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라나라에서 평균적으로 책을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직업은 어떤 직업일까요? 그건 아마도 대학교수가 아닐까 싶습니다.

대학교수는 대학생을 지나 대학원에서 조교생활을 하며 석박사를 딴뒤 시간강사,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정교수등 몇십년에 걸쳐 연구를 하면서 자신의 전문분야의 수많은 책들을 보관하고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대학교수들도 세월이 흘러 어느샌가 정년 퇴임의 순간이 오면 가장 큰 문제가 자신이 수십년간 연구하며 모우고 수집한 각종 자료와 전문서적을 어디다 둘데가 없단 것입니다.교수실에 두자니 새로운 사람이 쓸 공간이 부족해서 안되고 도서관에 기증하자니 역시 공간이 부족하고 자신의 집으로 가져가지나 이 역시도 둘 공간이 부족합니다.이처럼 기증할 곳을 찾지 못하면 결국 헌책방이나 파지상을 부를 수 밖에 없고 몇십년에 걸친 모운 전문서적들은 이렇게 사라지고 말지요.물론 교수님에 따라 학생들이 가져가게 공고를 내기고 하지만 오래된 책을 가져가는 착한 제자들은 매우 드뭅니다.


교육부 통계를 보면 한해에 천명의 교수가 퇴임한다고 합니다.한명의 교수가 대략 2천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다면 매년 약 이백만권의 전문도서들이 기증받을 곳을 찾지 못해 헌책방이나 파지상으로 흘러들어간다는 말이죠.

물론 헌책방에 흘러간 책들중 일부는 새로운 주인을 만가기도 하지만 대부분 전문도서다 보니 헌책방에서 오랜기간 진열되도 찾는이가 없으면 결국 파기처분 되고 말지요.

이에 일부 교수님들과 사회단체들은 교수들의 전문도서를 기증받을 공공헌책방을 설립을 제안했지만 일반 도서들도 잘 읽지 않는 판에 전문도서를 읽을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되며 이를 위해 세금으로 공공헌책방을 설립하는 것도 타당치 않아서인지 실행되지 않고 있는것 같습니다.


교수님들이 연구하신 전문 서적들은 일반적인 헌책이 아니라 후세를 위해 남겨둘 책입니다만 역시나 책을 보관할 공간이 개인적으로도 대학도서관에서도 공공도서관에서도 부족하다는 것이 제일 큰그 문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론 교수님들의 연구를 위해 보관했던 전문 서적들은 후학들을 위해서 디지털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단 생각이 듭니다.디지털 작업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도 후학들이 쉽게 접할수 있게 해주기 떄문이죠.하지만 역시나 머니머니해도 머니가 문제라 정부나 지자체 차원에서 해결하지 않으면 답이 없을것 같단 생각이 듭니다.

by caspi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24-06-12 0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수님들은 연구 때문에 소장도서도 많으실 것 같고, 그 중에는 나중에 귀한 자료가 될 만한 책들도 있을텐데, 공간이라는 문제도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 어려운 문제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