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 쓰는 법 - 내가 보고 듣고 맡고 먹고 느낀 것의 가치를 전하는 비평의 기본기
가와사키 쇼헤이 지음, 박숙경 옮김 / 유유 / 2018년 3월
평점 :
절판


 

 

책은 저자의 손을 떠나면 독립적인 존재가 된다. 그때부터 의미를 캐내고 전달하는 것은 독자의 몫이다. 그것은 개인마다 다르고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 독서는 철저히 혼자서 해야 하는 일이지만, 리뷰 쓰기는 독자의 독서 체험을 공유하게 해주고 다양한 관점에서 책을 읽게 해준다는 점에서 색다른 재미를 선사한다. 아름다운 말로 상찬하는 리뷰도 좋지만, 가차 없이 비판하는 리뷰를 읽는 재미에 견줄 바가 아니다. 주로 전업 작가, 기자, 도서평론가들이 쓴 리뷰를 ‘서평’이라고 부른다. 리뷰 쓰기는 어느 정도 식견을 갖추고 글쓰기를 잘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일이다. 오랫동안 언론매체나 학술지에 실린 리뷰를 ‘서평’이라 부르고, 서평을 쓰려면 전문 작가나 사회적 명사여야 한다는 ‘장벽’이 있었다. 그렇다면 일반 독자는 서평을 쓸 수 없는 걸까? 독자 리뷰를 서평이라고 부르면 안 되나? 리뷰를 즐겨 쓰는 독자들은 자신이 쓴 글에 큰 의미(리뷰도 ‘서평’이다)를 부여하지 않는다. 책을 소신껏 소개한 리뷰를 썼는데도 독자라는 위치 때문에 ‘내 리뷰도 서평이다’라고 말을 꺼내지 못한다.

 

리뷰는 무엇보다 독자를 위해서 쓴 글이다. 그런데 그 독자는 누구인가? 리뷰에 소개되는 책의 성격에 따라서 글쓴이가 상정한 독자가 달라질 수 있다. 어떤 독자를 위한 리뷰인가, 이 질문에 답하지 않은 채 써진 리뷰의 효용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누구를 위해 써야 하는 리뷰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면 자연스럽게 리뷰와 서평의 공통점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독자도 ‘서평’이라 불릴만한 리뷰를 쓸 수 있다. 《리뷰 쓰는 법》리뷰와 서평을 가르는 장벽을 허무는 책이다. 이 책의 저자 가와사키 쇼헤이가 추구하는 리뷰의 목표는 ‘책의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다. 지극히 원론적이고 기본적인 입장이다. 그러나 저자는 다양한 책의 등장에 압도당하기 쉬운 지금이야말로 ‘가치를 전달하는 리뷰’가 필요할 때라고 믿는다. 모든 것이 불확실한 오늘날이야말로 리뷰가 온전하게 힘을 발휘하여 ‘좋은 책’을 돋보이게 한다.

 

리뷰를 쓸 때 ‘재미있다’, ‘재미없다’, 또는 ‘좋다’, ‘나쁘다’라는 식으로 단정적으로 책을 평가한다면 책의 가치를 전달할 수 없다. 이런 리뷰는 독자를 위한 글이 아니다. ‘가치를 전달하는 리뷰’를 쓰려면 객관적으로 책의 내용을 철저히 분석해야 한다. 책 어디가 재미있는지를 알려주고, 왜 재미없는지를 따져 볼 수 있어야 한다. 그러니까 글쓴이는 리뷰를 쓰면서 이 책을 읽으려는 독자를 위해 ‘지침’을 제공한다. 리뷰는 읽을 것이냐 말 것이냐를 판단하는 책의 가치를 독자들에게 알린다. 쇼헤이는 ‘비평으로서의 리뷰’의 성격을 강조한다. 그래서 그의 책에는 ‘비평’이라는 단어도 많이 보인다. 그렇다면 리뷰도 비평인 셈이다. 저자가 비평 쓰기를 알려준다고 해서 일반 독자가 생각하는 리뷰 쓰기와 거리가 멀다고 느껴질 수 있다. 아마도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리뷰와 서평은 다르다’라고 주장하고 싶을 것이다. 그렇지만, 책의 가치를 발굴하여 그것을 언어로 재구성하는 글쓰기 과정은 비평 쓰기의 원점이다. 따라서 리뷰가 비평과 같은 글이라고 해서 지레 겁먹을 필요 없다. 책을 명확히 관찰하면서 어느 부분이 좋았는지, 그 책이 담고 있는 시대적 · 문화적 가치를 전달한다면 일반 독자가 쓴 리뷰도 ‘서평’이라 부를 수 있다.

 

책이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는 시대인데도 자연스럽게 책에 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온 · 오프라인 공간은 여전하다. 그러나 리뷰는 있어도 그만이고 없어도 그만인 것쯤으로 취급당한다. 독자들은 굳이 일반 독자가 쓴 리뷰를 찾아 읽지 않는다. 온라인 공간에 독자 리뷰는 넘치지만, 그것의 옥석을 가리는 일은 아무도 나서지 않는다. 여전히 리뷰 쓰는 것을 어려워하는 독자들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리뷰 쓰는 법》은 리뷰의 역할과 가치, 그리고 누구나 리뷰를 쓸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리뷰 쓰는 법》을 읽으면 리뷰와 서평의 의미를 더욱 잘 알게 된다. 《리뷰 쓰는 법》을 읽고 나서 리뷰를 쓰면 자기 생각을 정리할 수도 있고, 책을 소비하는 독자들과 상호 소통하는 기회가 많아진다. 리뷰는 누구나 책을 읽고 자유롭게 논하는 독서 문화를 고무한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4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7-16 12: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cyrus 2018-07-17 16:21   좋아요 0 | URL
아마추어도 전문가 뺨치는 독후감을 쓸 수 있어요. ‘리뷰, 서평은 전문가가 쓰는 것’, ‘독후감은 일반 독자, 아마추어가 쓰는 것’이라는 단순 이분법적 생각에 반대합니다.

stella.K 2018-07-16 1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 같은 리뷰 쓰기의 대가가 이런 책을 읽는다는 게 넌센스야.
근데 난 좀 읽을 필요가 있는 것 같긴 해.
점점 리뷰 쓰는 게 자신없어지고 있어.
리뷰에는 채찍을 필요없고 당근이 필요한데 당근을 주는 곳이 없구나.ㅠㅋ

cyrus 2018-07-17 16:22   좋아요 0 | URL
리뷰를 매일 쓰다보면 ‘어떻게하면 더 잘 쓸 수 있을까?’하고 고민을 해요. 제가 할 수 있는 한 열심히 써보려고 해요. ^^

레삭매냐 2018-07-16 13:3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리뷰 - 서평 - 독후감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 진다고나 할까요.

자기 만족적인 글쓰기 만으로도 독후감
쓰기의 매력은 대단하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 리뷰는 ‘나만의 방식‘으로 책의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면 부담 없이
글쓰기를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cyrus 2018-07-17 16:28   좋아요 1 | URL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독후감에도 책을 평하는 글쓴이의 관점을 드러낼 수 있으니까요. 아이들에게 독후감 쓰는 법을 가르치는 교육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아요. 독후감을 쓸 때 느낀 점을 쓰라고 가르치지, 책을 비판하는 입장을 쓰지 못하게 해요. 책을 비판하는 생각도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이잖아요. 비판적 감상문도 ‘나만의 방식’으로 책의 가치를 전달하는 글쓰기라고 생각해요. ^^

짜라투스트라 2018-07-16 2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쩌면 저자만의 리뷰론으로도 볼 수 있겠네요^^

cyrus 2018-07-17 16:30   좋아요 0 | URL
네, 사람들마다 리뷰의 정의에 대한 생각이 다릅니다. 어떤 이가 생각한 리뷰의 정의에 공감하면 거기에 맞춰서 리뷰를 쓰면 됩니다. ^^

sprenown 2018-07-17 1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뷰쓰기도 결국은 글쓰기의 욕망, 인정욕구에서 비롯된 것이겠지요. 책읽고 나서 느낀점과 생각을 남에게 보이면서 자기만족 하는게 아닌가 싶어요. 저도 가끔씩 슬럼프가 오더라도 꾸준히 써야겠다는 마음이지만,현실적으로 먹고사는 일에 치이게 되면
이젠 그만해야겠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누가 강요하는게 아닌데...애정결핍인가? 이것도 중독성이 있더군요^^.

cyrus 2018-07-17 16:35   좋아요 1 | URL
저는 글쓰기가 기본적으로 ‘자기만족’, ‘인정 욕구’ 그리고 ‘자아 성찰’이 반영되어 있다고 생각해요. 자기만족 또는 인정 욕구로 글을 쓰는 사람은 많아요. 저도 그렇고요. 하지만 자기 자신의 결점을 글의 주제로 삼아 솔직하게 드러내는 사람은 드물어요. 이러한 글쓰기 또한 ‘인정 욕구’의 일종으로 보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