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사회 - 내일을 팔아 오늘을 사는 충동인류의 미래
폴 로버츠 지음, 김선영 옮김 / 민음사 / 2016년 1월
평점 :
절판


근시사회/폴 로버츠/민음사/충동사회의 효율성 이데올로기에 분노하라~~

 

 

 

 

 

제목에서부터 찔리는 책인데요. 때론 반성도 하게 되고 때론 분노도 하며 읽은 책입니다. 

저자는 『석유의 종말』 『식량의 종말』을 쓴 저널리스트  폴 로버츠인데요. 그는 첨단 기술로 발전한 현대사회이지만 근시안을 가진 인간을 양산하고 중독자를 양산하는 사회, 초대형기업을 다루지 못하는 정부에 대해 질타합니다.

 

그의 지적대로 세상은 살기 좋아졌다는데도 불구하고 요즘 서민들의 삶은 더욱 팍팍해진 듯 합니다. 소비를 부추키는 사회가 되면서 지출은 줄어도 소비성향을 바꾸지 못하는 사람들은 살기가 더욱 어려워졌고요.  최소 비용의 최대효과라는 효율성 때문에 정부는 전체를 위한 공공재 투자보다 단기적 이익을 노리게 되었고요.  기업 역시 효율성 이데올로기에 갇혀 장기적인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보다 단기적인 인력 감소를 우선시 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정부, 기업, 가계 등 모두 효율성 이데올로기를 따르기에 근시안적인 승자독식 시장은 커져만 가고 개인들의 자기 몰두나 중독에 빠진 기현상도 벌어졌습니다.  효율성이라는 잣대로인해 가치 있는 것에 대한 기준이 달라지면서 대다수 서민들의 삶은 불안하기만 합니다.

 

 

 

 

저자는 이런 충동적이고 근시적인 사회의 핵심 원인에 경제와 기업, 효율성 이데올로기가 있다고 합니다. 효율적 시장과 주주 가치 논리에 이익을 독식하는 주주와 경영진들로 인해 점점  권력은 부패하고 있고 월 스트리트 발 금융위기로 금융파산의 피해는 99%의 서민들에게 돌아갔지만  미국 정부는 그런 기업을 손대지 못하고 있고요. 정부나 정치인들은 장기적인 사회기반시설이나 공공 투자로 일자리 창출을 할 수 있는 줄 알면서도 단기적인 눈가림 대책만 세우다가 실패를 거듭하고 있다는데요. 수치로 말하는 세상이기에  가치 있는 것을 가격으로 책정하는 도구는 없을까 고민하게 됩니다. 

 

 

 정부와 기업이 장기적인 안목이나 계획된 정책이나 전략보다 점점 근시적이고 충동적인 것에 익숙해지고 있기에 우려스럽네요.  노동력보다 금융을 중시한 결과 거대 공룡이 된 초대형 은행의 횡포는 미국 정부도 당해내지 못하기에 서민들이 피해를 입는 상황이 안타깝네요.  부의 축적이 상위 1%에 몰려있는데다 소득불평등으로 서민은 가계부채와 각종 중독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는 현실에 분노하게 됩니다.   

 

개인적 욕망이 가득한 이기적인 사회, 특수 상위 계층의 삶만 향상되는 기이한 분배현상, 공공재에 대한 투자는 충분치 않은 세상, 이기적인 만족이 불러온 사회적 위기나 국가 경제 파탄, 효율성 이데올로기의 사회적 한계와 문제점들, 비용절감에 대한 인적, 물적 감소로 인한 서민들의 피해 등 미국 사회의 문제점을 보니 남의 일 같지가 않습니다. 

강력한 개인부자, 위태로운 사회와 국가, 초거대 기업에 대한 정부의  통제력 상실,  사회 번영이 멈추고 개인의 자아실현이 어려운 시대, 도를 넘은 경쟁과 불안 등 모두 미국의 이야기지만 한국 사회에도 일침이 되는 이야기들이기에 분노하면서도 반성하게 됩니다. 

 

 

 

 

 

 

 저자는 근시사회에 대한 대안도 제시하고 있는데요. 공공재인 교육으로도 바꿀 수 있다지만 일단 가진 자들이나 초거대 금융기업들이  전체를 위해서나 공동체를 위한 방향으로 나아갔으면 좋겠네요. 슬로 라이프처럼 손익보다 건전성을 따지는 사회가 되도록 교육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 같고요. GDP로 표현되는 수치엔 사회적 공공재나 가치에 대한 수치가 없기에 성장보다 성숙을 지표로 삼을 수는 없을까라는 생각도 듭니다. 

 

건강을 잃고서야 건강의 소중함을 느끼듯,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치는 게 소용 없는 일이듯 공동체가 무너진 이후에 개인이 무슨 소용 있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국가, 기업, 개인의 근시안적 삶에 충격을 주는 이야기에 가치로운 것을 다시금 생각하게 된 시간이었어요. 소비 중심적인 충동사회의 근시안에 대해 분노하고 개혁하라는 일침이 가슴에 와 닿네요.

 

 

 

 


댓글(5)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6-02-23 22: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봄덕님, 좋은밤되세요.^^

봄덕 2016-02-23 23:40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님도 좋은밤 되세요^^~

고양이라디오 2016-02-23 2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ㅎ

봄덕 2016-02-23 23:39   좋아요 1 | URL
딱딱하고 어려울 것 같았는데, 의외로 재미있네요~~그건 아마도 미국사회의 문제가 한국사회에도 나타나기 때문인 듯 합니다. 문제는 건강한 사회, 서민이 웃을 수 있는 사회로 변했으면 좋겠어요~~

고양이라디오 2016-02-23 23:56   좋아요 0 | URL
저도 방금 <근시사회>를 다 읽었습니다^^

저자의 문제인식과 해결책이 참 마음에 와닿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