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4월 17일 1도~21도 맑음
허브밭을 조그마하게 만들었다. 1평이 채 되지 않는 크기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9/pimg_7731841433384680.jpg)
먼저 밭을 만들 크기를 정하고, 풀을 뽑아서 정리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9/pimg_7731841433384681.jpg)
거의 생땅에 가까운 곳인지라, 분갈이용 흙을 얻어서 2~3센티미터 정도 두께로 덮어주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9/pimg_7731841433384683.jpg)
허브 씨앗 3종을 구입했다. 예전 로즈마리를 심었던 기억이 있어, 로즈마리를 구하고 싶었으나, 안타깝게도 로즈마리를 찾을 수 없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9/pimg_7731841433384687.jpg)
씨앗들이 너무 작아서 제대로 심겨 졌는지 모를 정도다. 일단 씨앗을 뿌린 곳에 표시를 해두었지만 싹이 잘 올라올지는 장담할 수 없겠다. 갯수도 많지 않아서 발아율이 좋아야 할텐데....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9/pimg_7731841433384688.jpg)
토종검은찰옥수수 모종은 잘 자라고 있다. 어디에 심을지 고심하다 입구 통로와 블루베리밭 사이 경사진 곳을 이용하기로 했다. 농부들은 짜투리 땅도 그냥 두지 않고 작물을 심어서 알뜰하게 사용한다. 그런 마음으로 경사진 곳을 선택한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9/pimg_7731841433384689.jpg)
풀들을 정리하고 땅을 조금 파서 퇴비와 함께 섞어주었다. 이곳도 워낙 척박한 곳인지라 관리가 필요하다. 땅이 안정이 되는 일주일 후쯤 옥수수 모종을 옮겨 심을 계획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9/pimg_7731841433384690.jpg)
방치 상태에 가까웠던 체리나무 주위도 정리를 했다. 나무 주위 풀들을 뽑거나 베어주고, 균배양체 5키로그램 씩을 뿌려주었다. 균배양체의 주성분은 톱밥과 쌀겨로 되어 있다. 유기물을 올려주는데 조금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9/pimg_7731841433384691.jpg)
체리나무 열 그루 중 두 그루에만 꽃이 피었다. 그것도 겨우 몇 송이만. 나머지 나무에도 꽃이 필지는 모르겠다. 올해는 체리 좀 먹어볼 수 있으려나? 지난해에는 열매가 달린 게 겨우 두 개였고, 그나마 벌레들 차지였다. 올해는 꽃들이 좀 피고나서 열매가 달릴련지.... 한 소쿠리 정도라도 수확을 할 수 있다면 정말 좋겠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2/0419/pimg_7731841433384694.jpg)
사과나무도 이제 꽃을 피울 준비를 하고 있다. 물론 만생종인 부사는 아직 잎도 별로 나지 않았다. 꽃 피울 준비를 하고 있는 사과는 품종 이름을 잊어버렸다. 중생종 정도이고 크기는 일반 사과보다는 작고 미니사과보다는 큰 신품종이다.
아무튼 올해 사과도 몇 개 따 먹을 수 있을까 모르겠다. 지난해에는 직박구리만 포식했다. 새와 나눠먹으면 좋을텐데, 새들이 한 입씩 베어물고 가버리는 통에 사과가 남아나질 않는다. 어떤 방책을 세워야 할지... 감 처럼 사람이 먹고 남겨둔 것들을 새가 먹는 식으로 함께 나눌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