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에게 보내는 편지
대니얼 고틀립 지음, 이문재.김명희 옮김 / 문학동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상처가 아무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은 우리 몸속에 다 있습니다. 필요한 영양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면 스스로 알아서 상처를 치유하죠"
의사의 말이 내 가슴에 와 닿았다. 몸의 상처가 그렇게 치유된다면, 마음의 상처는 어떻게 치유되는 것일까? 아기들이 태어날 때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지혜를 지니고 태어난다는 옛 예언자의 이야기가 떠올랐다. 그렇다면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것도 우리 안에 다 있을 것이다.(55-56)

 
   

 

어떤 말로 이 책의 느낌을 전해야할까...

아까부터 한참동안 쳐다보고 있지만 내 안에서 말로 정리되어 나오지는 않는다. 나 역시 어쩌면 상투적으로 똑같은 말을 되풀이할 수 밖에 없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만 든다. 내 마음과 영혼을 울리는 삶의 진실, 삶의 행복이 담겨있는 책,이라고.

샘에게 보내는 편지는 심리학자 할아버지가 손자인 샘에게, 할아버지의 사랑과 삶의 지혜가 담겨있는 글을 쓴 것이다. 여기에 조금 '다른' 내용을 덧붙이자면 심리학자 할아버지인 대니얼 고틀립은 서른세살에 교통사고로 인해 전신마비를 겪었고, 아내와 이혼을 했고, 아내뿐 아니라 자신을 가장 잘 이해해주던 누나마저 암으로 세상을 떠나고, 그의 손자인 샘은 전반적 발달장애, 흔히 말하는 자폐증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 할아버지는 정말 삶이 행복하다 라고, 매일매일을 조금이라도 더 사랑하기 위해 노력하며 살아갈 수 있을까? 물론 샘에게 보낸 편지를 읽은 나는 그가 진실로 행복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대니얼 할아버지는 장황하게 설명하거나 극적인 변화를 이야기하거나 과장된 감동을 표현하지도 않는다. 그저 담담히 자신이 겪어야 했던 일들에 대해 설명을 할뿐이다. 그리고 다른 모든 사람들과 똑같이 받아들이기 힘들어하고, 절망하고 화도 냈다. 다만 그가 다른 모두와 다른것은 지금의 모습을 바라보는 또 다른 관점의 눈을 마음속에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아니, 아니다. 이 말은 그가 다른 사람과는 다른 뭔가 특별함이 있다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는 자신이 당한 모든 일에 화를 내고 절망하였음을 숨기지 않는다. 자신의 실수와 치부를 부끄럽게 생각했었고 수치스러워한 감정도 숨기지 않는다. 언젠가, 되풀이되는 일상의 삶에서 어느 한 순간에 문득 깨닫게 되는 삶의 통찰을 풀어놓을 뿐이다. 그 어느 한 순간,이 되기까지 겪어야 했던 절망을 이야기하는 것 역시 두려워하지 않는다. 치부를 드러냄으로써 치유가 된다,는 그의 말은 나 역시 비슷한 경험을 했었기 때문에 더욱 마음에 와 닿았다. 물론 그것을 느꼈었고 알고 있지만 여전히 나는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여전히 치부를 드러내기를 두려워한다. 그래서 상처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한꺼번에, 일순간에 삶의 지혜가 생기고 깨달음이 생겨나 모든 비극적인 상황에 대처하는 나의 자세가 나오는 것은 아닌것이다. 하지만 그럴 수 있도록 노력은 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노력의 과정이 특별하다거나, 특별한 누군가만 성취해 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대니얼 할아버지는 샘에게 편지로 이야기해주고 있다. 그 이야기는 다시 상투적인 얘기를 하자면 내 마음과 내 영혼을 깊은 곳에서부터 감동하게 만들고 사랑은 모든 것을 변화시킨다는 믿음을 갖게 한다.

코끝이 찡하게 되는 감동어린 사랑의 이야기에 빠져들게 된다. 물론 대니얼 고틀립의 이야기대로 이 책에 실린 글은 모두 샘에게 보내는 편지들이고 그의 인생에서, 또 세상에서 그가 배우고 깨달은 이야기들일뿐이다. 그것은 결국 사람으로 산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이야기인 것이다.
이 말 외에 더 무슨 말이 필요한가. 샘에게 보내는 편지는 이 세상의 모든 샘에게 읽히기를 바랄 뿐. 나도, 당신 역시 또 다른 샘이라는 것을 깨닫는다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유한 자들의 세계 속에서, 나, 아무 가진 것도 없는 집의 딸이자 예쁘지도 않고 매력도 없고, 내력도 없고, 야망도 없고, 수단도 없고 화려함도 없는 내가 싸운다는 생각을 시도하기도 전에 날 피곤하게 만들었다. 난 오직 하나만을 바랬다. 내게 뭔가를 너무 강요하지 말고 나를 조용히 놔둘 것, 또 매일 잠시나마 내 허기를 채울 자유를 갖게 해 줄 것. (56)

 
   

 

그래... 졸다가 좀 전에 깼다. 아니, 서재 보면서 조금 깬다. 이 책은 졸면서 읽으면 안되는 책인거 같은데, 벌써 졸면서 몇쪽 읽어버렸다.
뭔가 겉표지가 상당히 맘에 안들지만, 책은 맘에 든다. 맑은 정신으로 읽어야지... 그래야지....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로 먼저 보고 만화책 사 읽는것을 상당히 꺼려했었는데, 역시 짧은 영화에는 보여지지 않는 수많은 이야기가 담겨있다. 그리고 짧게 툭 건네지는 그 이야기에는 상당히 긴 여운이 담겨 있어서 이 책은 그닥 빨리 읽혀지지 않는다.
그런데... 참 좋다.
영화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음악, 그리고 하구미의 이미지, 아오이 유우



 

Think I'm bigger than I used to be Love is glowing up
There's another world to know out there Love is glowing up

 

I was afraid to say hello Cause I was just as scared to say goodbye

Found and lost so many dreams and Some I still believe in Others I let walk away

Times I laughed and felt so free And times I felt so little The sudden highs and miseries

Yes that is what you gave me

 

Life is bigger that it used to be Love is glowing up
There's another world to see out there Love is glowing up

Because of you I can believe We give each other what we truly need

 

I have you and you have him but He has her and really
That's the way that it should be Just like clovers in the field
Mixed with the weeds and flowers We play the piece collectively

Found and lost so many dreams and Some we still believe in Others we let walk away

Roads will swallow and divide us Just think of each other

Together moving separately Alone is just a feeling

Love is glowing up Love is glowing up Love is glowing up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스탕 2007-09-27 1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책을 사서 쟁겨놓고 얼마나 뜸을 들였다 읽었는지 몰라요.
1권의 도전만 3~4번 하다 나가 떨어지고 다시 도전해서 읽었지요..
다 읽고서는 다시 한 번 읽어야겠다 생각은 하는데 아직 재탕을 못했어요.
영화도 보고싶어요..

chika 2007-09-27 13: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니와 클로버는 곱씹을수록 맛이 나는 만화책같아요...
영화는 사실 사쿠라이 쇼 (아라시 멤버 ;;;;;;;;;;;;;;;) 땜에 한번 봐볼까, 했던거고 생각보다 아오이 유우가 너무 이뻤고, 음악은 너무 좋다 싶더니 역시 칸노요코였고.. 영화도 함 보세요 ^^

마노아 2007-09-27 2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와, 노래 좋아요. 작품 보고 나서 영화도 봐야겠어요^^

chika 2007-09-28 14: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다른 노래도 좋아요. ^^

아름다운님의모습 2007-09-28 22: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chika 2007-09-29 0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안녕하세요?
아름다운님, 추석은 잘 지내셨어요? ^^

2007-09-29 08: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chika 2007-09-29 1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나중에 잘 들어보세요.. 노래가 참 좋아요 ^^
 













아, 좀 더 잘 찍어보려고 각을 잡는 사이... 스르르 꺼져버리는 카메라.
평소 배터리 충전도 해 놓지 않는 게으름땜시 결국 사진은 이것뿐이다. OTL
그래도... 가로등불빛보다 더 밝은 달빛을 봤으니 좋다.
우리집 하천 건너편에 보이는 성당의 종탑불보다도 달빛이 더 밝다.
아, 소원빌어야 하나? 라는 생각이 순간 스쳤는데... 어제가 대보름이었고, 나는 소원을 빌었구나.
다른 자질구레한 소망은 다른 이들이 다 빌어줬을꺼고
(안그랬음 평소에 누군가 나를 위해 기도를 해줬겠지,라는 간큰생각을 하며 그냥 넘기련다)
나는 오로지 '세계 평화'를 위해,
몇년동안 달을 보며 소원을 빌었어.
앞으로 몇번이나 더 세계평화의 소원을 빌면 이뤄질까?
어릴 적, 첫영성체때 기도하는 건 하느님이 다 들어주실꺼라는 수녀님의 말씀에 (그때만해도 무지 순진했던 나는) 일주일동안 첫영성체하고 기도할 소원을 뭐로 할까 고민고민하다가 결국 '남북통일'을 기원했더랬다.
이십년의 세월이 흘러 나는 아직 북한과의 자유교류가 이뤄질꺼라는 얘기를 듣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가까운 사람 중 몇몇은 금강산에도 댕겨오고, 이산가족도 만나고... 조금만 더 기다리면
나의 남북통일에 대한 소망은 이뤄질것이다.
그러니 믿음을 갖고 대보름때마다 소망을 달빛에 띄워보내는거야.
나의 소원은 첫째도 세계평화요, 둘째도 세계평화요, 세째도 세계의 평화일뿐이요.....
(으음~ 대외적인 선전문구도 아닌데, 왜 슬쩍 민망해지려고 하지?)

조금은 길었던 듯 했던 연휴도, 아냐 토욜은 출근했고, 일욜은 성당갔다가 애들하고 태풍피해지역 복구작업 도와준다고 갔다가 종일 지내고 와서 연휴는 삼일이었는데, 대청소하면서 하루 보냈고, 오늘은 은퇴주교님께 인사간다고 나갔다 들어왔고....
여전히 내가 좋아하는 낮잠은 하루도 못 잤다. OTL
공부도 하나 안했고.. 책은 겨우 두권 읽었고. 흐음~ 조금씩만 부지런해져야지.

아, 이제 다시 일상으로의 복귀,로구나. 그래도 담 주에는 조카들이 내려오니까... 기대하면서 지내야지.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07-09-26 2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세계평화요. ^^

무스탕 2007-09-27 1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진 분위기 좋아요..
영화의 한 장면 같네요 ^^

chika 2007-09-27 1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세계평화, 만쉐이~ ^^
사진보다 실제가 더 이쁜데 말이지요.. ^^
 
여자들의 유쾌한 질주
사단법인 한국여성민우회 지음 / 민연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아마 이 책을 선물 받지 않았다면 차마 읽을 생각을 하지 못했을수도 있다. 솔직히 말하자면 그렇다. 왠지모를 선입견이 이 책의 내용 역시 그저그런 내용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내 머리속에 집어넣고 있기때문이다.
그런데.. 정말 어쩌면 이 모든 이야기가 나와 나를 둘러싼 모든 이들의 이야기와 똑같은지! 우리가 둘러앉아 굳이 '페미니스트'라고 하지 않아도 수다떨다가 나옴직한 이야기들이 한보따리이다.

한가지 더 솔직히 고백하자면, 나는 아주 오래전에 친구 몇명과 서울 나들이를 하고 여성민우회를 찾아갔던 기억이 있다. 학교 총여학생회 부회장이었던 친구를 따라 이리저리 헤매다가 찾아들어간 그곳에서 맘씨 좋아보이는 분께서 이것저것 자료도 꺼내 보여주시고 제주도에 있는 여민회는 제주도만의 독자적인 활동단체라는 것도 설명해주시고... 나는 사실 친구 옆에 앉아서 여성신문만 들춰보고 있었기때문에 지금 기억에 남는 것은 차를 잘못내려 한정거장을 걸어가는데 서울땅이 정말 넓구나,라는 것 뿐이었다.
학교의 총여학생회 회장을 하던 선배가 권해주는 여러 책을 읽어보기는 했지만 깊은 고민은 없었던 그 옛날에, 선배 자신도 아무런 생각이 없었지만 공부를 하면 할수록 여성학에 대한 관심과 고민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던 선배는 어린 우리들을 붙잡고 자신이 느끼는 여러 이야기를 해줬었다. 그때의 다른 말은 모두 잊었어도 인간해방, 노동해방...의 궁극적인 달성은 아마도 여성해방의 관점에서 나오지 않을까, 한다는 말이었다. 내가 설명을 잘 하지 못해서 그렇지 그때 선배의 말은 뭔가 마음에 깊이 꽂히는 말이었는데... 

그러니까... 조금 비약적인 이야기가 되는지도 모르겠지만, 언젠가 '여성사제'에 대한 글 한토막이 생각난다. 천주교에서는 여성사제에 대한 이야기가 조금씩 흘러나오기 시작했고, 아직까지는 여전히 이단시 되고 있는 문제지만 현실적으로 사제수의 감소와 여성신자의 증가에 대한 대안이 없는 것은 사실이다. 수천명의 수녀가 있어도 사제 하나 없으면 천주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미사성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다. 이것이 실상 사제의 권위를 더 세워주는 예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종교의 전례라는 것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시대적으로 조금씩 변화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단지 사제의 권위에 대한 문제만은 아닐것이다. 가부장적인 생각들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인류의 역사에서 수천년동안 확고한 쌓고 있었기에 그것을 허물어뜨리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닌것이다.
아, 지금.. 책에 대한 리뷰는 하지 않고 지극히 개인적인 종교이야기만 늘어놓고 있는것인가.

아무튼 책을 읽으면서 나는 다른 사람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 이야기라는 공감에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책을 낼름 다 읽어버렸다. 책속에서 어느 누군가가 남자들은 모이면 남 얘기만 떠들어대지만 여자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한다고 했다. 그것의 단적인 예가 바로 이 책인거 아닐까? 개별적으로 아주 조금씩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내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내 주위의 모두에게서 들었던 이야기들이 바로 책에 그대로 씌여있기 때문에 심한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어쩌면 이렇게 사는게 똑같냐'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이다.

거창하게 여성운동 어쩌구..가 아니라 이 세상을 대한민국땅에서 살아가는 이 시대의 여성으로서 (간혹 남성으로서) 느끼는 이야기들에 대한 공감을 느끼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라 권하고 싶다. 이건 멀리 떨어진 별나라의 외계인 이야기가 아니라 바로 나 자신, 우리들의 이야기이다. 그래서 홀랑 읽혀버리는 재미있는 이야기이다. 내 말 믿고 한번 읽어보시기를.

 



댓글(1)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7-10-04 11:53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