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이 뭔데? 왜 서평을 써야 하지?’ 매년 한 번쯤 나 자신에게 묻는다. 암만 물어봐도 만족스러운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 그래도 맞든 틀리든 나는 서평의 정의와 서평을 쓰는 이유를 꼭 알아야 한다. 어느 날 아폴론 신전 앞을 지나가던 테스 형이 말했었지. 너 자신을 알라. 사람들은 이 말을 “자신의 무지를 알라”는 뜻으로 자신의 내면에 새긴다. 나는 이 말을 빌려 내 손 안에 있는 작은 거울에 새긴다. “서평을 쓰는 너 자신을 알라.” 책을 읽으면서 내가 몰랐던 사실을 알면 겸손해진다. 바보 같은 내 모습을 철저히 반성하려면 일단 써야 한다. 그래서 나는 올바른 생각을 한 저자와 그렇지 않은 내가 마주친 결정적 순간을 반드시 서평으로 기록한다.
* 조지 오웰 《책 대 담배》 (민음사, 2020)
영국의 작가 조지 오웰이 쓴 에세이 『나는 왜 쓰는가』는 한 편의 작은 자서전이다. 이 글은 오웰의 에세이 선집 《책 대 담배》에 실려 있다. 이 글에서 오웰은 ‘나 자신에 관한 연재 서사를 창작하는 일’을 십오 년 넘게 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 기록 활동이 일기 같은 형식의 글을 쓰는 일이라고 했다. 오웰은 십 년 동안 글을 쓰면서 정치적 글쓰기를 예술로 만들고 싶어 했다. 확실히 그는 자신이 어떤 글을 쓰고 싶어 하는지를 잘 알고 있었다. 나는 십 년째 서평을 쓰고 있다. 그렇다면 지난 십 년 동안 내가 가장 쓰고 싶었던 서평은 무엇이었을까? 그것은 바로 어리석은 나 자신에 관한 서사가 담긴 서평이다.
누군가는 일기 형식의 서평을 독후감과 비슷하다고 생각할 것이다. 서평과 독후감은 서로 닮은 구석이 있으면서도 뚜렷한 차이가 있다. 서평과 독후감 속에 독자의 생각이 있다. 책과 관련된 자잘한 개인적인 생각을 기록하면 독후감이 된다. 서평의 주된 내용은 책에 대한 글쓴이의 객관적인 해석이다. 하지만 나는 서평과 독후감을 ‘가깝지만 먼 친척’ 관계로 보고 싶다. 서평 전문가처럼 서평과 독후감을 정확히 반을 가르듯이 구분하고 싶지 않다.
오웰은 글쓰기의 네 가지 동기를 언급했는데, 그중 하나가 ‘역사적 충동’이다. 역사적 충동은 모든 일을 있는 그대로 보고, 진실을 찾아내 그것을 보존해 두려는 욕망이다. 책의 내용을 잘 알려주면서, 책 앞에 고개 숙인 내 모습을 솔직하게 쓰고 싶은 욕망. 이 욕망이 내가 서평을 쓰는 이유이다. 『나는 왜 쓰는가』는 서평을 쓰는 나를 있는 그대로 보게 해준, 내 손 안의 작은 거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