으로 피는 억새와 혼동하기 쉽다.

내게 갈대는 순천만의 늦가을 노을지는 때 펼쳐지는 갈대밭 풍경과 대금을 배우러 다니던 때 채취하러 다녔던 속청으로 더 기억된다. 갈대는 국악기 대금의 소리를 내는 중요 요소로 쓰이는 청을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단오 무렵 갈대의 줄기를 잘라 그 안의 청을 채취하여 사용하게 된다.

위에 언급한 서거정의 시에서 갈대꽃을 솜보도 희다고 했는데 그 이유를 모르겠다.

사진 2,3,4는 평상샘에게서 온 순천만 갈대 모습이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억새꽃

가을 산야에 환희 빛나는 꽃

亭上卽事 정상즉사

坐待群賢倚柱眠 좌대군현의주면

雲端縹緲過飛仙 운단표묘과비선

茅花晩日因風起 모화만일인풍기

疑是江村釀雪天 의시강촌양설천

정자 위에서 곧바로 읊다

여러 사람을 기다리다 기둥에 기대어 조노라니

구름 끝에 아득히 신선이 날아가네.

저문 햇살 속 억새꽃 바람에 일렁이니

강가 마을은 온통 백설 천지인 듯싶네.

-조팽년, 계음집 권1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쉰 번째로 등장하는 趙彭年(조팽년 1549~1612)의 시 "亭上卽事 정상즉사"다.

억새는 산과 들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산 정상과 들판의 양지에서 자란다. 억새는 종류가 상당히 많아서 10여 종이나 된다. 그중 우리가 가장 흔하게 보는 것은 자주억새이다. 흰색 꽃을 피우며 잎 가장자리에는 날카로운 거치가 있다.

억새가 주목받는 때는 가을이 무르익어갈 즈음이다. 군락을 이루고 바람 따라 흔들리는 모습이 장관이라 억새 명소에는 때맞춰 사람들이 몰린다. 주요 장소로는 서울 하늘공원, 정선의 민둥산, 포천의 명성산, 장흥의 천관산, 울산의 신불산과 간월산, 창녕의 화왕산, 경주의 무장산, 합천과 산청의 황매산 등이 알려져 있다.

사진은 황매산 억새다. 올해는 조금 이른 시기에 찾아 하늘거리는 흰물결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 대신 몇 번의 방문에도 황매산 정상을 올라보지 못했는데 올해는 우여곡절 끝에 정상을 올라랐다. 능선을 중심으로 합천과 산청의 억새밭 전경을 볼 수 있었다.

억새를 사이에 두고 햇빛과 마주보며 백색 물결의 일렁임이는 모습은 본다는 것은 누려본 이들만 느끼는 감동일 것이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패랭이꽃

교태를 모르는 강인한 생명

石竹花 석죽화

世愛牧丹紅 세애목단홍

裁培萬院中 재배만원중

誰知荒草野 수지황초야

亦有好花叢 역유호화총

色透村塘月 색투촌당월

香傳隴樹風 향전롱수풍

地偏公子少 지편공자소

嬌態屬田翁 교태속전옹

패랭이꽃

세상 사람들은 붉은 모란꽃만 좋아하여

뜰 안 가득 심고서 가꾼다네.

누가 알까. 이 거친 들판에

또한 예쁜 꽃떨기 있는 줄을.

빛깔은 마을 연못에 잠긴 달에 어리비치고

향기는 언덕 나무를 스치는 바람에 전해 오네.

땅이 외져 찾는 공자 드무니

아리따운 자태를 촌로에게나 부치네.

-정습명. 동문선 권9

*알고 보면 반할 꽃시(성범중ㆍ안순태ㆍ노경희, 태학사)에 서른 아홉 번째로 등장하는 정습명(鄭襲明, 1096~1151)의 시 "石竹花 석죽화"다.

패랭이꽃은 전국의 산기슭의 풀밭, 냇가의 모래땅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분홍색 꽃이 줄기 끝에서 하나씩 핀다.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에서 꽃잎이 술처럼 갈라지는 것을 술패랭이꽃이라고 한다.

패랭이꽃이라는 이름은 꽃 모양이 옛날 낮은 신분의 역졸이나 보부상 등이 쓰던 패랭이와 닮았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한자어로는 석죽화, 지여죽이라고 하는데 바위틈에서도 잘자라며 줄기가 대나무 같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옛사람들의 시에도 자주 등장하지만 김홍도나 강세황 등이 그린 초충도에도 빈번하게 등장한다. 그만큼 친숙한 꽃이었다는 반증이리라.

사진 속 패랭이꽃은 술패랭이꽃이다. 예전에 찍어둔 사진을 찾지 못하여 올해 초가을에 찍은 사진으로 대신한다.

*'알고 보면 반할 꽃시', 이 책에 등장하는 꽃시를 따라가며 매주 한가지 꽃으로 내가 찍은 꽃 사진과 함께 꽃에 대한 내 나름의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