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라 (2015 세종도서 교양부문) - 의사가 말하지 않는 콜레스테롤의 숨겨진 진실
스티븐 시나트라, 조니 보든 지음, 제효영 옮김 / 예문사 / 2015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콜레스테롤 수치에 속지 마라]콜레스테롤에 대한 오해들, 건강의 적은 따로 있다.

 

이 책은 그동안 각종 심장병의 원흉으로 지목된 콜레스테롤의 누명을 벗겨주면서 콜레스테롤을 인위적으로 낮추는 약물인 스타틴의 허구성을 폭로하고 있다.

(중략)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을 구성하는 성분이고 에스트로겐이나 테스토스테론 같은 성호르몬과 비타민 D나 담즙산을 만드는 재료로 인체에 없어서는 안 되는 주요 성분이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으면 근육 감소, 피로, 우울증, 성욕 감퇴 같은 부작용을 가져오게 된다. - 의학전문 기자 신재원, 추천사 중에서

 

 

어른들이 병원에 가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인지 아닌지 늘 측정한다. 만약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낮춰야 한다고 의사들은 말한다. 하지만 저자는 콜레스테롤이야말로 억울하다고 한다. 미디어와 대중은 콜레스테롤에 대해서 잘 알지도 못하면서 콜레스테롤의 위험성에 세뇌되어 있다고 한다. 오히려 건강의 적은 다른 데 있다고 한다. 콜레스테롤은 건강을 위해 필요하고 포화지방도 나쁘지 않다고 한다. 이런 엄청난 거짓 정보의 배경에는 제약업체와 그 업체가 후원하는 연구기관, 정치권의 기만적 합작이 빚어낸 광기라는 것이다.

 

콜레스테롤에 대한 오해는 60년 전,  안셀 키즈 교수의 지지 가설에서 시작한다. 그는 음식물로 섭취하는 지방이 체내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후 체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것이 포화지방으로, 이 포화지방이 심장질환으로 이어진다고 모두들 믿게 되었다고 한다.

 

키즈 교수의 지지가설은 처음부터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콜레스테롤과 식단. 심장의 관련성을 주장한 키즈 교수는 자신의 가설에서 딱 들어맞지 않는 데이터를 제외시키는 오류를 범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가설을 입증하기 위한 노력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 사이에 콜레스테롤에 대한 관심으로 다른 학자들의 콜레스테롤에 대한 생화학적, 생리학적 연구는 방대해져 갔다고 한다.

 

저자의 생각, 의학계에 퍼지고 있는 이론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콜레스테롤이란 우리 몸에 가장 중요한 분자 중 하나이다. 콜레스테롤이 없다면 세포벽과 신경조직을 만들 수 없고, 분자구조를 약간 바꾸어서는 성 호르몬이나 스트레스 호르몬을 만든다. 햇볕을 쬐면 피부 세포가 비타민 D를 만드는 데도 사용된다. 콜레스테롤은 뇌에도 대단히 중요하다. 우리 몸에서 뇌가 가장 많은 콜레스테롤 농도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니 혈액 내에 여분의 콜레스테롤이 없으면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킨다는 것은 억지라는 것이다.

결국, 콜레스테롤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하다고 한다. 효소를 통해 비타민 D, 성호르몬과 스트레스 호르몬을 포함한 스테로이드 호르몬, 소화와 지방 흡수를 돕는 담즙산염으로 바뀌어 사용된다. 세포막과 세포 내부 구조를 이루는 중요 물질이기도 하다. 뇌에는 전체 콜레스테롤의 25%가 있고, 콜레스테롤이 줄어들면 인지 기능이 저하된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다면 감염질환으로 입원하는 사례가 더 많다. 콜레스테롤 치료가 전체 사망률을 낮추는 효과가 없다.

 

콜레스테롤은 심장질환을 일으키지 않는다. 콜레스테롤 수치로는 심장발작을 예측하기 어렵다. 심장발작을 앓는 사람의 절반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이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사람 중 절반은 심장과 동맥이 건강하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극히 제한적이다. (49쪽)

 

콜레스테롤을 낮추면 뇌졸중이나 심장병 발생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에 대해 저자는 반박한다. 체내 콜레스테롤이 줄어들면 다른 사망요인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맹목적인 약물에 대한 맹신을 재고하라고 한다.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위한 스타틴이라는 약물로 콜레스테롤을 낮춘다고 사망률이 낮아지지 않는다. 콜레스테롤은 산화하는 경우에만 문제가 된다. 심장질환의 진짜 원인은 염증인데, 산화된 LDL 콜레스테롤은 동맥 내부에 달라붙어 염증을 발생하게 된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매우 낮아지면 우울증, 공격성, 뇌출혈, 성욕 감퇴 등이 일어날 수 있다. 식생활 중 심장질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이다. 당과 가공된 탄수화물은 혈관 벽의 염증 반응에 영향을 준다.

 

포화지방이 해롭다는 정보도 오류다. 포화지방은 좋은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킨다.

스타틴계 약물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것과 관계없다. 그 효능은 과장되었다. 스타틴계 약물은 심장 에너지를 만드는 연료인 코엔자임 Q10을 고갈시킨다. 뇌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성호르몬 감소, 성기능 약화, 암과 당뇨병 발생 위험 증가, 노인과 여성에겐 부작용이 심하고 어린이에게는 절대 금물이다. 약물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대상은 관상동맥질환 진단을 받은 중년 남성에 국한된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것은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어서 몸에 이상이 올 징조처럼 여겼다. 그러나 저자는 콜레스테롤이 너무 낮으면 오히려 걱정해야 한다고 한다. 고콜레스테롤은 전염병을 예방해 주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젠 지방과 콜레스테롤이 심장질환을 일으킨다는 주장에 대한 반대증거가 다양하기에 분명히 재논의 해야 할 것이다. 콜레스테롤에 대한 잘못된 주장의 기초가 되었던 연구들의 문제점들이 확인되었는데도 의사들도조차도 콜레스테롤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갖고 있다니, 걱정스럽다.

 

식생활과 생활방식의 변화로 사망률이나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지만 콜레트테롤 수치와는 무관하다고 한다니, 심쿵한 책이다.

책에서는 건강을 위해 금해야 할 음식, 가급적 많이 섭취해야 할 음식, 스트레스를 줄이는 방법, 콜레스테롤 검사보다 중요한 검사들이 나와 있다.

 

저자인 스티븐 시나트라는 심장 전문의, 인지 행동 치료 전문가, 코네티컷 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임상 부교수다. 공동 저자인 조니 보든은 식품영양학자, 체중 감량 전문가다.

 

약물 스타틴의 허구를 알리는 내용, 콜레스테롤에 대한 오해들을 읽으니 건강의 적은 따로 있음을 알게 된다. 식생활과 생활방식의 변화로 사망률이나 심혈관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니, 콜레tm테롤 수치와는 무관하다니, 중요한 건강 정보다. 기존의 상식을 깨는 충격적인 내용들이다.

 

제약업체와 그 업체가 후원하는 연구기관, 정치권의 기만적 합작이 빚어낸 광기 앞에 허무할 따름이다. 전문가들의 기만과 사기가 이 정도라니, 누굴 믿을 수 있을까. 누구보다도 건강을 생각해야 할 사람들이 사람들의 무지를 이용하다니, 나쁘다. 올바른 정보를 감추고 오류를 용인한 결과 전 인류적의 불행을 가져오다니, 슬프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내세워 일반인을 오도하는 행위는 이젠 없어져야 한다. 솔직한 지성인, 양심적인 지성인들이길 빌어본다. 이익에 눈멀어 유리한 것은 부풀리거나 강조하고 불리한 것은 삭제하거나 축소하는 행위는 없어져야 한다. 재검토를 해서 오류가 수정되고 진실이 빨리, 정확하게 알려지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피북 2015-01-27 2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깜짝 놀랍기도하고 요즘은 무분별한 의학 방송으로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청자의 몫이 되는거 같아 안타깝습니다 무튼 당이 제일 심장질환에 안좋다니 초콜릿을 당장 끊어야겠어요ㅠㅜ

봄덕 2015-01-28 00:26   좋아요 0 | URL
탄수화물을 줄이는 것, 당분을 줄이는 것, 저도 과제가 있네요. 방송의 폐해, 잘못된 정보의 피해는 모두 우리 몫이죠. 의료인들의 책임 있는 진료, 학자들의 양심, 정치권과 제약회사의 탐욕 근절..... 언제쯤 이뤄질지.....ㅜ.ㅜ

JJ 2015-11-14 07: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이 책의 내용과 딱 맞는 다큐 추천드립니다:
책의 저자 두 분이 인터뷰에 나오셔요~^^

콜레스테롤 과연 건강의 적인가?
https://www.youtube.com/watch?v=8NV6etbd--w

콜레스테롤 약물전쟁
https://www.youtube.com/watch?v=L2qrMZiIuq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