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강남구인데 전투기 비행 소리가 겁나 크게 들리고 있네요.대략 3~40분 정도 지속되는 것 같은데 보통은 1개 편대가 지나가면 그치는 것이 일반적인데 오늘은 유독 전투기 비행 소리가 잦은 것 같습니다.

인근에 성남 비행장이 있어서 전투기들 이 착륙이 있는 것은 알고 있지만 이 정도면 무슨 훈련이나 아님 에이쇼정도가 있어야 들리는 수준의 굉음이 지속적으로 들리고 있네요.ㅎㅎ 설마 전쟁이 난것은 아닐테고...

그나저나 인터넷에 검색해 봐도 무슨 일이 있는지 아무런 정보가 없네요.아마튼 더워서 창문을 닫을 수도 없는제 진짜 겁나 시끄럽습니다ㅜ.ㅜ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25-07-10 11: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끔 큰 소음이 들리는 비행기가 지나갈 때가 있나봐요. 유리창이 흔들리는 것 같을 때도 있고요. 그럴 때는 낮은 고도에서 지나가서 그런 것 같기도 합니다. 별일 없을 것 같은데, 너무 더워서 창문 열고 있으면 소음이 크게 들릴 것 같긴 해요. 카스피님, 더운 날씨 조심하시고, 시원한 하루 보내세요.^^

카스피 2025-07-11 02:36   좋아요 0 | URL
아마 비행훈련이아 이동중이 였을 것 같은데 아무래도 너무 장시간이다 보니 넘 시끄럽더군요^^;;;
 

어제 뉴스시간에도 나온 보도지만 어제는 올 들어 전국적으로 가장 무더운 날싸였다고 하더군요.그래선지 문자로 특별한 일이 없으면 외출을 자제하라고 알려줄 정도였지요.


장마가 물건너갔다는 소리를 듣다보니 그리고 햇빛이 쨍한 날씨들이 계속되다보니 외출시 우산을 가지고 간다는 생각은 요즘 전혀 못하고 있죠.

근데 퇴근길에 갑작스레 폭우가 쏟아지더군요.마침 집에 가던 길이라 버스안에서 비가 오는 것을 보고 지나가는 소나기인가 보다 생각하면 차도 막히니 집에가는 시간이 걸릴테니 그 안에 그치겠지 하는 안이한 생각을 가졌는데 웬겔 버스에 내려서도 엄청나게 폭우가 쏟아지더군요.버스 정류장에서 내려 비를 맞다보니 할 수 없이 집까지 걸어가는데(ㅎㅎ 눈이 잘 안보이니 뛰다 넘어지느니 차라리 비를 맞는 것이 덜 위험합니다),정말 물에 빠진 생쥐마냥 홀딱 젖었습니다.


집에와서 씻고 몸을 말리면서 비가 와서 더위가 한풀 꺽이니 좋긴한데 이런 국지성 호우가 자주 온다면 곤란하니 늘상 우산을 가지고 다녀야 겠다가 새삼 마음을 먹게 됩니다^^;;;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25-07-09 2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갑자기 비가 너무 많이 올 때는 우산을 써도 피하기 어려워요. 잠깐만 피해서 기다리다 10분정도 지나서 가는 것도 좋아요. 비가 와도 조금 적어질거예요.

카스피 2025-07-10 01:28   좋아요 1 | URL
근데 비를 그치길 기다리면서 한참을 있어도 비가 그칠 생각을 안하기에 과감하게 비를 맞고 집으로 돌아오면 곧바로 비가 그치니 참 어처구니가 없더군요ㅡ.ㅡ
 

저녁을 간단하게 먹고 열대야의 열기를 식히기 위해서 선풍기를 쐬고 있는데 갑자기 아주 진하게 타는 냄새가 후각을 자극합니다.

혹시 전기 과다 사용으로 어디선가 쇼트가 나지 않나 싶어서 일일히 전기 콘센트를 점검하고 가스밸브도 확인해 보았는데 아무 이상이 없더군요.


혹시 밑에 사는 집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이 아닌가 싶어 계단 아래로 내려가 보았는데 타는 냄새는 희미하게 낫지만 아래층 집에서 나는 것 같지는 않더군요.

계속 계단을 걸어 1층으로 내려간뒤 길거리로 나와보니 매캐한 탄 냄새가 아주 진하게 바람을 타고 골목길에 가즉 차 있더군요.혹시 인근 어디에서 화재가 발생했나 싶어 주변을 돌아봤지만 다행이 불이 난 곳은 없더군요.


아마 인근에서 불이 났는데 그 연기가 바람을 타고 제가 살고 있는 곳까지 날아왔나 생각하며서 집으로 올라왔는데 곧바로 소방차 사이렌 소리가 아주 심하게 울리내요.역시나 인근에서 불이 난 모양입니다.화재가 얼른 진압되서 아무런 인명 피해가 없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화재는 보통 겨울에 많이 일어난다고들 하는데 여름의 경우에도 선풍기나 에어컨등을 많이 사용하여 과부화로 인해 전기 화재가 많이 생긴다고 합니다.아무처럼 더운 여름이지만 냉방 기구를 적절하게 사용해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도록 모두들 주의 하셔야 될 것 같네요ㅡ.ㅡ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moonnight 2025-07-07 02: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고 그래도 사시는 곳 화재가 아니라 천만다행입니다@_@; 토요일 퇴근 때 직장에서 전기 타는 냄새(?) 가 나서 차단기 내리고 왔는데 괜찮은지 모르겠네요. 잊고 있다가 문득 @_@;;;너무 덥다보니 에어컨 과다사용 때문인가 싶기도 하고.. 여름에도 화재 무서워요ㅠㅠ

카스피 2025-07-07 10:15   좋아요 0 | URL
글쎄 말입니다.요즘 안타까운 화재사건 뉴스들이 많이 봐서인지 불조심을 더 하게 되더군요.특히 여름의 경우 더위로 집에서 가스를 잘 쓰지 않아서 가스 화재는 줄어드는 편인데 냉방을 위해 갖종 전자제품을 많이 사용하다보니 과부하로 인한 화재에 주의하란 말을 자주 듣는것 같습니다ㅜ.ㅜ
 

한국의 경우 보통 6월부터 장마가 시작되서 7월중순경에 끝나면서 8월말 9월초까지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패턴을 보여주지요.이건 매년 그랬던것 같습니다.


올 여름 시작되는 5월말 기상예보를 되짚어보면 보통 6월달에 많은 비를 뿌리는 장마가 시작되니 장마 피해를 예방하라는 뉴스를 자주 본것 같습니다.그리고 실제 이웃인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 5월달부터 장마비인지 모르겠지만 집중 호우가 자주 와서(뭐 뉴스를 보니 100년만의 홍수다라고 보도하더군요),도시가 물에 잠기고 이재민이 발생하고 산사태가 발생하는 등 난리가 아니더군요.그런데 히한하게 한국에만 비가 안내리고 있네요.


그리고 우리나라도 6월말부터 장마기 시작된다고 보도가 되던데 7월 초인 현재까지도 도대체 비가 내릴 기미가 전혀 안보이고 오히려 전국에 폭염 주의보가 내릴 지경입니다.이러다가 올해는 마른 장마를 보내고 그냥 9월초까지 무더위가 계속 될까바 걱정이네요.


요즘 너무 더워서 밤에 잠을 이루기도 힘든데 비가 좀 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는데 기상예보다 장마와 같은 큰 비보다는 지역에 따라 국지성 호우가 올거라는 예보를 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비가 안와서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것도 걱정이지만 그보다 올해 장마가 심할것이라고 예상해서 저수지나 댐등에서 미리 방류를 했다는 기사를 얼핏 본것 같은데 만일 올 여름 큰 비가 오지 않으면 그건 그것대고 큰 문제인것 같습니다.

참 비는 내려도 안내려도 사람의 마음을 졸이게 만드는 것 같네요ㅜ.ㅜ

by caspi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페크pek0501 2025-07-03 12: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장마가 쉰다고 해서 다행이다 싶었는데 그래도 문제군요. 홍수와 가뭄, 둘 다 문제지요.^^

카스피 2025-07-04 01:44   좋아요 0 | URL
일장일단이 있는데 중국이나 일본의 피해사례를 보면 역시나 홍수가 가뭄보다 인명피해가 훨씬 더 크더군요
 

병원에 가는 길에 쓰고 있는 LG폰의 베젤 부분이 벌어져서 터미날 부근의 LG AS센터에 다녀왔습니다.그동안 케이스를 쓰고 있어서 몰랐는데 워낙 오래된 사용(대략 5~6년)사용하다보니 플라스틱 케이스도 삭아서 얼마전에 케이스를 벗겨냈는데 그 때서야 폰의 베젤 부분이 들떠 있는것을 확인 했습니다.

서비스 센터를 한번 간다 간다 하면서도 보기가 안좋아서 그렇지 당장 쓰는 데는 큰 불편이 없어서 차일피일 미루었는데 오늘 마침 병원 예약날이라 겸사 겸사 방문했습니다.


담당 기사님이 베젤이 벌어지는 것은 안에 방수 테이프가 시간이 흘러 접착력이 약해져 떨어진 것으로 다시 붙이면 되지면 현재 터미널센타에는 방수테이프가 없어서 다른 서비스 센터에서 주문을 해야 된다고 하더군요.그런데 한가지 참 이해하기 힘든 점이 베젤을 붙이는 테이프야 부품이기 때문에 비용을 지불하는 것은 알겠는데 그걸 붙이는 공임료를 받는다고 하더군요.중소업체의 AS경우에도 부품값은 받지만 수리비 명목의 공임료를 받는 것을 본 기억이 없는데 대기업인 LG전자에서 이런 짓(?)을 한다니 당최 이해가 가질 않더군요.태블릿 고장으로 수차례 삼성 센터에 가서 수리를 맞기고 고쳤지만 항상 무상으로 진행했지 공임료 달란 말을 들은 기억이 없는데 LG가 왜 국내에서 2등인지 왜 핸드폰 사업에서 철수했는지 알 수 있을것 같으면서 왜 사람들이 굳이 컴이든 뭐든 삼성 제품을 고집하는지 새삼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차피 베젤이 벌어져서 쓰다가 망가질 수 있으니 고쳐야 되서(새폰을 사면 좋지만 요즘 쪼달리다 보니^^;;;) 일단 알았다고 하고 다음주에 고치기기로 했습니다.


ㅎㅎ 이런 글을 올리려고 한 것은 아니고 한가지 정보를 알려드릴려고 하는데 혹시 LG폰을 지금도 쓰고 계신 알라디너 분들이 계시다면 잘 보시길 바랍니다.

서비스센터에서 들은 이야기인데 LG전자가 핸드폰 사업을 철수 한지 4년이 되었기에 올 6월달까지만 핸드폰 서비스를 접수 한다고 합니다.즉 7월 부터는 LG폰이 고장나도 서비스센터에 가도 접수를 하지않고 고쳐주디도 않는다고 하네요.

혹시라도 LG폰을 사용하시는데 자잘한 고장이 있어 서비스 센터를 갈까말까 망설였던 분,배터리가 좀 빨리 닿네하고 생각되시는 분들은 6월말까지 LG서비스 센터를 방문하시기 바랍니다.앞서 말한대로 7월부터는 아예 접수 자체를 안하니 필히 방문하시길 바랍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