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은 알고 있다 - 꽃가루로 진실을 밝히는 여성 식물학자의 사건 일지
퍼트리샤 윌트셔 지음, 김아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는 꽃가루로 진실을 밝히는 식물학자의 사건일지,라는 부제가 붙어있다. (사실 여성,식물학자라고 되어 있기는 하지만 굳이 여성임을 강조할 이유는 없지않은가. 당시 여성으로서 법의학, 특히 법의생태학이라는 분야에서는 남녀를 불문하고 퍼트리샤 윌트셔가 선구적이라고 말하면서 말이다)

책의 원제는 The Nature of Life and Death라 되어있는데 이 제목만으로는 식물학 관련이라고만 생각이 되는데 엄밀히 말한다면 식물생태학의 과학적인 접근으로 범죄사실을 증명해낸 기록들을 퍼트리샤 자신의 삶을 녹여낸 에세이 형태로 쓴 글이다.

어린시절의 이야기, 할머니와 함께 살았던 이야기, 사건 분석을 하다 만난 남편 이야기도 그렇지만 초창기 범죄현장의 보존이라는 개념도 희미할 때 그녀가 찾아간 현장에서 그녀를 기다리던 경찰이 그녀를 위해 주변의 풀들을 모조리 베어내고는 자랑스럽다는듯이 말을 했다는 부분에서는 나조차도 경악을 금치못하겠는데 그녀의 표정이 어떠했을지 상상이 간다.

 

성폭행을 하고 범죄사실을 부인하는 남자들의 범죄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현장에 있는 식물들을 조사하고 그 특성에 따른 꽃가루 등을 통해 범죄 현장에서의 행동반경과 그들의 거짓증언을 과학적으로 증명해보이는 이야기들이 나온다. 변호사를 통해 부인할 수 없는 증거임을 확인한 가해자가 즉시 범죄사실을 자백하기도 하고, 특히 성폭행을 당한 소녀가 증언을 위해 법정에 다시 나오지 않아도 되었다는 이야기는 법의생태학자인 퍼트리샤의 놀라운 작업들뿐만 아니라 그 결과가 가져온 진실들도 대단하다 하지 않을 수 없다.

 

전혀 시신의 부패나 손상이 없어도, 그 반대로 심하게 부패된 시신 역시 그 환경에 대해 조사를 제대로 할 수 있다면 사망일시를 거의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은 이 책을 읽으면서도 신기했다. 정말 소설보다 더 소설같은 이야기들이 담겨있고 많은 경우 시신에서 발견되는 이야기와 그들이 전해주는 삶과 죽음의 이야기는 많은 생각을 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전해주고 있는 식물의 꽃가루와 포자, 균류들의 과학적인 분석은 놀랍기만 하다.

이처럼 법의생태학이라는 분야가 있다는 것은 생소하면서도 생소하지만은 않은 퍼트리샤 윌트셔의 이야기들은 삶과 죽음뿐 아니라 우리들의 삶과 죽음에 담겨있는 진실을 들여다보게 하고 있다. 철저한 과학적인 분석을 하면서 그 분석의 의미에 대해 상상력을 더하여 찾아내는 진실은 거짓을 밝혀내고 범인과 가해자를 잡아내며 또한 억울한 죽음을 밝혀주기도 한다.

그래서 퍼트리샤 윌트셔의 자전적 에세이인 이 책은 여러 의미에서 많은 이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js087426 2020-01-30 13:2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여성 식물학자 타이틀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책 리뷰를 쓰려다가 이 리뷰글을 보고 격하게 공감하러 왔습니다. 다 같은 식물학자인것을... 이런 여성 강조타이틀을 볼 때마다 씁쓸하네요..

chika 2020-01-30 14:11   좋아요 0 | URL
이렇게 글을 쓰다보면 바뀔 날이 오겠지요? ^^
 
아일랜드역사 다이제스트 100 New 다이제스트 100 시리즈 17
한일동 지음 / 가람기획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841년에는 ‘더브 린(Dubh Linn: 어원상으로는 ‘검은 연못(Black Pool)‘이라는 뜻이며, 공식 아일랜드어 명칭은 Baile Atha Cliath)‘이라는 바이킹족의 왕국을 세웠는데, 이곳은 바이킹족의 정착지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곳이 되었다. 이곳은 노스족이 세운 영국의 요크(York)처럼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후에 아일랜드 공화국의 수도 더블린(Dublin)이 되었다."(121)

 

더블린의 어원이 이렇다는 것은 처음 알게 된 사실이다. 오래전부터 내 버킷리스트는 더블린에서 더블린 사람들을 읽는 것이라고 해 왔었는데, 아직까지 더블린 사람들도 못 읽었고 아일랜드에는 갈 엄두도 못내고 있다.

아일랜드에 대해 알고 있었던 것은 가톨릭, 무장독립혁명, U2, 감자대기근 그리고 선교사...였다. 우리나라에는 아일랜드에서 오신 신부님들이 많이 계신데 아일랜드가 고향이신 신부님들이 제주도의 자연환경이 아일랜드와 흡사하다며 특히 제주도를 좋아하신다고 들었다. 그래서인지 괜히 아일랜드에 대해 더 관심이 생겼다. 아일랜드 여행을 하고 있다는 누군가의 풍경 사진을 보면서 정말 쌓여있는 돌이 현무암이라면 제주도라고 해도 믿겠다 싶을 만큼 사진으로 보는 아일랜드는 제주도와 비슷했었다. 그리고 영화를 통해 독립을 꿈꾸는 아일랜드의 독립혁명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고, 감자대기근은 세계사에서 많이 언급되는 부분이니 왠만큼 관심이 있다면 다 알게 되는 사실들이다.

 

대략적으로 알고 있는 아일랜드의 역사에 대해, 특히 독립혁명운동이나 종교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이 책을 통해 조금 정리가 된 느낌이었고 남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의 구별도 조금 더 명확하게 알게 되었다.

아일랜드에 대한 백가지 이야기처럼 이 책은 아일랜드의 자연환경에서부터 시작하여 문학과 예술, 언어, 종교 등을 포함하여 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역사 이야기까지 간략하게 정리되어 있다.

아일랜드에 대한 이야기를 읽다보면 자꾸 우리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갖게 되는데 - 저자 역시 처음부터 지정학적 위치에서 강대국의 희생양이 되었지만 경제적으로 성장을 이루었고 독립 투쟁을 하고, 대기근과 종교적 탄압이라거나 식민 통치 등으로 인한 한의 정서와 음주가무를 즐기며 가족 공동체를 중시하는 아일랜드인들의 성향과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향이 비슷하다는 점들을 강조하고 있으니 더욱더 그런 생각을 하게 되는데 아일랜드에 대해 조금 더 알게 될수록 강하게 긍정하게 된다.

 

영화 원스, 티비에서 방송된 버스킹 프로그램을 통해 아일랜드의 풍경들을 보면서 언젠가 꼭 가보고 싶다는 생각이 더 강해졌는데 아일랜드에 대해 조금 더 깊이 들어가 알게 되니 정말 언젠가는 꼭 더블린에서 제임스 조이스의 더블린 사람들을 읽고, 펍에서 기네스를 마시며 U2의 음악을 즐기고 싶어진다. 온통 초록으로 물든 샴록풀밭에서 세잎클로버의 행복과 운이 좋으면 네잎의 행운도 찾아보고 아일랜드의 또 다른 초록빛의 상징인 성 패트릭데이에 패트릭성인을 기념하며 축제를 즐겨보고 싶은 마음이 가득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올리버 트위스트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29
찰스 디킨스 지음, 유수아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장 추하고 불쾌한 이야기에서도 가장 순수하고 선한 교훈이 얻어질 수 있음을 인정한다...... 모든 역경에서 살아남아 결국 승리하는 선의 원리를 소년 올리버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다. ... 그냥 그것이 진실이다. 이 우울한 삶의 그늘을 관찰해 온 모든 사람이 그것이 진실임을 안다"(저자서문)

 

새삼스럽게 이 소설이 18세기에 쓰여진 것임을 떠올린다. 저자 서문을 읽다보면 잠시 그것을 잊게 된다. 시대의 상황과 인물에 대한 고찰, 그리고 저자 자신의 선한 인간에 대한 신념- 그의 다른 작품들을 떠올려봐도 찰스 디킨스는 인간은 결국 선한 존재다 라고 믿고 있음을 느낄 수 있지 않은가 - 을 읽게 되는 저자 서문이다.

책으로 읽어보지 못했다 하더라도 영화나 뮤지컬로 올리버 트위스트를 접해본 사람들은 많을 것이다. 그러니 올리버가 끝내 행복을 찾게 되며 악한 등장인물들이 결국 악으로 망하고 인간의 선함을 되찾은 이 소설의 내용은 굳이 언급하지 않아도 되지 않을까.

 

나의 경우 완역,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상당부분 묘사가 되어있는 번역본을 읽은 기억은 있다. 하지만 끝부분으로 갈수록 그 처참한 묘사가 적나라해지고 아무리 악인이라고 하지만 교수형을 받는 부분까지는 완역본이 그닥 반갑지만은 않다. 하지만 저자인 디킨스의 말처럼 추하고 불쾌한 이야기에서도 가장 순수하고 선한 교훈이 얻어질 수 있으니 그 모든 것을 피해서는 안될 것이다. 더구나 18세기에 행해졌던 아동착취가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의 현실에 없는 것도 아니니 말이다.

간혹 전지적 작가 시점에서 설명되고 있는 부분이 어색하기는 하지만 이 책이 이백여년전에 씌여진 작품이라는 것을 생각하면 훌륭한 작품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소제목과 삽화가 참 옛스럽다는 생각을 하게 되면서도 한번 책을 잡고 읽기 시작하면 금세 읽을 수 있게 된다. 완역본에서 느껴지는 늘어짐과 설명때문에 가독성이 떨어지곤 하는 고전과는 달리 올리버 트위스트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어서 더 좋았다. 물론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선함의 승리를 보여 준 올리버 트위스트가 있기에 더 그랬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841년에는 ‘더브 린(Dubh Linn: 어원상으로는 ‘검은 연못(Black Pool)‘이라는 뜻이며, 공식 아일랜드어 명칭은 Baile Atha Cliath)‘이라는 바이킹족의 왕국을 세웠는
‘데, 이곳은 바이킹족의 정착지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곳이 되었다. 이곳은 노스족이 세운 영국의 요크(York)처럼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후에 아일랜드 공화국의 수도 더블린(Dublin)이 되었다.
1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chika > 책이 무거운 이유

전자책에 대한 1년 이상의 고민은 해결되지않고.
설연휴 전까지 방정리를 위해서는 삼십여권의 책탑을 임시방편으로 치워야하는데.
책은 내게 공기와도 같은것, 맞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