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그런것 같아요.
좋은 그림들을 보면 기분이 좋아요.
그 마음이 바로 '그림의 힘'인가봅니다.......라고 원래는 밝게 페이퍼를 적고 싶었는데... ^^;;
그리고 그렇게 적었는데..... 임시 저장되었다고 생각하고 다시 불러왔더니... 사라져서 완전 멘붕. 그렇지않아도 읽는 목록 밀려서 주루룩 올릴판이구만...
그래서 그냥... 처음 적었던 글이 아닌 기억에 남는 그림과 저장된 글 몇개(책도 도서관에 반납해서 없어용... -.-;;)만 성의없이 올렸어요. (원래 그리 성의있는 편은 아니었지만...ㅋㅋ)

'그림의 힘'이라는 제목만으로도 느껴지듯이, 그림을 이용한 심리치료에 관한 책이예요. 사실 책에 소개된 그대로 나에게 적용이 안되더라도, 그냥 그림만 봐도 기분이 좋아지면서 힐링이 되는것 같았습니다.

다른 책들과 달리 책 제목이 표지에 있지 않아서 띠지만 벗겨도 하나의 완성된 그림이 되어요.

마음에 드는 명화.
사랑의 풋풋함이 미소 짓게 하는...


그래픽 노블 '뭉크'를 읽고 그림을 봐서인지 더 남다르게 보였던 그림
왼편의 여성은 정숙하고 순수한듯하다면, 중앙의 여성은 쾌락을 추구하고 오른쪽의 여성은 초라하거나, 도덕적으로 느껴져요. ^^

"오늘 지치고 힘든데 편안한 데 가서 한잔 하자."
라고 말하고 싶은 그런 공간.
오늘 하루도 수고한 당신을 위한 밤의 테라스.

사람이 어렵기만 하고, 내 곁에 아무도 없는 것 같은 외로뭄을 느낄때, 고흐를 떠올려보세요.
비운의 화가, 격렬한 고뇌의 화가, 살면서 끝없이 고독했던 화가로만 알고 있던 고흐에게도 친구가 한명 있었다는것이 우리의 마음에 잔잔한 위로를 던져 줍니다.
미메시스에서 재능있는 만화가가 그린 화가의 일대기를 그린 그래픽 노블을 출간해서 얼마나 기쁜지... '달리'도 꽤 충격적이라 느껴졌었는데, '뭉크'도 만만치 않아요.
그냥 뭉크의 평전을 읽었더라면 이렇게 머리에 쏙쏙, 가슴에 팍팍 꽂히지 않았을거예요. 이 또한 그림의 힘이겠지요. ^^

술한잔에 만들어진 만화라니...
가끔 이런 무모함을 위해 예술가들은 술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


예술가들의 뮤즈.
등장에서 남다른 포스가 쫘악~~




뭉크 하면 떠오르는 '절규'
지금 내가 봐도 충격적인데, 이 그림이 처음 나왔을때 어땠을지는 짐작도 안되지요.


만화가가 그냥 만화만 그린것이 아니라 만화속으로 들어가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교감을 합니다. 유머스러움에 웃음도 나고, 때론 명화를 너무 진지하게만 해석하려하지 말고, 그냥 편하게 내가 느끼는대로 받아들여도 된다고 알려주는것 같아 좋았어요.
또 다른 '그림의 힘'
웹툰.
예전에는 만화를 종이책으로만 봤었는데, 이제는 웹툰으로도 만화를 먼저 만나요.
인기가 있으면 이렇게 책으로도 출간되기도 하고요. ^^ 사실 저는 웹툰이 있는지는 몰랐고, 책으로 출간되어서 '낸시'를 만난건데, 아~~~~~ '낸시, 너무 귀여워요' 모든 고양이가 낸시 같았다면, 바로 고민하지 않고....ㅋㅋ 물론, 낸시 같지 않은 고양이들 또한 고양이의 매력이겠지만..

낸시의 발톱을 자르고, 낸시가 슬퍼서 꼬리를 팍팍 칠때 '꺅~~~~" 낸시의 포로가 되었어요.


친구들과 조금 다르지만, 괜찮다는 낸시의 말은..
낸시를 사랑하는 가족, 친구, 이웃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겠지요.
때론 낸시처럼 귀엽지 않더라도 주변의 사랑과 관심이 세상을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열쇠라른것을 느끼게 했습니다.

만약에...
우리가 쉽게 가늠하기 어려운 범위것들을 '만약에'라는 가정아래 축소하고 들여다보면 극적인 일들이 나타난답니다. 물론 약간의 과장과 왜곡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상상력이 한 사물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도 하고 그로 인해 좀 더 세부적인 흥미를 일으키기도 하는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냥 글로만 설명하기보다 그림으로 설명하니 더 한눈에 이야기를 이해하기 쉬워지는것 같아요. 그림과 글이 함께 만나 더 시너지 상승!!!

만약에 지구의 역사가 1년이라면..
1월1일 지구 탄생
2월에 달과 바다, 대기, 육지가 생김
3월에 바다에 최고의 생명체 존재
4월에 복잡한 형태의 생물 바다에 존재
6월에 육지생물 등장, 6말에 첫번째 빙하시대
11월 초에 빙하시대등장
11월 말부터 12월 중순까지 수많은 생물이 생기고 진화
12월 22일 포유류 진화
12월 마지마날 인류 등장

태양계의 행성을 공이라 생각한다면.
만약에 지구가 야구공이라면..
수성은 탁구공, 금성은 테니스공, 화성은 골프공, 목성은 커다란 짐볼, 토성은 물놀이공, 천왕성은 옹구공, 해왕성은 축구공

만약에 지금의 책의 넓이가 지구의 표면이라면...
파란색 영역인 바다는 75% 차지
25%의 땅중에 아시아가 약 7.5%, 아프리카가 5%, 북아메리카가 4.1%
남아메리카가 3%, 남극이 2.3%, 유럽이 1.7%, 오스트레일리아와 오세아니아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