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26주년 관련 나의 기록을 캡쳐했는데 올린다 하며서 알라딘의 글 삭제 논란때문에 정신이 없어서 올리는 것을 깜빡했네요.

ㅎㅎ 이렇게 보니 정말 재미있네요.이런것을 보면 알라딘이 큰 돈 들이지 않고 마케팅 효과는 잘 보는 것 같아요^^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7월 중순(대략 12일 경) 알라딘 서재지기에게 질의를 했는데 이후 답변 확인을 하려고 보니 글이 삭제되어 제 서재와 알라딘 서재지기에게 삭제 이유를 묻는 글을 동시에 올렸습니다.그 뒤에도 답변이 없어 제 블로그에 이와 관련 여러글을 올렸습니다.

하지만 알라딘에서 무응답으로 두 주간 넘게 묵살하다가 그래도 달은 넘기지 말아야 겠다고 생각했는지 7월 31일에서야 겨우 제 서재글에 답변을 남겨놓았네요.


안녕하세요, 고객님.

우선 서재 이용에 혼선을 끼쳐드린 점 깊이 사과드립니다.

서재지기 서재에 남겨주신 글은 담당자가 임의 삭제한 것은 아니며,최근 서재지기 서재의 효용이 많이 달라지게 되어, ‘요청 사항‘게시판을 닫아두게 되면서 글이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 메뉴는 이후에도 재개 예정이 없고, 다른 방식으로 개편될 예정입니다.

문의하여주신 내용에 대하여는 , 공개 댓글로 안내드리면 불편하실까봐 우려되어,혹시 추가로 궁금하시거나, 불편하신 점이 있다면 번거로우시겠지만 고객센터> 일대일 상담을 이용하여주시면 다 빠르게 상담원이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편안한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대략 이런 취지의 글인데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습니다.

서재지기 서재에 남겨주신 글은 담당자가 임의 삭제한 것은 아니며,최근 서재지기 서재의 효용이 많이 달라지게 되어, ‘요청 사항‘게시판을 닫아두게 되면서 글이 보이지 않게 되었습니다.

▶즉 내가 쓴 첫번째 글이 안보인 것은 담당자가 임의로 삭제한 것이 아니라 요청자 게신판 글을 닫아서 안보이게 되었다고 하는군요.뭐 시스템상 그럴수도 있지요.

그런데 문제는  ‘요청 사항‘게시판을 닫아두게 되었다면 제가 쓴 두번째 글도 보이지 않아야 되고 글도 쓰여져서는 안되는데 지금까지도 두번째 글은 서재지기에 살아있는 것이 이해가 가질 않는군요.(2025.8.1 오전 3시 50분 현재 확인 결과 알라딘 서재지기에 쓴 두번째 글은 블라처리 안되고 아직도 살아있음)

즉 같은 시스템하에서 동일한 작성자가 서재지기에게 쓴 글 중 첫번째는 블라인드 처리되고 두번째 글은 보인가는 것이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아마 프로그램 개발자가 엉성하게 전산작업 했거나 담당자의 변명중 하나겠지요.

그리고 알라딘의 편의로 서재지기 요청사항 게시판을 닫는 결정을 내렸다면 그 내용을 알라디너에게 미리 공지했어야 했는데 지금까지도 아무런 공지하나가 없습니다.(확인결과 알라딘 서재지기 마지막 공지사항은 23/2/2 알라딘 북플 오류를 해결했다는 글임)

그리고 늦게나마 답변을 했다는 것은 알라딘 말마따니 원글이 삭제되지 않고 보관처리(즉 글쓴이에게만 블라처리됨)되었다면 알라딘에서 제 글들을 확인할 시간이 충분히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2주 넘게 무대응으로 일관했다는 것 역시 이해하기 힘듭니다.


문의하여주신 내용에 대하여는 , 공개 댓글로 안내드리면 불편하실까봐 우려되어,혹시 추가로 궁금하시거나, 불편하신 점이 있다면 번거로우시겠지만 고객센터> 일대일 상담을 이용하여주시면 다 빠르게 상담원이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이 답변도 정말 웃기기 짝이 없습니다.

알라딘에 사과 댓글을 단 곳 역시 제 개인 페이퍼중의 하나인데 솔직히 이 사과댓글을 읽을 알라디너는 없다고 해도 무방할 정도입니다.아니 글쓴이가 아니라면 누가 궁금하다고 일일히 댓글 확인할까요???

그런곳에 댓글을 달며서 공개댓글로 안내하면 불편할꺼라는데 뭐가 불편한지 솔직히 잘 모르겠네요.그 정도로 마음을 썼다면 아예 비밀댓글로 써주면 될텐데 말이죠.

그리고 정말로 글쓴이에 대한 불편을 배려했다면 번거로우시겠지만 고객센터> 일대일 상담을 이용 라고 쓸것이 아니라 내가 원글에 쓴 내용에 대해 답변을 하는 것이 아마 더 마음에 와 닿았을 겁니다.

아니 동일한 내용을 원글이 삭제되지 않았다고 하니 무슨 내용인지 뻔히 알텐데 무슨 동일한 내용을 다시 일대일 상담란에 써달라니 아니 담당자는 자기가 하는 말이 말인지 방구인지 구별을 못하나 봅니다.


말 한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다는 속담이 있습니다.그만큼 대응이 중요하다는 것인데 요즘 각 기업은 고객 관리(CRM)에 공을 기울이고 큰 비용을 지출하고 있는데 CRM관련 각종 책들을 판매하고 있는 국내 굴지의 인터넷 서점 알라딘은 CRM책은 판매만 하며서 자사 직원들에게는 책 한권 읽으라고 권하지 않나 봅니다.


이번 알라딘의 사과글은 개인적으로 받을 적에 그냥 그러 그런 면피성 사과글에 불과하다고 생각됩니다.사과글 내용 어디에도 글 삭제이유도 제대로 납득이 가질 않고 사후 처리도 매우 미흡했으며 원글의 질의 사항에 대한 피드백도 전혀 하지 않은 정말 무성의의 극치를 달리고 있습니다.


기업은 항상 잘나간다고 생각할때 늘 주의를 기울여야 됩니다.잘나가는 기업도 순식간에 나락으로 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이죠.알라딘도 이점 유념하시길 바랍니다.입으로만 고객을 최우선으로 한다고 떠들지 말고 작은것 하나 하나 실천할적에 실제 고객들이 감동을 받는 다는 것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즘 넷플릭스 애니 케데헌 때문에 전 세계가 난리가 아니라고 하지요.케데헌 푹 빠진 외국인들이 영화속 디테일을 검증해 보겠다고 직접 한국으로 여행을 오는데 그 덕분에 덩당아 바빠진것이 바로 국립 중앙 박물관이라고 합니다.


특히 외국인들이 국립 중앙 박물관에 우리 전통 문화재를 관람하기도 하지만 역시 요즘 한창 인기라는 문화재 굿즈의 경우 외국인들에게 인기가 높아서 없어서 못판다고 합니다.

이런 시대의 흐름에 재빨리 편승해 알라딘에서도 전통 문양 키링을 만들어서 판매하고 있네요.

가격은 8,800원으로 다소 비싼 듯 싶지만 우린의 전통 문양을 잘 표현하고 있어서 특히 외국인들에게 인기가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혹시 외국인 친구가 있는 알라디너 분들이라면 한두개 사서 선물하면 외국인 친구들이 무척 좋아하지 않을까 싶네요^^

by caspi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yamoo 2025-07-31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만원도 안하는데, 하나 구입하고 싶네요...박물관 굿즈는 나오기가 무섭게 품절된다고 합니다..못구해요...저같은 사람은..ㅎㅎ

카스피 2025-07-31 17:13   좋아요 0 | URL
넵,박물관 굿즈가 좋기는 한데 원래도 외국인들한테 인기가 많았지만 올해 케데헌 인기탓에 더 많은 외국인들이 몰려서 굿즈가 품절이라고 하네요.
아마 작년 굿즈 판매만 220억이라고 하니 정말 대단한 일이지요^^

꼬마요정 2025-07-31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거 달고 다닙니다. 야광도 되구요, 진짜 귀여워요 ㅎㅎㅎ

카스피 2025-07-31 17:13   좋아요 0 | URL
ㅎㅎ 그러시군요.넘 이쁠것 같습니다^^
 

확실히 요즘은 한 밤중에도 너무 무더운 것 같습니다.그러다보니 자다가 너무 더워서 잠에서 깨는 적이 많은데 다시 잠이 오질 않아서 새벽에 알라딘 서재에 들어오는 빈도가 확실히 늘어났네요.


그런데 무더위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하는 분들은 저만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오늘 새벽에 깨서 서재에 들어와 보니 방문자수가 200명에 육박하더군요.9시 15분 현재는 거의 300명입니다.

아무래도 열대야 때문에 잠을 이루지 못해서 새벽에 알라딘 서재에 들어오시는 분들이 확실히 증가한 것 같아요.

참 언제 이 무더위가 끝날지 갑갑해 집니다ㅡ.ㅡ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서재지기에게 왜 질의한 글을 삭제했냐고 묻는 글을 쓴지 벌써10일 지났는데 알라딘 측에서는 아직까지 답변이 없네요.

그냥 지쳐서 제풀에 쓰러지길 기대하는 것 같은데 ㅎㅎ 오기가 생겨서 과연 언제까지 답변을 안줄것인지 매의 눈으로 지켜 볼랍니다.

정말 알라딘도 일반 회원들은 개돼지로 보는가 봅니다.

by caspi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