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신 이슈 & 상식 2016년 1월호 - 1월 신년호 / 취업.면접 무료 동영상 제공 / 기획특집 - 2016 공기업 채용 정보 안내 / 다음카카오, 연합뉴스, 한국경제신문, 아시아투데이와 콘텐츠 제휴
시사상식연구소 엮음 / 시대고시기획 / 2015년 12월
평점 :
품절
최신 이슈&상식 2016년 1월/취업과 면접, 대화, 미래적 안목을 키우는 책~~
늘 신문을 통해 정치와 경제, 사회, 문화, 역사, 과학, 국제, 스포츠, 연예 등 최신 이슈를 접하곤 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중요한 이슈를 놓치기도 하고, 이해가 어려운 부분도 있기에 가끔 상식책을 보며 도움을 받기도 합니다. 취업과 면접을 앞둔 취준생이라면 당연히 필요한 책이지만 그런 경우가 아닌 저에게도 상식책은 대화의 폭을 넓혀주고, 미래 안목을 키우고, 최신 이슈를 정리해 주기에 필요한 책입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107/pimg_7269711951338368.jpg)
이 달의 칼럼에서는 저출산 대책에 대한 이야기가 있군요. 미래사회에서 세계를 평정하게 된 나라들은 인구대국일 가능성이 높기에 한국의 저출산 문제도 숙제일 겁니다. 저출산은 저소비, 저생산, 저성장률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기에 해결해야 할 난제라고 생각합니다. 2억 5천만 인구의 인도네시아가 도약과 13억 인구를 가진 중국의 활약엔 거대 인구가 미치는 힘이 가장 위력적이겠죠. 한국도 인구성장을 한 뒤에 많은 인구가 해외진출을 한다면 중국의 화교상 같은 구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요. 어쨌든 지금의 저출산 대책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효과가 있었으면 합니다. 인구는 국력이니까요.
최신 이슈에는 사시폐지에 대한 논란도 거세군요. 법학전문대학원이 가난한 학생은 엄두도 못내는 등록금이기에 빈익빈 부익부는 더욱 양산될 것 같아요. 사시제도를 왜 폐지했는지, 이런 혼란은 이미 예측된 혼란이었기에 입법자들의 안일한 자세가 문제라는 생각이 듭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107/pimg_7269711951338369.jpg)
위안화의 인기 급상승은 이미 예측된 상황이죠. 아직도 중국은 자신의 힘을 겨우 새발의 피 정도로 보여주고 있으니까요. 국가 주도의 경제정책이 계획적으로 이뤄지고 있고, 거대 인구와 거대 자원, 거대 자본은 앞으로 중국을 더욱 강력하게 키울 것이기에 위안화의 위상은 아직도 시작단계일 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더구나 모바일 혁명의 선두에 서서 핀테크 혁명을 이어가고 있는 중국이기에 더욱 무섭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본의 금성탐사선 '아카쓰키'가 금성 주변의 궤도 진입에 극적으로 성공했다는 소식을 들으니, 강대국들의 우주전쟁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최첨단 기기와 3D 프린팅 기술, 웨어러블 컴퓨터까지 우주전쟁에 사용하고 있기에 가까운 미래엔 더 많은 우주 소식을 접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어쩌면 또 다른 태양계를 만나게 될 지도 모르고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107/pimg_7269711951338370.jpg)
최신 시사 용어에는 노쇼, 인터넷전문은행, 무역이익공유제, 인구절벽, 오픈 이노베이션, 외로운 늑대, 온디맨드 경제, 프리터족, 리셀러, 화이트 해커, 스노비즘, 톨레랑스, 솅겐조약, 바이오레즈, 키즈딜레이 등이 있기에 뉴스 이해를 돕네요. 국제적인 대세인 중국이기에 중국 인문학 편에서는 반고와 여와의 이야기도 있기에 중국에 대한 이해를 돕네요.
최신 이슈와 상식을 함께 담은 신년호이기에 새해를 맞은 시점에서 읽고 싶었던 책입니다. 과학 기술이 급변하는 세상이기에 새해엔 국제 이슈나 과학 이슈를 꼭 챙겨 보리라 다짐했거든요. 덕분에 미래에 대한 안목을 높일 수 있었던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