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담바고 문화사
안대회 지음 / 문학동네 / 2015년 3월
평점 :
여러 업무에 시달리는 직장인 남성에게 담배는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것이다. 담배 연기에 고민거리들을 실어 보내고 나면 왠지 마음이 시원해지는 느낌이 든다. 흡연은 술과 함께 대표적인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해소 방법으로 꼽힌다. 매년 새해맞이와 함께 금연을 다짐하는 직장인들이 많지만, 스트레스에 시달리다 보면 담배 생각이 간절해진다. 담배를 두고 백해무익하다고 말하지만, 어찌 됐든 오랜 세월 우리 곁에서 삶의 애환을 달래주는 역할을 해왔던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옛날에 담배를 가리키는 말이 무수히 많았는데 그중 하나가 ‘망우초(忘憂草)’다. 시름을 잊게 해주는 풀이라는 뜻이다. 시인 오상순의 호는 공초(空超)다. 공초란 ‘자신을 비우고 세상을 초월한다’는 큰 뜻이지만, 사실 궐련을 피우고 남은 꼬투리를 이르는 ‘꽁초’를 고상하게 바꾼 것이다. 오상순은 아침에 담배를 물면 잠자리에 들 때까지 담뱃불을 꺼뜨리지 않는 애연가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골초로 알려진 장유는 어전회의를 할 때도 담뱃대를 손에 놓지 않았다. 담배 냄새를 참다못한 인조가 어전에서 담배를 피우지 말라고 장유에게 지적을 할 정도였다.
요즘 흡연자들의 처지야말로 장유와 크게 다르지 않다. 공공건물에 들어서거나 길을 가다 보면 한쪽 구석에 처량한 모습으로 옹기종기 모여 있는 흡연자들을 보게 된다. 죄를 지은 것도 아니고, 외려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세금을 내고 있는데도 죄를 지은 것처럼 잔뜩 움츠린 채 담배를 피우고 있다. 늘 남의 눈치를 봐야 하는 데다 꽁초를 잘못 버리면 핀잔은 물론 망신당하기에 십상이다.
흔히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구수한 옛이야기를 들려줄 때면 흔히 서두로 꺼내는 말이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다. 아주 오래전에 일어난 일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지금도 사용되고 있는 이 말은 과연 어느 때를 가리키는 것일까. 놀랍게도 이 말이 처음으로 나온 시기는 구한말이다. 1910, 20년대에 호랑이가 담배를 피운다는 내용의 민담과 전설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일반적인 생각과 달리 호랑이가 담배를 피우기 시작한 시절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 사람이 담배 피우던 시절을 알려면 구한말 이전보다 더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보통 담배는 임진왜란 이후 국내에 들어온 것으로 알려졌는데 문헌마다 그 정확한 시기를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일본을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담배를 남쪽에서 들어온 신령스런 풀이라는 의미로 남령초(南靈草)라고 불렀다. 그 후 개화기 때까지 ‘담바고’로 불렸는데 ‘Tabacoo’라는 외래 음에서 나온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처음 담배가 선보였을 때 조선시대 사람들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열광적으로 환영했다. 유몽인이 쓴 「담바귀설」이라는 글에서 담배를 즐겼던 상황을 알 수 있다.
장안의 남녀가 어린애고 늙은이고 가리지 않고 병이 있거나 없거나 즐겨 태워서 연기를 마셔대니 코를 비트는 악취가 거리에 가득했다. 때때로 못된 소년배가 “아름다운 여자와 맛좋은 술을 참아도 담바괴는 참을 수 없네”라는 노래를 앞다퉈 부르고 다녔다. (33쪽)
임진왜란 무렵 일본에서 건너온 담배는 질병을 치료하는 약초로 알려져 순식간에 조선 팔도로 퍼져 나갔다. 일본 상인들은 담배를 약으로 팔았다. 여자는 물론 어린아이까지 담배를 피웠으니 조선 시대는 그야말로 ‘담배 천국’이었다. 정조는 인조의 핀잔과는 반대로 백성들에게 흡연을 노골적으로 장려하기도 했다. 정조도 골초였는데 그의 재위 기간 동안 금연을 주장하는 상소가 줄을 이었다. 이에 발끈한 정조는 ‘남령초 책문’을 내린다. 책문이란 국왕이 신하들에게 내리던 논술시험이다. 정조는 앞으로 담배 정책을 어떻게 했으면 좋겠는지를 각자 생각하는 바를 논하여 올리라는 명을 내린 것이다. 정조가 책문을 내린 이유에는 분명한 의도가 있었다. 자신이 내린 책문으로 담배를 배척하려는 주장들을 하나하나 반박해서 담배 옹호론을 밀고 나가려고 했다. 남녀노소 모두 담배를 피운다는 사실은 신분제를 무너뜨리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양반층들에 못마땅한 일이었다. 그렇다고 담배 피우는 행위를 금지할 수는 없는 일. 담뱃대의 차이를 통해 신분 귀천을 구분토록 했다. 담배를 담는 대통과 물부리를 연결하는 설대의 길이가 신분을 상징했는데, 양반은 설대가 긴 장죽을, 서민은 설대가 없거나 짧은 장죽이나 곰방대를 사용했다.
담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기호품으로 애용됐다. 차(茶)나 술 대신 손님 대접용으로 담배를 내놓는 풍습까지 생겼다. 그렇지만 담배에 대한 찬사와 긍정적 인식은 오래가지 않았다. 담배를 오래 피우면서 몸에 좋지 않다는 사실을 체험하는 사람이 늘어나게 되었다. 비옥한 논까지 돈 되는 담배재배에 매달리는 현상이 생기면서 사회문제로 번졌다. 유학자들 사이에서도 흡연론과 금연론이 맞붙었다. 조선 후기 들어 박지원과 이덕무 같은 학자들은 금연론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곰방대를 물고 한가롭게 담배를 피우고 있는 호랑이의 모습이 그려진 민화 속에는 전쟁 없는 평화로운 세상을 꿈꾸는 서민들의 염원을 담고 있다. 하지만 이 해석을 뒷받침해주는 명확한 근거가 없다. 어쩌면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이라는 말 속에는 금연론이 나오기 전, 남녀노소 누구나 담배를 피우던 시절을 의미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한때 흡연이 지식인들 사이에서 멋스러움의 상징으로 여긴 적이 있었다. 그때 그 시절이 애연가에게는 담배의 해악에 신경 쓰지 않고 마음껏 담배를 피울 수 있었던 평화로운 시기였다.
나라 곳간 때문이든 건강 때문이든 우리나라 담배의 역사는 흡연자와 비흡연자가 뒤엉켜 수세기에 걸친 논쟁이 만들어 낸 또 다른 흔적이다. 담배가 유해무익한 것을 알고 끊으려고 해도 끝내 끊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 세상에서 요망한 풀이라고 했다. 그런데도 담배는 조선의 백성들에게 근심을 덜어주는 벗이기도 했다. 지금은 아무리 건강에 위협적이라고 경고해도 요지부동인 흡연율이다. 여전히 우리 주변에 여전히 담배 연기를 날리고 있다. 만약에 정조가 환생한다면 무슨 말을 할까. 좁은 흡연실에 갇힌 것처럼 옹기종기 모여앉아 담배를 물고 있는 백성들의 후예를 만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