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 5월 24일 맑음 13도~25도


블루베리밭 풀베기 2차 작업이 끝나고 체리밭 풀베기에 나섰다. 물론 낫질이다. 비록 어깨가 아프지만, 화석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몸을 사용한다는 의미와 함께, 풀을 베면서 풀들의 종류와 상태를 자세히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풀을 한참 베다보니 멍석딸기가 보였다. 하마터면 풀과 함께 낫질로 쳐내버릴뻔 했다. 그런데 자세히 보니 근처에 멍석딸기가 대여섯개가 함께 모여 있다. 꽤나 크게 자란 것중 하나는 꽃망울이 맺혀있다. 풀과 함께 뒤섞여 있어 자칫 풀베기를 하다 같이 잘라버릴 가능성이 높아보여 지난번 옮겨 심었던 곳에 함께 키우면 좋을 성 싶다. 



조심스레 멍석딸기를 캐서 옮겨심었다. 하지만 옮겨심는 과정에서 식물들도 몸살을 많이 앓는다. 우리도 이사를 하면 적응과정이 필요하듯 식물들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시간이 필요하다. 게다가 새로운 곳에서 적응에 실패할 경우도 허다하다. 그래서 멍석딸기를 전부 옮기지 않고 한그루 튼튼한 것은 제자리에 그대로 두었다. 만약 옮겨심은 것이 잘 살아남지 못한다면 원래 정착지에서 자란 것이 널리 후손을 퍼뜨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연스레 정착한 곳이라면 멍석딸기가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이라는 뜻일게다. 꽃송이가 맺힌 것을 옮겨심는 바람에 올해는 딸기구경을 하기는 힘들것 같다. 하지만 이들이 잘 적응해 살아남는다면 내년엔 멍석딸기 맛을 구경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새로움을 두려워하지 않고 벗삼으면 달콤한 열매를 맛볼 수 있으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5월 23일 11도~26도 맑음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비알콜성 지방간에도 좋다는 삼백초 뿌리를 몇 개 얻었다. 삼백초는 뿌리와 꽃, 그리고 잎이 하얗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2급이기도 하다.(생명력이 엄청 강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는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이다. 이것도 인간의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서식지의 파괴로 인한 것일까?) 민간에서 약용작물로 많이 쓰인다.



삼백초는 습한 것을 좋아한다고 해서 밭에서 경사진 아랫부분을 정리하고 삼백초 뿌리를 심었다. 지황처럼 뿌리를 가로로 10센티 정도로 잘라 길게 해서 묻어두었다. 워낙 풀이 많은 곳이라 풀과 뒤섞일 것에 대비해 지지대로 표시를 했다. 얇게 흙을 덮어준 후에 물을 듬뿍 주었다. 지난번 어성초의 실패를 거울 삼아 이번엔 제대로 키워보아야 할텐데. 삼백초가 이곳에 잘 정착하게 된다면 이 주위에 어성초 등을 비롯해 습한 것을 좋아하는 새로운 약초밭도 구상해보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년 5월 19일 맑음 11도~27도


올해는 지난해에 비하면 꽤나 부지런을 떤 셈이다. 



무성했던 풀을 다시 다 베어냈다. 작년엔 수확하기 전까지 1회 풀베기를 했는데, 올해는 벌써 2회 풀베기를 마쳤다. 


하지만 결과물은 기대치에 오히려 미치지 못하는 모양새다. 올해는 지난해에는 주지 않았던 추비도 꽃이 피기 시작할 때 준데다, 꽃도 솎아주어서 알이 굵을줄 알았다. 그런데 지금까지 블루베리 열매가 자라는 것을 보니 지난해 크기의 절반수준에 그치고 있다. 양분이 충분한 것이 오히려 열매가 크게 자라는데 나쁜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과 함께, 올해 유난히 비가 잦아 햇볕을 충분히 받지 못한 탓은 아닌가 추측해본다. 최종적으로 열매가 다 자라고 익을 때까지 지켜보아야 하겠지만, 생물이 자라는 것은 의도와는 결코 상관없음을 다시 한 번 깨닫는다. 하지만 진짜 농부가 되는 길은 그 의도한 바를 최대한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이루어내는 것이라 여겨지기에, 올해 경험을 토대로 한 발 한 발 나아가야 할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cott 2021-05-20 11: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엇든지 심기전에 풀뿝기 예초 작업이 우선이군요, 블루 베리 정말 좋아하는데 열매 한개 맺기까지 이런 고생과 수고스러움이 ^ㅅ^

하루살이 2021-05-20 12:02   좋아요 1 | URL
농약과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키우려다보니 손이 많이 갑니다 ^^;
풀은 100% 나쁜게 아니라고 생각해요. 적당하게 풀이 자라주면 오히려 작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양분을 공급해주고, 병충해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작물과 풀의 균형을 맞춰주도록 관리하는게 중요해요. 아무튼 이렇게 관심을 가져주셔서 고맙습니다.
 

21년 5월 18일 흐림 15도~24도


올해 직파한 것들이 대부분 실패하면서 사먹지 않고 집에서 키운 것들로 먹을 푸성귀가 귀해졌다. 트레이에 씨앗을 다시 뿌려놓은 것들이 있지만 자라는 것이 시원치않다. 게다가 촉을 틔워 싹을 내기까지 겨울 내내 온도를 맞춰주려 여간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되는 것들도 있다. 바로 고추다. 그래서 고추는 모종을 몇 개 사서 심기로 했다. 



시골 농약사에서도 모종이 끝물에 들어가고 있다. 2주 이내면 대부분의 모종은 팔지 않을 것이다. 고추 모종 6개를 샀다. 청량고추처럼 맵지 않지만, 아삭이 고추처럼 단맛만 나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고추다. 찌개에도 넣고, 된장에 찍어도 먹을 수 있어 좋다. 된장에 찍어먹는 것을 좋아하는 걸 감안하면 아삭이 고추도 구입할 걸 그랬나 하는 아쉬움이 조금 남는다. 모종은 1주당 300원. 



비가 푹 오고나서인지 땅이 축축해 사가지고 온 모종을 바로 심었다. 물론 이번에도 두둑을 만들거나 하지 않고 모종을 심을 자리만 구멍을 파서 정식했다. 최대한 경운을 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지키기 위해서다. 땅에 퇴비나 비료도 주지 않은 상태다. 지난해 자라서 죽은 풀의 잔해만이 거의 유일한 거름이다. 영양을 꽤나 필요로 하는 고추가 올해 이런 환경에서 얼마나 잘 자라줄지 궁금해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21-05-20 1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청양 3개 아삭이 3개를 올 봄에 심었는데 유독 심했던 봄바람에 잎도 떨구고 축 쳐지고 말았네요. 다시 피어날까요?

하루살이 2021-05-20 12:45   좋아요 0 | URL
성장점에 냉해를 입었으면 회복불가, 성장점이 살아있으면 다시 살아날 것입니다.
하지만 피해가 너무 심하면 회복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차라리 다시 심는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21년 5월 15일 18도~25도 비



혹시 살아날까 하는 마음으로 거의 썩어가는 감자를 심었던 곳에서 싹이 나고 있다. 다른 곳에서는 슬슬 감자꽃이 피어나고 있는 시기이지만, 이렇게라도 싹을 내놓은 감자기 기특하다. 



직파했던 케일 중 몇 개 싹을 냈던 것들도 무럭무럭 자라주고 있다. 벌레들이 활동하기 전에 어느 정도 자랐다면 덜 시달린텐데 하는 안타까움도 있지만, 건강하게 자라주기를 바랄뿐이다. 



지난해에 겨우 허벅지만큼 자랐던 포도나무는 올해도 어김없이 송이를 맺었다. 포도알이 겨우 아이들 새끼손톱만큼밖에 자라지 못했었는데, 올해는 얼마큼 클지 기대가 된다. 대신 지난해 3미터 넘게 꽤 크게 자랐던 포도나무는 올해 꼭 죽은듯이 싹조차 내밀지 못하고 있다. 가지를 쳐주는 방식이나, 껍질을 벗겨주는 등등의 어떤 조치를 취하지 않은 탓인지 모르겠다. 아무튼 지금 포도송이를 맺은 것은 그야말로 자연상태로 놔두 나무다. 올해는 어떤 모습으로 자라날지 궁금해진다. 


올해 변덕스러운 날씨 탓에 작물들이 자라기엔 다소 힘들었을테다. 그럼에도 이렇게 뒤늦게라도 생명의 약동을 보여주고 있어 대견스럽다. 끝까지 잘 버텨주기를 기원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