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알라딘을 보다가 ‘씨앗을 뿌리는 사람’에서 <반지의 제왕> 일러스트판 양장본이 나온 걸 알고 깜짝 놀랐다. 나온지 벌써 한 5년은 되었다. 보급판은 6권, 양장본은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생은 2001년도에 출간된 황금가지판 <반지의 제왕>을 이미 가지고 있지만, 이걸 보니 슬슬 구미가 당기면서 입맛이 쩝쩝쩝쩝.....무슨 뼛다귀를 앞에 둔 강아지 마냥 주체할 수 없는 침이 줄줄 흐른다. 며칠 전에 5만원 구매했는데.... 아아아!! 진짜!! 결국 1권 반지원정대만 주문했다. 권당 33,000원 10%할인해서 29,700이다. 이것은 일종의 쇼핑중독이다. 그 대상이 책일뿐이지 증상은 경증에서 중증으로 발전적으로 진행중이다. 전문의가 상담이 필요한 건 아닌지 걱정된다. 물건은 노동절에 도착했다.
소생의 구매 욕구에 불을 싸지른 것은 일러스트판 양장본에 대한 일부 알라디너의 100자평이었다. “책의 퀄리티가 정말 좋습니다.”, “소유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만족감을 느낌“, ”책 엄청 크고 멋짐“, 아아!!! 진짜!!!! 더 밑에 있는 페이퍼를 보니 보슬비님이 2013년도에 반지의 제왕을 영어판으로 완독하셨다고 한다. 대단하셔요 보슬비님^^
물건이 손에 들어온 작금에 이르러 소생의 개인적인 소회를 밝히자면 책의 퀄리티가 정말 좋다고 하기에는 쪼끔 그렇다는 생각이다. 나쁘지는 않다. 펭귄판 <오만과 편견> 또는 현암사판 소세끼 시리즈 같은 장정을 기대했는데 그건 아니다. 일러스트도 나름 멋지긴 하지만 그리 많지가 않다. 비록 그렇다고 하더라도 결론은 어쨌든 만족한다. 2권, 3권도 구입해야겠다.
씨앗을 뿌리는 사람판 <반지의 제왕>의 역자는 김번, 김보원, 이미애로 서울대 영어영문학과 동기들이다. 이들 세사람은 대학원 수업중에 <반지의 제왕>을 처음 접했고, 유비, 관우, 장비가 복사꽃핀 정원에서 결의형제를 맺었듯이, 어느날 문득 외서 전문 헌책방에서 페이퍼백 <반지의 제왕>을 발견하고는 공동번역에 의기투합하게 되었다. 이런 전차로 나온 것이 예문판 <반지전쟁>(1991)이다. 국내 초역이었지만 결과는 참담한 실패였다고 한다. 역자의 말이다. “톨킨식으로 말하자면 반지는 아직 한국 독자를 만날 의사가 없었고, 황금가지판이 나오기까지 10년은 더 기다려야 했다.“ 초대 예문출판사가 파산하면서 우여곡절 끝에 결의형제의 번역본은 2002년 ‘씨앗을 뿌리는 사람’에서 다시 초간본이 나왔다. 2007년 수정본에 이어 2010년에 양장본으로 새롭게 다듬었다고 한다.
<반지의 제왕> 시리즈가 영화로 처음 나온것이 2001년도다. 두 개의 탑, 왕의 귀환까지 3년에 걸쳐 반지의 제왕 시리즈를 보는 동안은 정말 행복했다. 더구나 그 시기에 맞물려 마침 <스타워즈> 에피소드 1,2,3 시리즈도 같이 개봉해서 소생의 행복감은 그야말로 바람을 타고 구름 위를 걷는 기분이었다. 내 인생에 있어 그런 행복한 시절은 다시 없을 것이다. 아아아!!! 복사꽃 만발하던 봄날은 가고 이제는 꽃잎도 시들어 떨어졌느니, 긴긴 겨울밤은 다만 화촉을 붙들고 옛책을 뒤적거릴 뿐일진져!!!! 생각하면 자꾸만 눈물이 철철 흐르지만 어쨋든 덕분에 행복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영화 <반지의 제왕> 삼부작에 비해 영화 <호빗> 삼부작은 소생을 단단히 실망시켰다. <반지의 제왕>의 열렬한 팬으로서 <반지의 제왕>에 대한 예의로 <호빗> 1, 2편은 봤지만 3편은 결국 안 봤다. 그래도 <호빗>은 3편이 볼만하다고 하니 dvd로 구매해서 볼 생각이다.
<반지원정대>, <두 개의 탑>, <왕의 귀환>의 주요 장면으로 소생이 직접 액자를 만들었다. 십년도 넘었다.
아직도 소생 서재에 걸려있다. 활을 쏘는 요정 신궁 레골라스의 모습, 아라곤을 짝사랑했던 로한의 공주 에오윈이
바람을 맞고 서있는 장면, 마법사 회색의 간달프가 백색의 간달프로 변색하여 백발을 휘날리며 싸우는 모습으로
액자를 구성했다. - 붉은돼지 作 <반지의 제왕 삼부작 액자> 2003.
반지의 제왕 아크릴 문진이다. 하나는 곤도르의 수도인 절벽을 깍아 만든 놀라운 미나트리스 성의 모형이고,
다른 하나는 곤도르 왕국 입구의 강변에 세워진 거대 석상모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