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4월 24일 10도~22도 맑음



과수들이 꽃을 피우는 이 시기는 과수들만의 잔치가 아니다. 온갖 풀들도 저마다 꽃을 피어내고 있다. 별꽃을 닮은 이 풀들이 주위 복수아밭은 물론 블루베리밭에도 한창이다. 아마 이 꽃이 사람들 보기에 예뻤다면 소중히 다뤄지고, 길러졌을지도 모를 일이다. 하지만 사람들의 눈에 차지 않았기에 이 풀들은 왕성한 번식력으로 퍼져 나가는 길을 택한 듯하다. 물론 사람을 중심에 둔 관점에서 말이다. 



또한 키를 키우지 않은 것도 이 풀의 생존법일지도 모른다. 키가 자라지 않으면 과수원을 관리하는데 있어서 큰 불편을 주지 않아 그냥 놔 둘 가능성도 높기 때문이다. 하지만 꽃을 피웠다는 것은 머지않아 씨앗을 남기고 나중엔 주위로 더 많이 퍼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진다. 더군다나 수확을 얻기 위해 힘을 쏟고 있는 작물과 양분을 경쟁한다면 그냥 놔둘 수도 없는 일이다. 


제초제로 땅 속 미생물을 죽이지 않고, 풀을 뽑음으로써 맨땅이 드러나지도 않으면서 작물이 양분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은 예초다. 풀을 자르고, 잘려진 풀 조각을 그 자리에 그대로 두어 분해를 통해 양분이 되는 좋은 방법이다. 다만 예초작업이 힘이 많이 든다는 것이 문제지만 말이다. 


올해는 예년에 비해 일찍 예초작업을 시작했다. 4월이 다 가기 전에 낫으로 블루베리밭 1차 예초를 끝냈다. 하루 날을 잡아서 진행한 것이 아니라 매일 매일 1시간 정도씩 투자해 1주일 가량 걸려 끝을 냈다. 


올해는 유독 쑥이 많이 퍼져 신경이 쓰였다. 블루베리밭이 쑥대밭이 되기 전에 어느 정도 제어를 해 줘야 할 성 싶은데, 단순히 예초만으로는 힘들어서다. 풀들도 고루고루 있어야 양분 경쟁이 심하지 않고 서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뿌리를 내리는 깊이가 다르고, 원하는 양분이 다른 풀들이 다양하게 있으면 서로서로가 성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데 쑥은 퍼지는 속도가 너무 왕성해 자칫 방치하면 주위를 온통 쑥대밭으로 만들어버릴 수 있다. 


하여 쑥을 어느 정도는 제어해주기로 했다. 다만 쑥은 뿌리를 뽑아주어야지만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블루베리나무 뿌리 근처에서 자라는 것들은 뿌리를 뽑아주고, 조금 떨어진 것들은 베어주었다. 대신 쑥을 뽑아낸 자리가 맨땅으로 남지 않도록 베어낸 풀들을 덮어주었다. 


또 지난 1주일간 비가 내리지 않아 나무마다 2리터 정도 물을 주었다. 올해 처음으로 인위적으로 물을 준 것이다. 거의 매 주말마다 비가 온 덕분에 일부러 물을 주지 않아 좋았었다. 생각같아서는 비가 내릴 때 물을 잘 받아두어서 이 물을 활용했으면 좋겠다. 펌프로 지하수를 퍼올려 물을 주는 것 또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인위적인 에너지 사용을 자제하고 자연이 주는 것들을 최대한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4월 22일 15도~29도 조금 흐림 초여름날씨


씨앗을 땅에 심으면 모두 싹을 틔우는 것은 아니다. 싹이 날 수 있는 조건이 있다. 그 조건을 충족시켰을 때에야 비로소 싹이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심지어 어떤 식물은 씨앗을 만들어놓지만 정작 씨앗을 통해서보다는 뿌리나 줄기를 통해 번식을 하기도 한다. 이렇게 싹이 날 수 있는 조건을 인연이라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조건이란 어떤 시간과 공간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물 속에서 또는 진흙 속에서, 반대로 모래틈 같은 곳에서, 추위를 겪고 나서야, 또는 충분한 빛을 쏘이고 나서야 비로서 싹은 트는 것이다. 


우리가 잡초라고 부르는 것은 지구와 인연이 잘 맞는 것이다. 일부러 씨앗을 뿌리고 싹이 날 수 있도록 보살피지 않아도 인연따라 싹을 틔운다. 그 인연의 파도 속에서 농부는 새로운 인연을 만들기 위해 애를 쓴다. 다만 그 애가 좀더 자연스러운가, 억지스러운가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지난 늦가을에 퇴비 개념으로 뿌려놓은 무가 싹을 내밀어 자라고 있다. 늦가을에 싹을 내 어느 정도 자란 무를 내버려두어 죽게함으로써 3대 영양소 중 하나인 인 공급을 도모했었다. 그런데 그때 싹을 내지 못한 것 중 일부가 봄이 되어 비로소 싹을 내민 것이다. 이 무 중 일부는 무로 영양을 내보내지 않고 꽃대를 올려 꽃을 피운다. 성장보다는 생식이 급선무라 여기기 때문일터다. 지난 겨울을 나며 씨앗은 생식부터 할 것을 결정한 모양이다. 



지난해 봄에 뿌려놓았지만 싹을 내밀지 않았던 더적 중에서도 올해 비로소 싹을 내민 게 몇 개 보인다. 어떤 조건이 맞아서인지는 모르겠지만, 1년을 땅에서 묵고나서 비로서 싹을 내민 더덕이 신비롭다. 



반면 어렵게 싹을 내민 것을 두더지들이 파헤치고 다니는 통에 죽음의 위기에 내몰리는 것들도 있다. 올해 특히 두더지 피해가 크다. 직파를 하면서 씨앗을 뿌린 곳에 물을 자주 주다보니, 이곳에 지렁이들이 몰리고, 두더지가 꼬이는가 보다. 직파의 어려움 중의 하나로 두더지도 꼽아야 할 판이다. 


인연따라 씨앗이 자라고 죽는다. 농부는 좋은 인연을 맺도록 애쓰지만, 인연이란 좋고 나쁨이 없이 그저 인연이었을 뿐이다. 그렇기에 농부는 다만 작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인연이 생기도록 거들면 그뿐이어야 한다. 오늘도 땅 속 어딘가에서는 인연을 만나 싹을 틔우는 것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4월 20일 4도~25도 맑음



블루베리 나무에 꽃이 피기 시작했다. 이제 하루가 다르게 꽃들이 빠른 속도로 피어날 것이다. 블루베리 나무 주위를 돌다보니 벌 날개짓 소리가 들린다. 윙~윙~ 거리는 소리가 여간 반갑지 않다. 누군가에겐 공포를 자아내는 소리일 수 있겠지만 꿀벌 한두마리가 내는 작은 날개짓 소리는 달콤한 열매를 상상하게 만드는 음악과 같다. 



묵은 가지는 꽃눈과 잎눈의 구별이 쉬운데, 새로운 가지는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니다. 어떤게 꽃눈이고 잎눈인지 아직은 가늠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꽃봉오리가 통통해질 때까지 꽃눈을 솎지 않고 있었다. 이제 꽃눈과 잎눈이 확연하게 차이가 난다. 꽃눈을 많이 단 키가 큰 새 가지는 꽃눈 2~3개를 포함해 성장점까지 한 번에 잘라주는 일을 했다. 위로만 크지 말고 옆으로 가지를 치라는 의미와 함께, 꽃눈도 솎아주는 것이다. 


지난해까지는 이런 상태로 마르지않도록 물만 꾸준히 주었는데, 올해는 꽃눈에서 열매를 맺기까지 필요한 양분을 추가로 공급할 계획이다. 유기물이 풍부한 토탄이나 균배양체 중 구할 수 있는 것 하나를 선택해 조금씩 줄 생각이다. 사람이 열매를 취해가는 것만큼, 나무에게도 돌려주어야 하는게 마땅한 것일테니 말이다. 이렇게 양분을 추가로 공급할 경우 성장이나 열매의 당도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4월 19일 1도~21도 맑음



올해는 풀 깎는 일을 일찍 시작했다. 예전처럼 길게 자라게 놔두었다 자르지 않고 틈나는 대로 낫질하는 방식으로 바꿔보기로 한 것이다. 


지난해 풀을 뽑거나 자르면서 애를 먹었던 것 중에 하나는 가시가 달린 것들이다. 자칫 무심코 손으로 잡아채다가 긁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환삼덩굴같은 경우엔 긁히는 수준을 넘어 베이기도 한다. 그렇게 풀에 베인 경우엔 얼마나 따가운지.... 


올해는 가시가 달린 것들을 더 크기 전에 재빨리 없앨 생각이었다. 그런데 지인이 가시 달린 것 중 하나를 보며 멍석딸기라고 알려준다. 흔히들 말하는 산딸기와 비슷한 종류인데, 멍석을 깔아놓고 털어서 수확할만큼 열매가 많이 달린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다. 열매도 제법 크고 맛도 달다고 한다. 그래서 멍석딸기는 복분자가 자라는 곳 근처에 옮겨심기로 했다. 일종의 딸기밭^^



옮겨심어서 잘 살아가는 경우도 있지만, 죽는 경우도 많다. 생명력이 강한 풀이라고 해도 한 번 옮겨 심으면 그만큼 몸살을 겪기 때문일 것이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구근의 경우 잘 살아남지만, 나무는 견디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뿌리를 내리는 일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다. 보통 활착이라고 하는데, 그 땅에 뿌리를 내려 적응하는 기간이 필요하다. 대략 1주일에서 2주일의 시간이 걸린다. 하물며 우리 인생은 어떨까. 우리에게도 활착하기까지 인내심을 갖고 버텨내야 한다. 우리에게도 몸살의 시간은 필요하다. 살아남아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기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4월 18일 5도~16도 맑음



아이쿠야! 순간 깜짝 놀랐다. 혹시 뱀? 자세히 보니 지렁이다. 한뼘이 넘게 큰 지렁이가 나타난 것이다. 땅 속에 있지 않고 왜 밖으로 나왔는지... 


3년째 약이라고는 일체 쓰지않고, 풀을 키워 땅에다 되돌려 준 덕분인지 지렁이가 무척 많아졌다. 흙이 건강해지고 있다는 증거다. 하지만 지렁이가 늘어난 덕분인지 두더지가 이곳저곳에서 출몰하고 있다. 지렁이를 밥으로 삼는 아이들이니 당연한 일이다. 땅 속을 헤집고 다니니 공짜로 경운을 해주는 셈이다. 그렇지만 아직 어린 싹 주위로 다니면, 이 싹들이 몸살을 겪어 죽는 경우도 많다. 마냥 좋지도, 마냥 나쁘지도 않다. 


두더지가 많아졌다는 것은 머지않아 뱀도 자주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뱀에겐 두더지가 밥이니 말이다.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만 않는다면야 뱀이 나타나도 상관없겠지만, 잘못해서 독사에게라도 물리면 큰 일이 아닐 수 없다. 미리 겁을 먹고 근심해봐야 아무 소용없는 일이지만, 은근히 걱정이 앞선다. 어디 삵이라도 한 마리 키워야 할려나.^^; 주위에 가끔 돌아다니는 고양이가 있는데, 이 녀석이 활약해준다면 더할나위없이 좋겠다. ^^ 


밭의 최상위 포식자가 누가 될련지. 자연의 흐름에 온전히 맡기지만, 가끔은 농부의 개입도 필요하다. 농부 또한 자연의 흐름의 일부가 되는 방식으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