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당시 참전한 16개국의 나라를 다 아시는 분이 계신가요??

ㅎㅎ 저도 16개국이란 것만 알았지 어느 나라가 참전했는지를 잘 모르겠더군요.그래서 한번 알아보니 미국,영국,호주,네덜란드,캐나다,뉴질랜드,프랑스,그리스,벨기에,룩셈부르크(여기까지가 흔히 말하는 서양 10개국),터키,태국,필리핀(동양 3개국),남아공,에티오피아(아프리카 2개국),콜롬비아(남미1개국) 이네요.


뭐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공산주의 세력을 막아햐 한다는 일종의 사명감때문에 참전했다고 하지만 지금은 한국보다 GDP가 낮은 6개국(터키,태국,필리핀,남아공,에티오피아,,콜롬비아)에서 당시 어디에 있는지도 몰랐을 한국을 돕기위해 와준것은 참 대단한 일입니다.


그중에서 참전국중에서 에티오피아가 있는데 참전이유가 참 특이하더군요.

1935년 에티오피아는 이탈리아의 침공을 받았었는데 당시 황제였던 셀라시에는 국제사회의 도움을 요청했지만 모두 거부당했다고 합니다.나라가 어려울때 도움을 받지 못했던 셀라시에 황제는 UN의 파병요청을 받자 "침략군에게 부당하게 공격당한 나라가 있다면 다른 나라들이 도와주어야 한다"며 흔쾌히 2차 대전당시 실전경험이 많은 초전박살이란 의미의 강뉴부대를 파병합니다.

<60년대말 국빈자격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박통과 이야기를 나누는 셀라시에 황제>


강뉴부대에게 셀라시에 황제는 "저 먼곳의 있는 한국인의 자유와 권리를 위해 목숨바쳐 싸워라.목숨을 걸고 이길때가지 싸워라.그렇지 않으면 죽을때까지 싸워라"라고 말했다고 하는군요.

그래선지 몰라도 강뉴부대는 약 6천명이 파병대 121명이 죽고 536명이 부상을 당했지만 크고 작은 253번의 전투를 모두 승리하는 놀라운 전과를 이룹니다.

<한국전에 참전한 강뉴부대>


하지만 셀라시에 황제의 근위대였던 강뉴부대원들은 에티오피아가 공산혁명으로 무너지자 공산주의 정권에 의해 집과 재산이 몰수되고 핍박을 받았다고 하네요.

하지만 그들은 한국을 도와준 것을 후회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저런 분들의 희생때문에 오늘날 대한민국의 발전이 있었다고 생각되네요.


우리도 전쟁당시 한국을 도운 에티오피아를 외면하지 않고 공산정권이 무너지고 91년 민주정권인 멜레스 정부가 들어서자 매년 원조 규모를 늘려 식수개발,학교건립등을 도와주고 2012년에는 9백만불을 들여 참전용사의 후손들을 한국에 불러 직업교육을 시키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선지 에티오피아에서도 한국이 60년전의 일을 잊지않고 에티오피아를 돕는데 무척 감사한다고 하는군요.


비록 정부가 과거 우릴 도운 에티오피에 대해 많은 원조를 하고 있지만 일반인들은 이 사실을 너무 쉽게 잊고 있는것이 아닌가 싶네요.

현재 대한민국의 발전에 에티오피아 강뉴부대원의 희생이 있었다는 사실을 6.25 즈음에는 우리모두 한번쯤은 기억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가 625전쟁 발발 66주년이었습니다.발발한지 이미 66년이나 지났고 게다가 이미 지난 세기의 일이다보니 이제는 그다지 크게 기념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만 그래도 아직 우리 주변을 살펴보면 625전쟁에 참여한 분들도 계십니다.


뭐 6.25전쟁이란 이미 과건의 유산이기에 아무도 크게 생각하지 않는것 같은데 그럼에도 엊그제 6.25관련 씁쓸한 기사가 났네요.

6.25때 같이 싸웠는데...


뭐 간략하게 요악하자면 6.25때 나라를 위해 목숨바쳐 싸웠는데 사는 지역에 따라 참전수당이 최대 20만원(충남 서산)에서 만원(광주 남구)으로 크게 차이가 난다는 기사입니다.6.25전쟁 참전수당은 참전자 모두에게 매월 주는 국가 수당(20만원)가 각 지자체 수당으로 나뉘는데 이 경우 서산에 사는 참전용사는 매월 40만원을 광주남구에 사는 참전용사는 매월 21만원을 수령한다는 것이죠.


사실 나라를 위해 싸운것은 똑같은데 사는 곳에 따라 이런 차별 대우를 받는것은 좀 부당하단 생각이 듭니다.요즘 정치권을 필두로 입만 살은 애국자들이 참 많은데 6.25전쟁 참전자들은 어떻게 보면 진짜 애국자란 생각이 드는데 그런분들에 대한 대우가 넘 형편없네요.과거 참전자들에 대한 후세들의 대우가 이리 형편없는데 앞으로 국가간 전쟁이 반발시 누가 총칼을 들고 나라를 지키려고 할까요?


기사 말미에 한 기초지자체 관계자는 22일 "살림살이가 쪼들리는 지역은 참전수당이 적을 수밖에 없다"며 "수십억에서 수백억원이 필요하므로 인상 요구를 수용하기 쉽지 않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고 하네요.

과연 그렇게 많은 돈이 들어가나 살펴볼까요?


일단 6.25전쟁 참가자만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6.25전쟁 발발시 약 90만명이 참가했다고 하는데 2016년현재 보훈처에 따르면 6.25참전 용사중 살아계신 분은 약 13만 8천명이라고 합니다.

정부는 이분들에게 매달 20만원을 지급하는데 총 액수는 년간 3,312억원 입니다.각 지자체의 경우 워낙 금액 편차가 크기에 평균 10만원으로 계산시 약 1,656억원이 들어갑니다.따라서 각 지자체의 경우 참전수당을 20만원으로 증액시 역시 1,656억원의 예산이 더 필요하니 위 기사의 관계자말에 일견 수긍이 갑니다.


하지만 각 지자체의 년간 예산에서 6.25참전 용사의  참전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이 얼마나 될까요.

참전 수당을 20만원으로 할시 각 지자체 부담 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억원>

지역   참전자수  년간부담액  년간 예산  비중
 서울  22.318  536  275,345  0.195%
 부산  7,885  189  105,732  0.179%
 대구  5,920  142  72,132  0.197%
 인천  8,474  203  89,602  0.227%
 광주  2,215  53  41,061  0.129%
 울산  1,627  39  37,240  0.105%
 세종  472  11  10,488  0.108%
 경기  29,003  696  362,495  0.192%
 강원  6,395  153  94,160  0.163%

 충북  5,182  124  71,267  0.174%
 충남  8,200  197  102,882  0.191%
 전북  6,832  164  94,785  0.173%
 전남  7,289  175  117,039  0.149%
 경북  11,554  272  152,226  0.182%
 경남  8,496  204  140,268  0.145%
 제주  2,153  52  38,905  0.133%


위표에서 알수 있듯이 6.25 참전 용사들의 참전 수당을 20만원을 올린다고 해도 각 지자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부담을 많이 하는 곳이라고 해봐야 약 0.2%가 넘질 않습니다.

예산의 0.2%가 많은면 많고 적으면 적다고 할 수 있지만 각 지자체에서 늘상하는 뻘짓예산(뭐 시의원이나 공무원 해외여행등등)이나 지자체장의 선심성 예산만 줄여도 이 정도 부담은 충분히 커벌할수 있단 생각이 듭니다.


6.25 참전용사들의 나이는 어린분이 70대 초반이고 많은신분들에는 100세가 되신분들도 있습니다.이분들이 얼마나 더 사실지는 모르겠지만 대한민국이 이 정도로 발전할수 있는 초석을 다지신 분들에게 이정도 금액도 벌벌떨며 드리지 못하는 것도 참 챙피한 일이라고 할 수 있지요.

참전 용사들이 아직 살아 계실적에 이분들의 노고에 대해 좀더 감사하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by caspi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녀고양이 2016-06-26 20:5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카스피님, 안부 인사 드려요.
한동안 못 뵌 것 같은데, 닉네임을 보니 너무 반갑고...
저도 알라딘 활동이 띄엄띄엄한데다 오랜 분들의 활동이 뜸했어서 더욱 반갑네요.

바탕 그림인 하지원도 반가와지는군요. ㅋㅋ

카스피 2016-06-27 22:41   좋아요 1 | URL
ㅎㅎ 마고님도 안녕하시지요? 뭐 저도 개인사정으로 뜸하게 서재에 들어왔네요.앞으로 좀더 자주 들어오도록 하겠습니당^^

moonnight 2016-06-26 22: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구구절절 옳은 말씀입니다ㅠㅠ 씁쓸하고 부끄럽네요. 이 분들 없었으면 지금의 우리도 없었을텐데요. 말씀대로 엉뚱한데 쓰는 예산만 이용해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말입니다. ㅠㅠ;

카스피 2016-06-27 22:42   좋아요 0 | URL
솔직히 대한민국이 이분들 수당 못줄정도로 가난하지 않을텐데 뭐 결국 성의문제겠지요ㅜ.ㅜ
 

아침이 집밖을 나오는데 주로 쓰레기를 버리는 담벼락에 피가 묻은 뭔가가 버려져 있더군요.뭔가 해서 자세히 가보니 길 고양이 시체입니다.피가 난것으로 보아 아마도 차에 치어 죽은것 같네요.

어제밤에 쓰레기 봉지를 버릴때만 해도 고양이 사체가 없었으니 아마도 새벽녘에 차에 치인것 같습니다.


고양이는 날쌔세 웬만해서 차에 치지 않았을 텐데 새벽녁이라 사람이 없다고 차가 골목길을 굉장히 빨리 달렸거나 아님 고양이가 병이 들어 차를 미쳐 피하지 못했나 봅니다 ㅜ.ㅜ

제가 치워죽 싶었으나 고양이를 담을 마대나 봉투도 없고 또 어디다 묻어야 될지 몰라서 다산콜에 문의하니 동물 로드킬사고라고 하면서 신고하면 구청에 연락해 치워간다고 합니다.이런 사고가 많이 있는지 전화 담당자도 어디묻지 않고 바로 처리하시네요.


거리에 돌아다니는 동물들에 대해 사람들은 이를 보호하거나 혐오하시는 분들로 나뉘시는 것 같습니다.하지만 그들도 넓게는 우리 사회의 한 구성원일거란 생각이 드는데 좀더 보담아 주는 마음이 없는것이 안타깝습니다.

어려서부터 많은 반려동물을 키웠는데 차에 친 길 고양이 시체를 보니 아침부터 맘 한구석이 아파오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성이 밤길을 가다가 범죄의 위협을 느낀다면 편의점으로 피하란 기사가 났네요.

편의점이 여성 지킨다.


일단 여성들의 입장에서 어두운 밤길 범죄의 위협을 느꼈다면 24시간 운영하는 편의점으로 피한뒤 경찰의 도움을 받는것도 한 방법이라고 여겨집니다.

그런데 뉴스속에서처럼  편의점이 과연 안전할까 하는 의문이 드네요.


여성을 쫒아온 범인이 편의점의 CCTV등을 꺼려 범죄를 포기하면 좋겠지만 편의점이 안전지대가 될수 있나 궁금해 집니다.CCTV와 경찰 호출벨이 있음에도 그간 편의점이 범죄의 대상이 된 적이 많기 때문이죠.

게다가 여성을 상대로 범행을 저지르기 결심한 범인이 여성이 편의점으로 들어갔다고 범죄를 과연 포기할까하는 의문도 듭니다.왜냐하면 편의점 야간에  남자 알바가 있으면 그나마 좀 낫겠지만(뭐 남자 알바라도 칼 앞에 장사는 없습니다만..),여성 알바일 수도 있고,요즘은 편의점도 수익이 나질 않아 중년 이상의 부부가 교대로 장사하는 경우가 많아서 경찰이 올때가지 범인과 대치하기가 힘들거란 생각이 들기 때문이죠.


요즘 묻지마 살인떄문에 많은 여성들이 불안에 떨기에 경찰이 고육지책을 내놓은것 같은데 치안의 한축을 그냥 편의점에 맡겼다가 편의점 알바나 주인이 다쳤을 경우 또 무슨 비난을 받게될지 좀 그렇단 생각이 듭니다.

물론 편의점에서 호출이 올시 즉각 출동하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겠지만 지금의 부족한 경찰 병력으로 모든 편의점을 커버할수 있을지 걱정이 앞서네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랜섬웨어로 개인과 회사의 중요 데이터를 볼모로 잡은 해커들은 돈을 요구하는데 우리가 흔이쓰는 원이나 달러가 아니라 비트코인이란 화폐를 요구합니다.

 

비트코인이란 무엇인가

 

비트코인은 각국 정부의 중앙은행이 보장하는 화폐가 아니라 인터넷상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가상의 디지털 화폐라고 할수 있는데 사용의 편리성때문에 국내에서도 점차 이를 이용하는 인터넷 쇼핑몰등이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마 비트코인의 가장 중요한 특징인 익명성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이른바 검은돈이 인터넷 시장거래를 수사당국이 파악할수 없으며,이에 따라 탈세나 돈세탁뿐만아니라 음성적 정치자금역시 파악할수 없다는 단점이 있네요.

게다가 비트코인 자체가 불안정해서 사기나 해킹,투기등으로 가치 자체가 들쑥날쑥해서 쉽게 돈을 벌수도 있지만 쉽게 망할수도 있는 구조하고 하네요.

 

 

 

이처럼 비트코인은 향후 미래의 디지털 머니의 한 축이 될거란 생각이 들지만 아직 국내에선 이와 관련되 책이 그다지 많이 나오질 않은것 같습니다.

 

비트코인의 창시자가 비크코인이 나쁜목적에 이용하려고 이를 만든것은 아니겠지만 현실적으로 랜섬웨어를 만든 해커들이 익명성의 비트코인을 요구함으로써 수사당국의 손길을 피파고 부를 축적한다고 하니 악화가 양화를 구축한다는 말이 새삼 머리속에 떠올라 씁쓸한 맘을 감출수가 없네요ㅜ.ㅜ

by caspi


댓글(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세훈 2016-06-20 15: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비트코인 평생채굴권으로 평생연금만들기★





비트코인의 엄청난 성장에 힘입어 국내에서도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회사에 투자하는것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아래 4곳의 마이닝 회사는 전세계 4대 마이닝

회사로 한곳에 집중하기 보다는 분산 투자가 답임을 알려드립니다...^^




*1탄 - 일일수익률 0.8%

제네시스 마이닝 857일 : https://www.genesis-mining.com/a/339918

※3%할인 제휴코드 : q3P0Aw

공식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GenesisMining

유투브 : https://www.youtube.com/c/Genesismining_official

특징 - 가장 안정되고 믿을만한 회사 / 자동으로 매일지급 / 저렴한 유지수수료

안정성★★★★★

수익성★★★

편의성★★★★

--------------------------------------------------

*2탄 - 일일수익률 1.2%

HashFlare(해쉬플레어) 468일 : https://hashflare.io/r/419C6F9A

추천보너스 10%(비트코인 보상)

공식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HashFlare

특징 - 매우 낮은 유지 보수 수수료 / 선택 가능한 마이닝풀 / 수동출금이지만 높은 신뢰성 / 높은 수익률

안전성★★★★

수익성★★★★

편의성★★★★★

--------------------------------------------------

*3탄 - 일일수익률 2.3%

HashOcean(해쉬오션) 511일 : https://hashocean.com/signup/?rid=749860

추천보너스 5%(채굴권 보상)

유투브 : https://www.youtube.com/channel/UC4cdufscf5R50B1Q6KcmkUg

특징 - 높은 수익률 / 믿을만한회사 / 저렴한 유지보수료 / 자동으로 매일지급

안전성★★★★

수익성★★★★★

편의성★★★★

--------------------------------------------------

*4탄 - 일일수익률 2.3%

BITSRAPID(비트스라피드) 184일 : http://bitsrapid.com/login-signup.php?refid=189614

추천보너스 10%(채굴권 보상)

공식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bitsrapid

특징 - 높은 수익률 / 저렴한 유지보수료 / 자동으로 매일지급

안전성★★★

수익성★★★★★

편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