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4월 17일 1도~21도 맑음
허브밭을 조그마하게 만들었다. 1평이 채 되지 않는 크기다.

먼저 밭을 만들 크기를 정하고, 풀을 뽑아서 정리했다.

거의 생땅에 가까운 곳인지라, 분갈이용 흙을 얻어서 2~3센티미터 정도 두께로 덮어주었다.

허브 씨앗 3종을 구입했다. 예전 로즈마리를 심었던 기억이 있어, 로즈마리를 구하고 싶었으나, 안타깝게도 로즈마리를 찾을 수 없었다.

씨앗들이 너무 작아서 제대로 심겨 졌는지 모를 정도다. 일단 씨앗을 뿌린 곳에 표시를 해두었지만 싹이 잘 올라올지는 장담할 수 없겠다. 갯수도 많지 않아서 발아율이 좋아야 할텐데....

토종검은찰옥수수 모종은 잘 자라고 있다. 어디에 심을지 고심하다 입구 통로와 블루베리밭 사이 경사진 곳을 이용하기로 했다. 농부들은 짜투리 땅도 그냥 두지 않고 작물을 심어서 알뜰하게 사용한다. 그런 마음으로 경사진 곳을 선택한 것이다.

풀들을 정리하고 땅을 조금 파서 퇴비와 함께 섞어주었다. 이곳도 워낙 척박한 곳인지라 관리가 필요하다. 땅이 안정이 되는 일주일 후쯤 옥수수 모종을 옮겨 심을 계획이다.

방치 상태에 가까웠던 체리나무 주위도 정리를 했다. 나무 주위 풀들을 뽑거나 베어주고, 균배양체 5키로그램 씩을 뿌려주었다. 균배양체의 주성분은 톱밥과 쌀겨로 되어 있다. 유기물을 올려주는데 조금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체리나무 열 그루 중 두 그루에만 꽃이 피었다. 그것도 겨우 몇 송이만. 나머지 나무에도 꽃이 필지는 모르겠다. 올해는 체리 좀 먹어볼 수 있으려나? 지난해에는 열매가 달린 게 겨우 두 개였고, 그나마 벌레들 차지였다. 올해는 꽃들이 좀 피고나서 열매가 달릴련지.... 한 소쿠리 정도라도 수확을 할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

사과나무도 이제 꽃을 피울 준비를 하고 있다. 물론 만생종인 부사는 아직 잎도 별로 나지 않았다. 꽃 피울 준비를 하고 있는 사과는 품종 이름을 잊어버렸다. 중생종 정도이고 크기는 일반 사과보다는 작고 미니사과보다는 큰 신품종이다.
아무튼 올해 사과도 몇 개 따 먹을 수 있을까 모르겠다. 지난해에는 직박구리만 포식했다. 새와 나눠먹으면 좋을텐데, 새들이 한 입씩 베어물고 가버리는 통에 사과가 남아나질 않는다. 어떤 방책을 세워야 할지... 감 처럼 사람이 먹고 남겨둔 것들을 새가 먹는 식으로 함께 나눌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