修道者
흠... 도를 닦는 자,
도를 아십니까,와는 다르겠지만.
요즘 내게는 '수도자'가 어째 도를 닦아야 되는 놈,으로 보이는겐지.
어제 퇴근길에 물벼락을 맞았다.
길가 쪽 담벼락에 분재 화분을 길게 늘여놓은 사찰이 있는데, 거기서 별 생각없이 물을 뿌리고 있는 자가 있어서
그냥 길을 걷고 있었을 뿐인데 물벼락을 맞아서, 아마 안에서는 이런 상황을 몰라 계속 물을 주는 것일까 싶어서
큰소리로 밖에서 물 맞아요, 조심하세요! 라고 했는데 뭐라 대꾸하는 소리는 들리지만 물은 계속 뿌려대고 있다.
그래서 바로 문 쪽으로 가서 담밖으로 물이 뿌려져 지나가는 행인들이 물을 맞아요, 했더니.
와... 그 자는 분명 땡중일것이다.
수돗물이니 괜찮아요, 라는 말을. 그러면서 약품처리 한 물 아니니 괜찮대나?
이보슈, 아니 속으로는 뭐 저런 게...라고 했지만. 침착하게.
수돗물이면 지나가는 사람이 물 맞아서 옷이며 머리며 다 젖어도 괜찮다는 말씀이신가요? 라고 했다.
도무지 미안하다는 말을 못하는 걸 보니 땡중이 맞구나 하면서 그냥 돌아섰다.
지금 생각해보니.
그래, 당신, 성불하기는 글럿어.
나는 사실 천주교 신자로 오랜 세월을 살아와서... 성직자 수도자에 대한 환상은 없다 - 아니, 더 정확히 얘기하자면 다 같이 세상 살아가는 인간인데 별 거 있겠냐,라는 생각을 하고 있는데 요즘들어 자꾸 드는 생각은.
사회생활을 해보지 않고 신학교에 들어가거나 수녀원에 들어가면, 나이도 많은 어르신들조차 신부님, 수녀님 하면서 존중을 해 주니 정말 지들이 잘난 줄 알고 멋대로 사는 것일지도 모르겠다는.
사실 성격이 개차반같아도 공동생활을 하면 성격이 바뀌거나 참을 줄 알거나 자기 고집을 꺾을 줄 안다거나 혹은 지랄맞은 성격을 숨겨보거나... 그런데 다들 옆에서 참아주니 지들이 잘나서 그런 줄 알고 기분 내키는대로 하는 수도자들도 많더라는 거.
어제의 땡중이 오늘은 성불을 할 수도 있겠지만, 세상 살아보니 그럴 가능성은... 그래, 사람 안바뀌고, 사람은 고쳐 쓰는 거 아니라 하지 않는가. 내 주위에 성인군자도 없고. 개차반에는 개차반이....뭔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