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가 죽었다고 생각했습니다 - 뇌과학자의 뇌가 멈춘 날, 개정판
질 볼트 테일러 지음, 장호연 옮김 / 윌북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는 하버드 의과대에서 뇌를 연구하던 중, 좌뇌의 뇌출혈로 뇌졸중이 발생했다. 두개골을 열어 (개두) 수술해서 뇌출혈을 일으킨 골프공 크기의 혈관을 제거하고 8년 동안 재활을 통해 지금의 거의 뇌졸중 이전 상태로 회복되었다고 한다.

"뇌졸중 이전 상태로 회복되었다"를 처음엔 "뇌졸중 이전의 자신으로 돌아왔다"로 썼다가 수정했다. 인지와 언어 수리 등을 담당하는 좌뇌의 뉴런들이 혈액 때문에 시냅스를 주고받지 못해 침묵하는 동안, 그동안 좌뇌에 억눌려왔던 우뇌가 활발하게 활동하면서 저자는 자신을 타인을 세상을 이전과는 전혀 다르게 느끼게 (인지라는 말을 썼다가 그것은 좌뇌의 것이니 '느끼는'으로 또 바꾸었다) 되었다.

뇌졸중이 발생한 날 아침을 뇌 과학자로서 아주 선명하고 섬세하고 과학적으로 서사 했다. 그리고 좌뇌의 인지가 없어 몸의 경계가 무너지면서 마치 우주와 하나가 되는 듯했고, 아이러니하게도 그래서 그녀는 잠시 회복을 꼭 해야 하는지 고민했다고 한다. 아무런 스트레스가 없는 그때의 상태가 좋아서. 아주 새로웠다.

좌뇌가 혈액 속에서 허우적거릴 때, 인간의 기능은 하나씩 작동하지 않았다. 소리를 구분하지 못했고, 3차원 공간 인지가 되지 않았고 색깔마저 구분할 수 없었다. 성대를 울릴 수 없었고, 수리 능력은 숫자라는 추상적인 개념조차 알 수 없었다. 그러면서 우뇌가 활성화되었다. 현재에 집중하고 현재만을 생각하는 감정적인 우뇌를.

이 놀라운 경험을 저자는 뇌 과학자로서 우리에게 전하고, 수술 후 그녀의 재활기 또한 과학적인 설명으로 해준다. 그것은 전혀 다른 큰 발견이었다.


이 책도 전자책과 오디오북으로 함께 보고 읽고 있다. 그러면서 생각했다.

우뇌가 극도로 활성화되면 - 좌뇌와 함께 있을 때는 정말 몰랐다는 뜻도 된다 - 다른 사람의 에너지를 느낄 수 있구나. 그것이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누군가가 나를 비난하면 뇌는 아주 많이 움츠러드는구나. 이제 소리치지 말아야지. 비난하지 말아야지. 영상을 보는 것, 라디오를 듣는 동안 우리의 뇌는 매우 분주하구나. 몸은 쉬고 있어도 뇌는 아주 바쁘구나. 더 많이 자야지.


인지능력이 체계적으로 무너져 내리는 광경을 지켜보는 것은 상당히 매혹적이었다. p30


그동안 나는 외부 세계에 대한 우리의 지각과 우리와 세상의 관계가 신경 회로의 산물이라는 것을 인정하기가 쉽지 않았다. p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 수행되면 회사와 구성원 모두 큰 장점이 있는 재택근무는 상호 '신뢰'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신뢰라는 것이 공간과 시스템, 제도의 제약으로 측정과 확인이 필요하다면,

서로 조금씩 상대가 신뢰할 수 있는 일을, 조금 불편하고 얻고 잃는 것을 따질 소지가 있어도, 큰 틀에서 행하는 것이 명료하다고 생각한다.


회사는 재택의 정착을  위해 제도를 만들 때, 악용 사례를 방지하는 쪽보다 재택을 더 잘 할 수 있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고,

구성원은 (재택에서 약자는 회사라고 생각합니다) 회사의 근심을 덜어주고 안심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재택 정착의 가장 중요한 것은, 투명한 "업무 수행 내역" 작성이라고 생각한다.

작성 기준은 모호할 수 있다. 재판에서 자신의 무죄를 입증하는 것처럼 억울한 마음에 무겁게 작성해야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작성자는 그 내역을 보는 사람을 고려해 자신의 수행 내역을 합리적으로 써야 할 것이고, 중간관리자는 그것을 회사가 납득할 수 있는지 리뷰하고 측정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일하는 시간에 '업무 수행 내역' 작성 시간의 비중이 클 수도 있지만, 서로의 신뢰를 위해서 모두 노력해야 할 것이다.

4시간의 재택근무를 하고, '버그 수정' 이라고 쓰면 누가 봐도 모호할 것입니다.


일본에서 두 번째로 노벨 문학상을 받은 '오엔 겐 자부로'는 말했다.

이야기를 복잡하게 하지 않으려면 '진실'을 말하는 것이 가장 좋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20-08-01 13: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인간관계에서 어떻게 말해야 좋을지 판단이 잘 안 될 땐 진실을 말하는 게 최선 같아요.

초딩 2020-08-01 14:41   좋아요 0 | URL
넵 정말 맞는거 같아요
예전 문동 달력에서 보고 항상 생각해요 :-)
좋은 주말 되새요~
 
구글 스토리 - 상상할 수 없던 세계의 탄생 / 창립 20주년 기념판
데이비드 A. 바이스.마크 맬시드 지음, 우병현 옮김 / 인플루엔셜(주)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로 세상이 변했습니다"


이 말은 2004년 12월 14일 구글이 1500만 권의 도서관 장서의 디지털화를 발표했을 때, 페이지의 모교 미시간대 월킨이 한 말이다.

이때, 미시간대는 700만 장서, 옥스퍼드대는 100만 권 이상의 19세기 전집, 뉴욕시립대 도서관은 1만 2,000권 등을 디지털화하는데 동의했다. 고서가 파손되지 않게 스캔하는 구글의 기술과 그 꿈을 보고.

그리고 2018년 전 세계 60여 개 이상의 도서관과 제휴해서 40여 개 언어로 된 3000만 권의 책을 서비스화하고 있다. 무료로.


공동 창업자 래리 페이지가 장서 디지털화를 준비할 때를 회상하며 말한다.


“도서관을 검색할 수 있게 만들려던 건 저 자신이 원했기 때문이에요. 만약 당신이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되면 그에 관해 현재까지 인류가 축적한 지식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싶어지기 마련이죠.” p395


나는 그들이 걸어왔던 길을 읽고 있다. 수식을 달기 힘든 구글의 길을.


구글 북스는 우리나라 책도 많다.

구글 스토리 이 책도 검색하니 있다.


또한 이 책의 원서도 당연히 있다. 표지가 완전히 다른 느낌이다. 항상 책을 읽으면 원서가 궁금했는데, 쉽게 검색해서 볼 수 있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zyTCAlFPjgYC&printsec=frontcover&dq=google+story+david+a&hl=en&sa=X&ved=2ahUKEwiuv9S0l_HqAhWKzIsBHSCnBPAQ6AEwAHoECAYQAg#v=onepage&q=google%20story%20david%20a&f=fals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3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59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지음, 김희숙 옮김 / 문학동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3권, 두 달째 접어들었다. 책이 워낙 두껍기도 하고 3권이나 되니, 다른 책들과 병행해서 읽고는 있지만, 그렇다고 벅차고 지루하지는 않다. 오히려 다른 방해를 받지 않고, 형제들의 이야기만 읽고 싶은 묘한 매력이 있다.

작가는 등장인물 한 사람 한 사람의 몸과 정신으로 들어가 온전히 그 인물이 중신이 되어 생각하고 대화하고 사건을 전개하는 것 같다. 말을 하는 방식, 대화에서 쓰는 용어, 상대에게 의도하는 것, 사유, 이런 것들이 한 작가가 가상의 무대를 설정하고 배우를 세우듯 만들어나가기에는 너무나 사실적이다. 전지적 작가 시점이지만, 모든 인물의 일인칭 주인공 시점 같다. 물론,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책을 끌어가는 수도원의 인물이 항상 궁금하기도 하다. "우리 도시" 라는 말을 만날 때마다 그가 궁금하다.

전자책이라 엘리베이터를 잠시 기다리고 탈 때도 읽을 수 있어 편하다. 오디오북으로 나오면 어떨까? 세 권이 대략 1,500페이지 정도 되고 한 페이지가 오디오북에서는 2분 정도 분량이니 총 3,000분이고 이것은 50시간이니 2일하고도 2시간이 더해진 시간이다. 성우분이 녹음한 것이라면 감사히 들을 만 할 것이다. 하지만, 전개 속도에 따라 눈으로 읽을 때의 가속을 생각하면, 오디오북은 또 적합하지 않은 것 같다.


"당연히 연극입죠. 모든 게 다 연극이었어요." p 241

스메르쟈코프가 이반에게 사건의 진상을 말할 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성당 (무선) - 개정판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9
레이먼드 카버 지음, 김연수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레이먼드 카버의 단편에 대한 정의는 몇 년이 지난 지금도 가끔 생각난다.


단편, 잡힐 듯 깨달았지만 표현하지 못할 때 쓰는 것.


그것은 완전히 깨닫지 못한 상태로 그다음의 상태가 있는 것을 지시함과 동시에, 무언가 깨달았는데 표현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를 위로해주고, 깨달았다고 말하는 사람의 현학적임과 겉멋이 곁들여진 부족함을 꼬집어 주기도 한다.

깨달음 정도의 다음 단계가 하나일지 여러 개일지 무한할지는 모르지만, 깨닫는다는 것 안다는 것이 어렵다고 느껴지기보다는 위대하다고 느껴진다. 그리고 그것은 사소하게 보이는 모든 사물과 사실과 공리와 진리를 다시 바라보게 된다. 그 다시 바라봄은 재발견과 동시에 그것으로부터 기쁨을 느낄 수 있게 해준다. 그 사소함이 기쁨을 제공할 수 있음은 기쁨의 연료가 온 세상 도처에 가득 널려 있음을 이야기해준다. 그것을 따뜻한 빵을 건넨 그 빵집 주인처럼 레이먼드 카버는 이 책에 담아 우리에게 건네고 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북깨비 2020-07-22 09:49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다만 그 다시 바라보게 하는 사소한 것들이 너무 현실적으로 그려져서 우울하고 그래서 선뜻 좋아한다고 말하긴 어렵더라고요. ㅠㅠ

초딩 2020-07-22 10:10   좋아요 1 | URL
네 ㅜㅜ 단편들의 내용 그리고 작가 자신의 삶도 우울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읽으면서 정말 알콜중독이나 전쟁에서 돌아오면 저정도 일까라고 몹시 궁금해지기도 했고요. 경험해보고 싶다는 말은 선뜻 못하겠지만요.
빵 건네는건 세월호 후라서 그랬지만 정말 눈물 났었어요 ㅜㅜ

페크pek0501 2020-07-22 17:1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아주 훌륭한 책이죠. 제가 흥미롭게 완독한 책입니다.

초딩 2020-07-23 00:07   좋아요 1 | URL
^^ 네 정말 정말 여운이 많이 남고 좋은 작품 같아요 ^^
깊은 밤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