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여, 춤추지 말라 - 해학과 풍자의 인문학
이인환 지음 / 도어즈 / 2015년 4월
평점 :
품절


고래여, 춤추지 말라/이인환의 해학과 풍자의 인문학

 

주제가 무겁게만 생각되던 인문학이 점점 쉽고 재미있게 저술되는 느낌이다.

철학이나 사상 등에 대한 철학자들의 인문학에서 문학가, 역사가, 예술가.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저자들이 다양해지고 있어서다.

중고교 시절부터 문학에 빠졌다는 <월간 바둑> 편집 기자였던 저자 이인환 역시 자신의 다양한 독서 이력을 바탕으로 해학과 풍자의 인문학으로 풀어냈다. <고래여, 춤추지 말라>

 

 

처음에 나오는 고래여, 춤추지 말라는 말이 인상적이다.

저자는 북명유어 기명위곤(北冥有魚 其名爲鯤)’으로 <莊子>가 시작된다며 상상 속의 바다인 북명, 큰 물고기 알인 곤, 곤이 크면 날갯짓 한 번에 3천 리를 솟아오르고 9만 리를 나는 전설의 큰 새 붕새 등을 설명한다. 큰 것에 가치를 두고 큰 것에 집착하는 인간의 모습이 정녕 옳은 것인지를 생각하게 한다. 작은 것도 소중하게 여기고 스스로의 주관과 기준도 중요하기에 스스로의 중심잡기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사람마다 재능과 관심이 다르기에 자신이 좋아하고 잘 하는 일에 가치를 두는 심지가 굳건한 사람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를 생각하게 된다.

 

현존하는 지구촌 최대 크기의 생물인 고래가 어찌하여 자그마한 인간의 칭찬에 길들여졌을까?

초음파를 통해 수 천리 밖의 고래 소리도 듣는 놀라운 청력을 지닌 거물 고래가 미물 같은 존재인 인간에게 휘둘리다니.

 

수족관에 갇혀 춤을 추는 거대한 범고래의 비밀엔 범고래를 향한 조련사들의 칭찬이 있다고 한다. 문제는 고래를 춤추게 한 칭찬이 고래 스스로를 위한 것이 아니라 타자인 인간을 위한 것이라는 점이다. 고래의 행복을 위한 칭찬이 아닌 인간의 순간적 즐거움을 위한 고통과 희생을 강요하기 위한 칭찬 이라는 점이다. 그러니 고래가 받은 칭찬은 고래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쾌락을 위한 길들이려는 술책이기에, 만약 이를 아는 고래의 꿈이 있는 고래라면 인간에 휘둘려 춤추지 말아야 한다.

 

타인의 칭찬에 현혹된다는 것은 고래처럼 남에게 휘둘릴 수 있다는 것이다. 몸이 멍들고 정신이 망가지고 자유를 빼앗는 구속을 직시하지 못한다면 수족관 속 범고래의 삶과 별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러니 타인의 칭찬에 지나치게 현혹되지 말고 스스로의 기준과 중심을 갖고 살아가야할 것이다. 저자는 꿈이 많고 미래가 창창한 아이를 고래에 비유하며 부모나 교사, 어른들의 칭찬이 아이를 위한 것인지를 생각해 보길 권하고 있다. 무심코 한 칭찬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 아이의 꿈을 꺾어 버리지는 않는지를 말이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 말의 다른 관점이다. 모든 적절한 칭찬이 행동수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진리처럼 받아들이고 있는 우리들에게 다른 시각을 제시하는 이야기다.

 

책에서는 무겁고 복잡한 인문학이 아니라 가볍고 부담 없는 인문학적인 해학과 풍자의 묘미를 보여준다. 부담 없이 읽지만 노자와 공자, 소크라테스와 슈뢰딩거까지 많은 현인들의 이야기가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푸르미원주 2015-08-01 09: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생각없이 받아들이는 수많은 명제들에 대해 재고할 수 있도록 철학적 담론을 풀어내고 있군요. 흥미롭네요. 칭찬에 휘둘리지 말고 네 길 가라는 충고. ^ ^

봄덕 2015-08-01 20:59   좋아요 0 | URL
다르게 생각하는 법, 깊이 있게 생각하는 법, 상식에 대해 한 번쯤 하기 등 그런 생각들을 해 본 시간이었어요. 칭찬이 약이기도 하고 독이기도 한 것이기에 칭찬하기가 조심스러워졌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