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중섭, 떠돌이 소의 꿈 - 이중섭의 삶과 예술의 발자취를 따라가는 예술기행
허나영 지음 / arte(아르테) / 2016년 7월
평점 :
이중섭, 떠돌이 소의 꿈/허나영/아르테/이중섭 탄생 100주년에 떠나는 아주 특별한 여행...
소 그림이라면 단연 이중섭이 떠오른다. 미술 교과서에서 실렸던 그의 그림 한 점 때문이다. 학창시절, 교과서에서 본 이중섭의 그림 <황소>는 힘찬 붓질에서 생명력과 역동성을 느낄 수 있었던 작품이었다. 하지만 이후 알게 된 이중섭의 일생은 파란만장했고 죽음마저 쓸쓸했기에 충격의 반전이었다.
올해는 이중섭 탄생 100주년, 작고 60주년을 맞은 해라고 한다. 이 책은 그런 의미에서 이중섭에게 보내는 예술가의 오마주 같은 책이다. 그의 삶과 예술을 따라 서울, 부산, 제주, 통영, 진주. 대구, 도쿄 등을 다니며 그의 그림과 생활을 소개하는 형식이기 때문이다. 그가 입원했던 병원, 잠시 살았던 집과 여관, 그의 무덤이 있는 망우리 공동묘지까지 찾아 그의 행적과 예술혼을 더듬기 때문이다.
이중섭의 삶을 보니, 한국 역사의 혼란기와 맞닿아 있기에 슬픈 드라마 같다. 그가 지금처럼 자신이 하고 싶은 그림을 그리면서 사랑도 하고 행복에 겨울 수 있는 시절을 살았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비록 가난하지만 가족들과 함께 있었다면 어땠을까. 전쟁으로 인해 추락한 가세, 피란민으로 떠돌다 결국 알본인 아내와 두 아이를 일본으로 보내야 했던 상황, 그 이후로 일본에 갈 수 있는 방법이 없었던 상황이 그를 미치게 하지 않았을까.
이중섭의 삶을 보며 그의 그림에 담긴 소를 대상으로 한 힘찬 붓질이 삶에 대한 소망임을, 복숭아밭에서 노는 아이들 그림의 밝은 분위기도 그가 간절히 바랐던 염원임을 알 수 있었다. 그래도 그의 삶에도 많은 행운들이 있었기에 그나마 행복한 사나이가 아니었을까. 일찍 아버지를 여의었지만 형의 사업으로 유복하게 살았던 어린 시절부터 그림에 소질을 보였던 그는 오산학교의 해외유학파 미술 교사였던 임용련, 백남순 부부를 만나면서 그림에 영향을 받았으니 말이다. 이들로 인해 일본으로 미술 유학을 결심할 정도였으니 말이다. 또한 도쿄에서의 미술 유학중에 만난 일본 여인과는 유럽행 미술 유학을 꿈꾸기도 했으니 말이다.
그의 불행은 가족과의 이별부터 시작되지 않았을까. 한국에서의 결혼생활과 미술 활동은 그의 삶에 날개를 달아주는 듯 했지만 한국전쟁의 발발로 그는 모든 재산을 잃고 가난한 피란민이 되어야 했다. 그래도 부산과 제주도를 잇는 가난한 피란민 생활 중에도 아이들과 아내를 그리고 풍경화도 그릴 수 있었던 그나마 그의 결혼생활 중 가장 행복한 한때였던 것 같다. 하지만 아내와 아이들을 일본으로 보낸 이후로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외로움은 커졌고 가족과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했지만 끝끝내 가족과 함께 할 수 없었기에 몸과 마음의 병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으리라.
이중섭의 삶과 그림은 반전이 아닐까. 일제시대에 미술 유학을 했던 미래가 창창한 예술가였지만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경제적인 나락으로 떨어졌고, 그런 가난으로 사랑하는 가족과 떨어져야 했고, 가족과 합류할 수 있는 방법이 없자 정신과 몸이 피폐해진 화가였다. 하지만 그는 가난한 중에도 다양한 미술적 시도를 했고,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아이들에 대한 사랑을 담은 그림은 너무나 힘차고 밝아서 낭만적이었으니까.
평생 소를 그리고 가족을 그렸던 화가 이중섭의 자취를 찾아 떠나는 여행이기에 처음엔 설렜다. 그의 그림과 삶, 우정과 작품 활동을 따라 신화가 된 이중섭을 만나면서 외로움으로 막을 냐린 결말이 애잔하기만 했다. 책을 통해 일본 유학, 미술 학도인 마사코와의 결혼, 피란생활, 시인 구상과의 우정, 한국전쟁 후 부산 대청동에 있던 루네쌍스 다방에서 문인이나 예술가들과의 교류, 밀다원 시대, 누상동 시절, 진주, 통영, 대구, 왜관 등에서의 생활을 제법 자세하게 만날 수 있었던 독서였다. 독서를 하고 다시 그의 소 그림, 담배 은박지 그림을 보니 가족을 지키고 싶은 중년 남자의 로망과 쓸쓸함이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