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 따라
덕지덕지 붙는거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것좀 들어줘유~"
"와, 많이도 캐셨내요, 어디서 캐신거에요?"
"요기 앞에 말뚝 보이쥬. 거기가 굴 양식장이유."
"이걸 하루에 다 캐신거에요?"
"늘상 하는 일인디 뭐."
"힘드시겠어요. 근데, 요즘 굴 얼마나 받아요?"
"키로에 만 오천원."
"올 겨울 돈 좀 벌으셨어요?"
"요즘 사람들은 굴도 안 먹는게벼."

그러게 말이다. 요즘 사람들 쌀도 안먹고 굴도 안먹고, ....
뭘 먹고 산다냐? 다들.

굴을 가득 담은 수레를 밀고 가는 할매의 걸음이 뒤뚱뒤뚱이다.

--충남 멧돌포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학창시절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를 통해 성실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시절이 지나면서 개미와 베짱이는 패러디되고, 베짱이처럼 사는 것을 선망하는 사회가 됐다. 개미처럼 죽어라 일하는 것은 바보같은 짓처럼 보여질 정도다. 이젠 게으름이 찬양되기도 한다. 그럼, 개미는 어떻게 해야 할까.

충남 당진에 사시는 정광영 선생님은 평생을 농부로 사신 분이다.
1970년대 가톨릭 농민회의 '한마음 한몸' 운동을 통해 생명에 대해 눈뜨면서 친환경 농사를 지으셨다....
1980년대 '농산물 제값 받기' 운동을 위해 영농일지를 써오셨다. 정부에 제시할 근거를 위해서였다.
지극한 성실함은 습관이 되어 현재까지도 유기농을 포기하지 않으시고, 영농일지 또한 계속이다. 허리가 아프고 관절 마디마디가 쑤신다고 하시면서도 말이다.
현재 71세인 정 선생님은 "내 인생에 후회는 없다"라고 단호하게 말씀하신다.

개미의 후회없는 삶. 든든하다.
그런데 왜 마음 한 구석은 허전하고 씁쓸할까.
아마 개미가 애써 일군 성실함의 터전이 위태롭기 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관심 밖 세상이 되어버린지 오래고 고려장처럼 여겨지는 농촌에서 성실함은 그 빛을 잃고 있다. 베짱이 또한 실은 그 성실함이 뒷받침되어야 노래할 수 있다는 것을 세상은 왜 그리도 쉽게 잊어버린 걸까.

베짱이를 꿈꾸는 또다른 벌레는 오늘도 '성실하게' 개미처럼 노래 연습을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사에 가면 흔히 접하는 풍경이다.
우리네 어머니들은 참 무단히도 빈다.
종이로, 돌로, 그리고 온몸으로...
'빌다'라는 뜻은 익히 우리가 알고 있는 소원에 대한 갈망이라는 뜻과 함께
빌어 먹다라는 전혀 다른 뜻의 다른 단어가 있다....
그런데 '빌다'는 그야말로 빌어먹을 짓이다.
'오죽하면'의 또다른 의미이기도 하다.
다만 빌어먹고 나면 어쨋든 배가 부르듯
빌고 나면 어쨋든 속이 부른다.
아무 것도 하지 않은 것은 아니라는 위안 덕분에 맘은 편하다.
그러니 ...
빌고 있는 어머니들이여,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월악산 덕주사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자기 PR의 시대라는 말이 구석기 시대의 용어처럼 들리는 세상이다. 자기를 내세우는 정도를 넘어 자신을 사고파는 시대다. 예쁘고 잘나고 괜찮아 보여야지만 성공할 수 있다. 그러다보니 이미지가 넘쳐난다. 자칫 잘못하다보면 그 이미지에 치명적 손상을 입고 와르르 무너지기도 한다. 그래서 이미지 관리는 현대인의 필수다. 척 척 하는거다. 쿨한 척, 카리스마가 있는 척, 착한 척, 또는 반대로 나쁜 척도 한다. (나쁜 남자가 대세였을 땐 말이다.) 하지만 이렇게 꾸미다보면 언젠가 실상이 들통나기 마련이다. 화장을 안한 척하는 메이크업도 결국 씻어야하는 순간이 오듯 말이다. (안씻고 버틸려면 얼마나 힘들겠는가.)

자니 윤은 자신의 성공을 꾸미지 않는 자세 덕분이라고 설명한다. 미국으로 건너가 성공하기까지 가식이 없었다는 것이다. 영어를 모르면서도 아는 척하거나, 파티장에 남들처럼 양복을 입지않고 한복을 입는 등 날것 그대로를 보여주었다는 것이다. 나를 온전한 그대로 보여줄 때 개성이 드러나고, 이 개성이 성공을 가져왔다는 것이다.

물론 그 밑바탕엔 나를 제대로 드러내고자 하는 노력이 숨겨져 있다. 자니윤은 5분짜리 스탠딩코미디쇼를 위해 3개월을 공부했다고 한다. 노래실력, 유머감각을 스스로 타고났다고 자평하면서도 말이다. 100% 남을 웃길 수 있다는 자신감으로 무대에 선다는 것이다. '척''척' 박사보다는 착실히 착실히 준비하는 '착''착' 박사인 셈이다. 이렇듯 개성은 꾸며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참된 모습을 발견하고 그것을 온전하게 표현할 때 나타나는 것이다.

바야흐로 이제는 개성시대다. 알몸 그대로의 나가 주목받는 시대엔 이 알몸을 가꾸는데 힘을 써야할 모양이다. 알몸을 가리는 예쁜 옷을 모으기 보다는... 자니윤이 말하는 꾸미지 않음이란 바로 이런 뜻이 아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