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고령사회 일본이 사는 법 - 10년 앞선 고령사회 리포트
김웅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4년 2월
평점 :
초고령사회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을 넘는 사회입니다.
한국은 2024년 1월 기준으로 19%입니다. 2025년에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2005년에 이미 초고령 사회가 되었다고 합니다. 지금은 팔순이 넘은 어르신이 1230 만명이라고 합니다.
예전에 비해 일본에게 배울만한 것이 별로 없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초고령사회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이미 20 년 전부터 경험해온 일본에게 한국은 배워야 합니다.
일본은 히키코모리 문제가 심각합니다. 히키코모리는 은둔형 외톨이를 지칭합니다. 그런데, 일본은 중장년 히키코모리가 61 만명이라고 합니다. 나이 들어도 제대로 사회 생활도 못하고, 자식에게 기대어 사는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거죠. 문제는 부모가 죽고 난 후 이들이 사회적인 문제를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그들의 자립을 도와주어야 하는 것이 사회의 숙제가 된 것입니다.
일본은 오타쿠로도 유명한 나라입니다. 특정 취미나 물품에 과잉 집착하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서양에서 매니아와 비슷한 개념이지만, 오타쿠는 부정적인 뉘앙스가 강합니다.
저는 레고를 좋아합니다. 그래서, 모아 놓은 레고가 어느 정도 있습니다. 레고 제품이 비싸기 때문에 레고 가계부를 써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공간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버리거나 매각합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수록 고민이 생깁니다. 나중에 레고를 정리할 시간이 올거 같은데, 마땅한 방법이 생각나지 않습니다. 무작정 버릴 수도 없고, 자식에게 물려주는 것도 애매합니다. 일본에서는 시니어 오타쿠의 컬렉션을 한 번에 정리해주는 서비스가 있다고 합니다. 바로 '생전 견적 서비스'입니다.
앞으로 한국이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노년에 대한 문제점이 많아질 것입니다. 그로 인한 새로운 서비스도 많이 나올 것으로 생각합니다. 시니어 대상의 사업 기회가 있지 않을까요?
일본에서 다거점 생활 플랫폼 '어드레스'가 있습니다.
퇴직 후 한적한 전원에서 생활하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중장년 남성들이 한 번쯤 생각한 주제가 아닐까 싶네요. 하지만, 와이프는 반대합니다. 전원생활을 해본 적도 없으면서 후회할 거라고 합니다. 맞습니다. 저도 잘 적응할지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월세나 전세로 살아보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하지만, 월세나 전세 물건을 구하기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어느 동네가 나은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어드레스'는 일본에 비어 있는 집들을 일과 생활이 가능하도록 개조해서 렌탈하는 서비스입니다. 회원제로 운영하고, 주인이 거주하지 않고, 비어 있는 집이라는 점에서 에어비앤비와 차이가 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 달에 40 만원 정도를 내면 미리 예약을 하고,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거주를 할 수 있습니다. 한국에도 필요한 서비스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한국도 지방에 빈 집들이 더욱 넘쳐날 것이니깐요. 집주인도 빈 집으로 두지 말고, 이런 서비스를 활용하면 좋겠죠.
출근할 때 지하철에서 책을 읽는데, 문득 책 표지를 감추고 싶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다른 사람이 보면 노년을 준비할 만큼 나이가 들었구나 생각할거 같았거든요. 평상시에 피하고 싶은 생각이 노후와 죽음이 아닐까 싶습니다. 노후를 생각하면서 기분이 좋은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실을 마주해야 합니다.
은퇴 후 몇 십년을 더 살아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오늘 자신의 노후를 상상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지면 어떨까요?
2024.11.16 Ex. Libris HJK
초고령사회 일본에는 ‘치매카페‘라는 것이 있다. - P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