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주의 가족
그레구아르 들라쿠르 지음, 이선민 옮김 / 문학테라피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개인주의 가족/그레구아르 들라쿠르/문학테라피/가족 해체의 슬픔이.......

 

 

 

가족의 단절과 분열, 해체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마음을 아프게 합니다. 반대로 가족의 단합이나 화합, 결합에 대한 이야기는 마음을 훈훈하고 따뜻하게 하는데요. 하지만 기쁨의 흔적보단 슬픔의 상처가 더 마음에 남는 걸까요?  가족의 단합보단 가족의 해체 이야기가 더 많아서 일까요?  가족의 분열 이야기를 읽으며 가족 각자의 상처가 느껴져 더욱 마음이 짠~ 했습니다. 가족 분열과 해체의 이야기를 접하며 이 시대의 자화상을 보는 듯 했어요.

 

 

프랑스 작가 그레구아르 들라쿠르의 매력적인 문장으로 만난 <개인주의 가족>은 가족의 분열과 해체를 다루기에 읽는 동안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게 합니다. 이렇게 가족 개개인의 아픔을 서로 공감하지 못하는 가족의 모습을 보며 불완전체의 가족을 완전체로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 싶기도 했고요. 서로 사랑하는 방법의 차이가 좁혀지지 않아서 발생하는 거리감을 무엇으로 메워야 할지 고민하기도 했고요. 유머러스하고 멋진 문장으로 가득찬 가슴이  짠해지는 가족 이야기에 한동안 가슴 먹먹하기도 했어요. 

 

 

 

 

 

 

7살에 시를 쓰면서 천재 시인의 탄생으로 기대를 모았던 에두아르는 나이가 들면서 글 쓰는 감각이 둔해지고 반짝 천재라는 말까지 들을 정도로 글 쓰는 일에 진척이 없습니다. 처음엔 사랑으로 만나 아이들을 낳았던 에두아르의 부모님은 에두아르가 10살이 되는 즈음에 가족 단절을 경험하게 됩니다. 에두아르는 알제리에 있는 기숙사 학교로 보내지고, 학교에서 사감신부님께 아빠가 주신 책을 뺏기면서 벽에 '복수의  낙서'를 하게 되면서  친구는 퇴학을 당하게 되고 에두아르는 기숙사 감옥에 갇히게 됩니다. 그로인해 뛰어난 천재시인에서 위험한 인물로 낙인 찍힌 에두아르는 가족들과도 거리가 생기게 되는데요.  아빠는 전쟁터의 상처로 인한 우울증으로 엄마와 별거하게 됩니다. 그동안 엄마는 새로운 남자 친구를 찾아 나서고요. 시간이 흐를수록 가족간의 접착력은 떨어지고 거리감은 강해지면서 더욱 단절의 단계를 진행하게 됩니다.

 

아들의 천재 시인의 기질이 온 가족의 공통 관심사였기에 아들에 대한 기대감은 온 가족의 공통된 관심사였죠. 하지만 아들이 천재 시인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면서 가족들은 점점 말이 사라지게 되는데요. 게다가 난청으로 고생하던 남동생은 우울증으로 정신병원으로 가게 되고 결국 정신병원에서 자살하게 되고, 공주처럼 사랑스럽던 여동생마저  미혼모가 되는 지경에 이르고요. 대학 회계학 수업에서 만난 모니크와 사랑 없는 결혼을 한 에두아르 역시 두 딸이 생기는 순간에도  가족의 결속력을 느끼지 못하다가 이혼에 이르게 되는데요.

 

소설 속 에두아르는 가족들의 희망이었던 글 쓰는 작가 대신 광고쟁이로 성공하지만 아쉽게도 성공은 행복을 동반하지 않죠. 글 쓰기로 상처를 치유하려 했지만 가족들의 꿈을 이루지 못한 에두아르는  광고문구만으로는 상처 치유가 어려움을 느끼게 되고요. 더구나 행복은 개인적으로 오지 않는건지 행복보단 외로움만이 가족들 주변을 늘 맴돌기만 합니다. 늘 행복을 꿈 꾸지만 누구 하나 치유자로 나서지 못하기에 벼랑 끝에 매달린 아슬아슬한 가족들입니다.

 

 

처음에 가족들을 묶은 것은 사랑이었을 겁니다. 그러다가 에두아르가 뛰어난 천재시인의 자질을 보이면서 가족들을 묶었을 겁니다. 가족을 묶었던 에두아르에 대한 기대감이 사라지면서 점점 가족의 분열은 더해졌겠죠. 혼자서는 살기 어려운 세상이기에 대개 가족을 형성해 살겠죠. 하지만 각자 자신의 삶을 살 수밖에 없는 가족을 보며 완전체 가족을 꿈꾸는 인간의 모습을 보았답니다.

 

 

 

아픔을 드러내고 상처를 치유하기 보다 자기 안에 스스로 숨는 가족들, 상처를 드러내어 치유하기를 바라지만 서로 치유자가 되지 못하고 더욱 깊은 상처를 남기는 가족들, 같은 가족이라는 핏줄로 묶여 있지만  전혀 딴 세상을 바라보는 가족들을 보며 마음이 짠해졌어요. , 균열되고 엉망이 된 가족들의 단절과 해체, 분열에 대한 이 시대의 자화상 같은 소설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