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백 - 제16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장강명 지음 / 한겨레출판 / 201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추석이 싫었다. 매번 찾아오는 명절이지만 “취업 안 하느냐?”는 어른들의 성화가 불편했다. 추석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사실 취업하고도 귀향을 꺼리는 젊은이들이 적지 않다. 이제는 “언제 결혼할 거냐?”는 질문에 시달려야 한다. 제발 이번 추석에는 결혼 얘기 좀 그만했으면 좋겠다. 어른들은 ‘불운한 삶 속에 진정한 인생의 가치가 있다’고 속삭여 왔다. 그러나 삶의 미래가 불투명한 현실 앞에서 고상한 삶의 의미가 무슨 소용이 있는가. 사회는 청춘의 눈에 나오는 푸석한 눈물을 인정하지 않는다.
언제부터인가 청춘에 대한 갖가지 정의들이 생겨났다. ‘88만 원 세대’부터 시작하여 ‘흙수저’까지 우리 사회는 청춘이 처한 경제적 고통으로 세대의 특성을 규정했다. 장강명의 《표백》도 이런 흐름과 무관하지 않다. 이 소설의 주인공들은 옴짝달싹할 수 없게 된 사회에서 단지 ‘표백’된 세대다. 암울한 미래에 별다른 희망 없는 ‘나’는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다. 몇 년 전부터 자살을 준비해온 세연은 친구들을 설득, 자신이 자살한 5년 후에 자살할 것을 다짐받는다. 사회에 자신을 표출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자살밖에 없다는 것을 알리는 일이다. 표백 세대는 세상에서 자신들을 완전히 지워버리면서 극단적으로 상실감을 표출한다. 버거운 현실의 벽을 뚫지 못한 표백 세대의 자살은 ‘저항’보다는 ‘자기파괴’에 가깝다. 장강명은 절망적 처지 그리고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주인공들의 삶을 묘사함으로써 문제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표백 세대들은 아주 적은 양의 부를 차지하기 위해 이전 세대들과는 비교도 안 되는 경쟁을 치러야 한다.” (196쪽)
소설에 나온 이 문장은 청춘들이 겪는 상황을 명료하게 보여준다. 꽃다운 청춘을 만끽하려면 유아기부터 시작되는 학벌 획득의 장기전에 임해야 한다. 대학이라는 중간 고지에 잠시 이르렀으니, 한숨 돌리고 새로운 전쟁을 준비해야 한다. 다음 고지는 '취업'이다. 인생의 장기전에 가까스로 살아남은 독자들은 《표백》이 불편하게 느낄 것이다. 《표백》은 피땀과 눈물 흘리면서 청춘을 보낸 이들의 환부를 다시 찌른다.
소설 같은 일이 매일 현실에서 일어나고 있다. 우리는 충분히 현실을 직시했고 많은 시간이 흘렀다. 과연 이 시대의 청춘들은 아무것도 보탤 수 없고 보탤 것도 없는 표백의 세계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솔직히 나도 잘 모르겠다. 이 글에서 세상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해도 그때뿐이라면 슬랙티비즘(Slacktivism)에 불과하게 된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라는 말 역시 또 하나의 슬랙티비즘이다. 정말 이 말만은 절대로 하고 싶지 않다. 개인의 노력과 인내를 감성적으로 전달하는 위로는 공허한 말이다. 젊은 세대는 청춘을 훈계하는 사회에 향해 돌을 던질 힘이 있어야 한다. 저항과 연대의 힘이 두텁지 못하면 다음 세대도 무기력한 표백의 세계 속에서 살아갈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