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의 꿈의 해석>
2021.09.13 09:35
오랜만에 지적 대화를 위한 30분 고전을 봤다. <프로이트의 꿈의 해석>은 원문을 보지는 못했고 볼 일도 없겠지만, 아주 쉽게 요약한 것 같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세계는 정신과 의사 하지현 교수님의 <정신과 의사의 서재>를 읽는 것이 더 좋겠다 생각한다. 의식, 전의식, 무의식 그리고 이드, 자아, 초자아에 대해서 한강으로 설명한 것이 아직도 인상적으로 기억에 남는다.
2021.09.14 13:38
프로이트는 단순한 상징의 매칭으로 꿈을 해몽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전체 (꿈의 생각)에서 나온 조각으로 보고 꿈을 해석했다. 우리가 꾸는 꿈을 상징과 압축, 부분으로 표현된 "꿈의 내용"이라고 했고, 그 이면에 깔려 있는 것을 "꿈의 생각"이라고 했다. 그래서 그 "꿈의 생각"을 쫓았다.
지금은 정재승 교수님이 말한 것처럼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를 이용해서 꿈을 꾸는 중의 우리 뇌 활동을 찍어서 그 꿈을 영상으로 묘사할 수도 있다고 하니, 우리 꿈을 지금의 과학자들은 더 잘 분석하고 있을 것이다. 그 결과가 궁금하다기보다는 꿈으로 발현된 억제된 욕구와 감정들을 잘 해석해서 고통받는 사람들을 좀 더 편안하게 만들어주면 좋겠다.
<소로의 월든>
2021.09.14 09:40
내 친구가, 내 가족이, 내가 만약 소로와 같다면, 무척 곤란할 것 같다. 또는 "당신은 참 개인적이다 못해 이기적이네요. 현실적이지 못해요"라고 말할 것만 같다. 하지만 그는
"우리는 입을 열어 하는 말도, 듣기를 바라지만 말과 말 사이에 놓인 침묵도 듣기를 원합니다" p55
<아몬드>
2021.09.15 12:03
1시간 30분이면 읽을 수 있다고 하는데, 나는 느리게 읽어서 그렇게는 안되겠지만, 그래도 엄청나게 빨리 읽어진다.
반전에 가깝고, 예기치 못한 내용들이 군더더기 없이 빠르게 전개되니 눈을 뗄 수 없다. 입담 좋게 시원하게 내지르는 말들 또한 웃음과 함께 속도를 더해준다. 그리고 생각하게 해준다. '다름'은 우리에게 얼마나 익숙해져 있을까. '사랑'은 누구를 위해 어디로 향하고 있는 것일까?
2021.09.15 23:24
"다르다"를 지켜봄으로써 미리 공감했다는 것은 내가 그 주체가 되었을 때, 무용함을 넘어 마이너스가 될 수 있다. "다르다"의 객체도 모든 것을 보여주지 않을뿐더러, 관찰자도 자신의 창으로 겨우 해석해서 번역한 몇 장의 공감을 손에 쥘 뿐이다. 문학이란 무엇일까. 그 문학의 한 기능이 그 객체와 관찰자의 눈 높이를 맞추려고 애쓰는 것이 아닐까. 서사하는 사람, 작가는 자신의 이야기나 범인들의 눈보다 더 깊은 눈으로 객체와 연결되어 관찰자를 독자로 끌어올려 그 "다르다"를 조금이나마 제대로 다른 것으로 인식시킨다. 마치 백신을 접종하듯이.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
2021.09.15 12:02
소쉬르의 일반언어학 강의는 운전하면서 듣기는 쉽지 않은 것 같다. <일반언어학 강의>를 한 번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깨끗하게 단념 시켜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