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신 이나코스의 딸로 잘 먹고 잘 살던 이오의 팔자가 돌연 기구해진 것은 제우스의 눈에 들고 부터다. 전에도 한번 이야기한 적이 있다. 제우스는 본처 헤라를 속일려고 급한 김에 그만 이오를 흰 암소로 둔갑시켰다. 귀신을 속이는 것이 쉽지 어디 감히 마누라 눈을 속일 수 있겠는가. 흰 암소의 모습으로 헤라에게 넘겨진 이오는 눈알이 백개나 달린 아르고스의 감시 속에서 고초를 겪는다. 속타는 제우스가 나중에 헤르메스를 시켜 이오를 구해내지만 헤라가 가만히 있을리 없다.
헤라는 등에떼를 보내 소가 된 이오를 못살게 괴롭힌다. 인터넷을 뒤져보니 이 등에라는 것이 작은 것은 파리크기에서 큰 것은 호박벌만하다는데 호박벌이 얼마나 큰지를 모르니 또 인터넷을 뒤져볼 밖에 없다. 보통 1.5cm에서 2.5cm 정도 크기라고 나와있다. 서양에서는 ‘greenheaded monster’ 라고 하며 암컷은 흡혈성으로 숙주로부터 하루 9ml이상의 피를 빨아먹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짧은 소꼬리를 이리저리 아무리 휘둘러봐야 사정거리 밖에 앉은 이 푸른대가리 흡혈 괴물 때문에 이오는 거의 미치고 만다. 여름철 야외에서 청바지를 뚫고 들어오는 모기의 시침에 시달려본 사람들은 그 고통을 알 것이다. 더구나 이건 모기도 아니다. 올림포스 최고 여신의 특명을 받잡는 등에 최정예 군단이다. 아! 가련한 이오여~ 아! 잔혹한 여신이여... 아니 여신의 냉혹함을 따지기 전에 제우스의 분별없는 욕망을 탓해야 할 것이다.
이오는 거의 미쳐서 그리스 전역을 날뛰며 돌아다니다가 나중에는 유럽과 아시아를 가르는 해협을 건너 아시아 지역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때 이오가 건너간 해협이 바로 “보스포러스 해협‘ 되겠다. 보스포러스는 ’암소의 건널목‘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이오가 미쳐 날뛰었던 그리스 지역의 앞바다는 이오니아해로 명명되었다. 결국 제우스가 헤라에게 손이 발이되도록 싹싹 빌고 다시는 이런 일이 없을 것이라는 헛된 맹세를 한 다음에야 이오는 사람 형상을 회복할 수 있게된다.
그리스의 무수한 섬들이 별처럼 박혀있는 에게해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면 유럽쪽 땅이 시계불알처럼 축 늘어진 곳이 있다. 이 시계불알과 아시아쪽 땅이 거의 붙을랑 말랑하면서 긴 해협을 이루는데 바로 다르다넬스 해협이다. 시계불알 끝 부분의 건너편 아시아쪽 땅에 그 유명한 도시 트로이가 그 옛날에 있었다. 이 해협을 통과하면 마르마르해다. 마르마라해에서 북해를 바라보고 올라가려면 보스포루스 해협을 지나야 한다. 보스포루스 해협 역시 다르다넬스 해협과 함께 아시아와 유럽을 가르고 있지만 이 곳이 이름난 것은 바로 해협의 양안으로 영원한 제국의 도시인 이스탄불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해협의 길이는 30Km이고 폭이 가장 좁은 곳은 750m, 수심은 36-120m 정도다.
보스포루스 해협에는 아시아 대륙과 유럽 대륙을 연결하는 다리가 세 개 있다. 제일 처음 세워진 보스포루스 제1대교는 일명 아타튀르크 다리로도 불린다. 1970.2.20. 착공하여 1973.6.1. 준공되었다. 총길이는 1560m이고 주탑 사이의 거리는 1074m다. 그 다음 세워진 보스포러스 제2대교는 일명 파티흐 술탄 메흐메트교다. 1986년 착공되어 1988. 7. 3. 개통되었다. 총길이는 1510m이고 주탑의 높이는 115m, 주탑 사이의 거리 1090m다. 왕복8차로다.
보스포러스 제3대교는 현재 공사가 진행중이다. 보스포러스 해협의 가장 북쪽에 위치한다. 이 다리는 사장교와 현수교 공법을 혼합한 방식을 적용했으며 전체 길이가 2164m, 주탑(主塔)의 높이는 322m, 주탑 사이 거리는 1408m에 이른다. 사장교 기준으로는 세계에서 가장 길고, 현수교 기준으로는 4위 수준이다. 현대건설과 SK건설이 공동 시공한다. 2013년 6월에 착공했으며 2015년 11월 준공예정이다. 총공사비는 6억9740만달러다. 다리명칭은 ‘야부즈 술탄 셀림’으로 예정되어 있으나 셀림이 냉혹한 술탄으로 알려져 있어 반대여론도 있다고 한다. 야부즈는 ‘냉혈한’이라는 뜻이다.
그럼 여기서 또 현수교와 사정교의 차이는 무엇인가 궁금하다. 사장교는 주탑꼭대기에서 와이어가 분산되어 직접 교량 상판을 잡아주는 형식이고(멀리서 보면 무슨 조개 껍대기 같은 모양이다.) 현수교는 주탑과 주탑사이에 연결된 와이어에서 간격별로 또 와이어가 내려와서 교량 상판을 잡아주는 형식이다. 금문교, 남해대교는 현수교이고, 인천대교는 우리나라 대표 사장교다. 보스포러스 1,2대교는 모두 현수교다.
인간의 끝없는 욕망은 엄청난 과학기술의 발달을 가져왔다. 바다 위에 거대한 다리가 건설 되었다면 바다 밑으로는 터널을 뚫었다. 2013.10.29. 유럽지역의 시르케지에서 아시아지역의 위스크다르까지 해저로 지하철이 개통되어 있다. 마르마라해를 건넌다고 해서 지하철의 이름은 마르마라이다. 총 77km의 운행구간을 가진 마르마라이는 지하철 구간은 13.6km이고 그중 바다 밑을 지나는 구간은 1,378m이다. 2004년부터 45억달러를 들여 일본과 같이 합작으로 사업을 추진했다. 개통식에는 아베총리도 참석했다.
마르마라이는 바다 밑으로 기차가 다니는 것이다. 그렇다면 차량통행이 가능한 해저터널은 없는가? 왜 없겠는가. 현재 공사가 진행중이다. 마르마라이보다 더 아래쪽 위치다. 2014.4.19. 유라시아 해저터널 공사 굴착식이 있었고 지난 2015.8.22.에는 해저터널 관통 기념식이 있었다. 이 해저터널은 접속도로 포함하여 총연장 14.6km로 터널의 길이는 5.4km이고 바다밑 구간은 3.34km인 왕복4차로 복층 해저터널이다. 총사업비는 12억 4천만달러다. 2017년 3월 개통예정이다. 터널이 개통되면 하루 12만대의 차량이 이동 가능하고 해협통과시간도 1시간 45분에서 15분으로 단축된다고 한다. 위치는 마르마라이 선 보다 더 아래쪽이다.
바다 밑에서 땅굴을 파는데는 지름이 13.7.m 총길이 120m 무게 3300톤에 달하는 메머드급 굴착장비가 사용되었다. 사진을 보니 인간의 능력이란 참으로 엄청나고 무섭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영화 메트릭스에서 최후의 인간들이 거주하는 시온성을 공략하는 거대한 로봇 굴착기가 생각났다. 이 유라시아 터널 프로젝트는 터키의 건설사와 삼환기업, 한신공영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한 우리나라의 SK건설이 공동으로 사업을 추진중이다. 신화 속의 암소가 건넌 해협은 이제 위로는 거대한 다리가 세워지고 아래로는 터널이 뚫어져 개나 소나 인간이나 자동차나 기차나 마구 다닐 수 있게 되었다.
이 보스포러스 해협을 둘러보는 크루즈가 있다. 그 유명한 고등어 케밥을 파는 곳이 많이 모여있는 에미뇌뉘에도 선착장이 있고 돌마바흐제 궁전 근처의 카바타쉬에도 선착장이 있다. 에미뇌뉘에서 출발하여 제2대교까지 갔다가 돌아오는 코스가 거의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요금은 1인 12리라. 한화로 5400원 정도. 저렴하다. 해협의 끝인 흑해 바로 앞까지 가는 코스도 있다. 6시간 정도 소요된다. 디너가 나오고 쇼도 구경할 수 있는 보다 고급진 크루즈도 있다. 비용은 1인 60유로인가 그랬다. 한화로 8만원 정도. 소심한 소생은 역시 저렴한 크루즈를 선택했다.
유람선이 보스포루스 2대교에 이르면 유럽쪽 해안에 성채가 보인다. 루멜리 히사르다. 글이 너무 길어져 루멜리 히사르는 다음에 이야기해야겠다.
일단 지도를 참고하시라.
보스포러스 제1대교다.
이건 보스포러스 제2대교 되겠다.
보스포러스 아시아쪽 해변가의 저택들. 건물뒤로 보이는 성채는 아나돌루 히사르다. 다음에 이야기 하겠다.
루멜리 히사르다. 뒤로 보이는 다리는 보스포러스 제2대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