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백제 - 700년의 역사, 잃어버린 왕국!
대백제 다큐멘터리 제작팀 엮음 / 차림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꼭 되살려야 할 우리 역사 - 백제
수년전 문화유적답사로 전국을 돌며 여전히 살아 숨 쉬는 우리 민족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답사 다니던 그 문화유적의 중심에는 물론 가까운 조선시대가 주를 이루긴 했지만 지역에 따라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한반도 역사에서 승자의 나라로 다양한 기록문화와 유형문화재의 기반이 되는 것은 역시 신라와 통일신라의 유적이 단연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고구려의 경우 분담된 현실에 의해 상대적으로 접할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지만 현실을 감안하여 그런대로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하지만 유독 안타까움을 자아내는 것은 사라진 백제의 역사였다. 무열왕릉을 중심으로 몇몇 남아있는 불교유적 말고는 그 흔적을 찾기 어려웠고 그나마 남아 있는 것으로부터 찬란했을 백제문화를 유추해 보는 수밖에 달리 도리가 없었다. 그러던 차에 ‘풍납토성-500년 백제를 깨우다’(2001, 김영사)의 발간으로 백제 역사의 사라진 일부분이나마 접하게 되었던 그 감회를 잊을 수 없다. 개발열풍에 의해 사라질 뻔한 유적을 지켜내고 졸속으로나마 발굴하는 과정과 사라진 백제 역사의 일부분이나마 되찾은 쾌거라고 말해 지는 부분이다.
‘대백제:700년의 역사, 잃어버린 왕국!’은 ‘풍납토성’ 이후 무척이나 오랜만에 만나는 백제의 역사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이 책은 지역 텔레비전 방송국의 역사다큐멘터리 ‘대백제’ 5부작 방송분을 정리 보완하여 출간한 책이라고 한다. 중국, 일본을 넘나들며 백제의 사라진 역사를 찾아다녔을 제직진의 노고가 얼마만큼이나 되는지 짐작이 가고도 남음이 있다. 제작진은 먼저 ‘백제’는 한반도는 물론, 해상강국의 면모를 통해 일본과 중국 대륙까지 진출한 거대한 고대국가였으며, 동북아 최고의 선진 문물을 가진 문화강국이었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를 눈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두나라 한 핏줄, 일본 속의 백제’, ‘700년 백제, 불국토를 꿈꾸다’, ‘백제는 최강의 하이테크 국가였다’, ‘고대 한류, 백제가 살아나다’, ‘백제, 바다를 꿈꾸다’ 등 총 다섯 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 이는 기존 백제역사 대부분을 차지하는 백제 건국관련 이야기나 일본과의 국제관계를 비롯하여 튀어난 불교 예술작품에 머물고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일본 국왕가의 핏줄이 백제계에서 이어져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는 일본 천황의 발언을 통해 고대 국가시대 일본과 한반도의 밀접했던 관계를 확인시켜 주고 있다.
‘대백제’에서 기존 역사 고찰에서 한발 더 나아가 문화 강국으로써의 면모를 확인시켜주고 있다. 제철기술, 음악, 백제 기악, 패션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을 대폭 확장하여 살피고 있는 점이 무엇보다 눈에 뛴다. 제작진은 k팝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오늘날 한류의 근원을 백제 음악의 전파와 그의 전승이 기원이라 보고 있으며 이뿐 아니라 일본 전통 옷인 기모노의 근거가 백제 옷에서 기원했다 점, 서해를 중심으로 해상 강국으로의 면모가 다시 확인된다는 근거를 찾아 밝힌 점 등은 사라진 백제의 역사를 복원하는데 중요한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대단한 의미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는 눈으로 보고 확인하는 텔레비전 방송용 원고의 한계가 보인다는 아쉬움이 있다. 특히 책의 앞부분에 해당하는 ‘두나라 한 핏줄, 일본 속의 백제’, ‘700년 백제, 불국토를 꿈꾸다’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특히 무왕 시대 한강 유역을 차지하기 위한 신라와의 전쟁에서 그 격전지가 한강과는 거리가 상당히 떨어져 있는 익산지역이었다고 주장하는 점과 이것이 미륵사를 건설한 근거라고 하는 점은 더 고찰이 필요한 부분이 아닌가 싶다.
‘락이불류 애이불비(樂而不流 哀而不悲)’ 공자의 논어를 빌어 백제 문화를 표현할 때 등장하곤 하는 말이다. 이 책 ‘대백제’는 그 실체를 확인 시켜주고 있다고 보여 진다. 음악, 백제 기악, 패션 등으로 문화 강국으로써의 백제를 고찰했다는 점과 이를 통해 고대 한일관계의 재조명 한 부분이 의미심장하다. 문화유적의 발굴로 하나 둘 밝혀지는 사라진 우리 역사 백제가 앞으로 또 무엇을 보여줄지 매우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