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동의 수필집 《문주반생기》(최측의농간, 2017) 193쪽에 보면 눈에 띄는 표시가 있다. 젊은 독자들의 눈에는 잘못 인쇄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중장년층 독자는 이 ‘표시’가 무슨 의미인지 알 것이다. (어? 그렇다면 이걸 아는 나도 ‘중장년층 독자’란 말인가?)
* 양주동 《문주반생기》 (최측의농간, 2017)
* 최남선 《백팔번뇌》 (태학사, 2006)
주지하듯이 『백팔번뇌』는 그때 그가 ‘조선’이란 ‘임’에게 바친 뜨거운, 뿌리 깊은 ‘사랑’과 ‘괴로움’의 노래로서, 그의 대표적 시조집으로, 조그만 책자이나 시조사상의 한 중흥 기념탑이 될 만한 역작이다. 거기는 춘원, 벽○, 위당 등 당시 문단 거벽들의 서(序), 발(跋)이 즐비 되어 있고, 끝에 석전 박한영 사(師)의 한시 명작 「제사(題詞)」가 실려 있다.
《백팔번뇌》는 육당 최남선이 1926년에 발표한 시조집이다. 이 책이 ‘우리나라 최초의 시조집’으로 잘못 알려지는 바람에 육당은 국내 시조 역사의 시작점에 놓인 인물로 '과대 평가'를 받았다. 정확하게 바로 잡으면 《백팔번뇌》는 ‘우리나라 최초 근대 시조집’이라 해야 한다.
* 최남선, 황충기 해제 《육당본 청구영언》 (푸른사상, 2013)
우리나라 최초의 시조집은 1728년 김천택이 편찬한 《청구영언》이다. 《청구영언》은 총 7종의 이본(異本)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한 권이 육당의 손을 거친 ‘육당본’이다. 《백팔번뇌》 서문에 육당은 1904년에 자신이 시조를 쓴 사실을 언급했다. 이 문장을 근거로 연구가들은 육당이 최초로 현대 시조를 썼다고 주장하지만, 이 작품의 원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1906년 7월 21일 대한매일신보에 발표된 ‘대구여사(大丘女史, 필명만 알려졌을 뿐 정확히 누구인지 밝혀지지 않았다)’의 「혈죽가(血竹歌)」를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 시조로 보고 있으며 이 시조가 발표된 7월 21일을 기념해 ‘시조의 날’로 제정되었다.[1]
각설하고, 책 속 본문에 있는 표시를 주목해보자. 본문에 ‘벽○’가 있다. 어떻게 읽어야 할까? 벽원? 벽 동그라미? 내가 추측하건데, ‘벽○’은 벽초 홍명희를 가리키는 것이다. 그는 육당, 춘원 이광수와 더불어 ‘조선 3대 천재(동경삼재, 東京三才)’로 이름을 날렸다.
벽초가 쓴 《임꺽정》은 일제강점기 최대의 대하소설로 손꼽힌다. 이 작품은 1928년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를 시작했다. 그러나 일제 탄압으로 조선일보가 강제로 폐간된 1939년에 연재가 중단되었다. 《임꺽정》은 1940년 월간지 <조광>에 옮겨 다시 연재되었으나 끝내 미완성으로 남았다. 벽초는 월북하여 김일성의 공산당 정권 수립을 돕는 정치인으로 활동했다. 북한에서의 행적 때문에 벽초는 남한에서 ‘불순한 월북 작가’로 낙인찍혔고, 《임꺽정》은 금서로 지정되었다.
분단 이후로 반공 정책이 더욱 강하되어 월북 작가 및 예술가들은 완전히 잊혀졌다. 심지어 그들의 이름을 거론하는 것조차 금기시되었다. 그래서 월북 작가의 이름이 인쇄물에 찍히면 이름 가운데 글자가 있는 자리에 ‘O’ 또는 ‘X’ 표시를 했다. 《문주반생기》가 발표된 해는 1960년이다. 냉전 반공체제를 유지했던 이승만 정권 시절이다. 그런데 6·25전쟁 당시 월북한 춘원의 이름은 멀쩡하게 나와 있다. 사실 춘원은 자발적으로 북한으로 간 것이 아니라 북한 인민군에게 끌려갔다. 이 시기의 춘원은 병으로 심신이 쇠약한 상태였고 전란이 한창이던 1950년에 사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권영민 엮음 《정지용 전집 1~3》 (민음사, 2016)
그런데 내가 봐도 월북 인사 이름 언급의 기준이 모호하다. 아니, 너무 불공평하고 억지스럽다. 반공 정부는 월북 인사의 행방을 제대로 알아보지 않고, 무조건 북한으로 건너간 인사들을 ‘친북 인사’로 규정했다.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 시인 정지용이다. 1988년에 월북 작가 및 예술가 해금 조치가 내리기 전까지 정지용은 ‘잊힌 이름’이었고, 어정쩡하게 ‘정X용’으로 알려졌다. 정지용의 시가 수능 시험 지문으로 출제되는 지금의 상황을 비교하면 격세지감이 아닐 수 없다.
* 김진송 《이쾌대》 (열화당, 1996)
* 국립현대미술관 《거장 이쾌대, 해방의 대서사》 (돌베개, 2015)
최근 재조명받고 있는 화가 이쾌대도 분단의 비극에 희생당한 불운한 인물이다. 이쾌대는 뛰어난 서양화가로 인정받았으나 여러 복잡한 사정 때문에 월북을 선택했다. 남한에서 그의 이름은 ‘이○대’였다. 1991년에 그의 이름을 내건 전시회가 열렸다. 이쾌대는 경북 칠곡 출신이며 1928년 서울의 휘문고보(휘문고등학교 전신)에 진학할 때까지 대구에 거주했다. 이쾌대의 형 이여성은 대구에서 항일운동을 한 공산주의자이며 동생처럼 그림을 출품한 적이 있는 화가이다. 그도 월북하여 북한에서 학자 생활을 했으나 숙청당했다.
* 김상숙 《10월 항쟁》 (돌베개, 2016)
현재의 경북, 대구는 ‘반공 우파의 성지’로 알려졌지만, 일제 강점기 대구는 ‘좌파의 성지’였다. 1946년 ‘10월 항쟁’은 미 군정의 식량 정책, 친일 인사 등용 등에 항의한 좌파 독립운동가와 민중들이 일으킨 대규모 무장 시위였다. 경찰의 무자비한 진압으로 항쟁에 가담한 독립운동가와 민간인들이 사망했으며 남로당(남조선노동당) 간부 박상희도 경찰의 총탄에 맞아 사망했다. 박상희는 박정희 대통령의 친형이다. ‘빨갱이’를 무서워하는 어르신들은 대구 경북이 자랑하는 뛰어난 ‘월북 화가’가 있다는 사실을 아시려나? 이쾌대가 누군지 모를 수 있다. 하지만 단지 북한에 건너갔다는 이유만으로 그를 욕할 수 없다. 씁쓸하지만 아직도 과거의 이념에 갇힌 사람들이 많다. 그들은 월북 인사들의 이름조차 입에 담기 싫어할 것이다. 박정희 대통령을 좋아하는 어르신들은 죽은 형의 복수를 위해 남로당에 가입했고, 국군 내 남로당 프락치로 활동한 군인 박정희를 아시려나? ‘빨갱이’를 엄청 싫어하는 그분들의 단순한 기준에 따르면 공산주의자들과 함께 활동한 적이 있는 박정희 대통령도 ‘빨갱이’다. 자신들에게 불리한 역사를 철저히 숨기고, 모른 쇠하는 민족 역시 미래는 없다. 아니, 답이 없다.
[1] [7월21일은 ‘시조의 날’… 현대시조 100주년 맞아 선포] 국민일보, 2006년 7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