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팽 노트 - 가장 순수한 음악 거장이 만난 거장 1
앙드레 지드 지음, 임희근 옮김 / 포노(PHONO)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쇼팽노트/앙드레 지드/<좁은문> 작가 앙드레 지드가 쓴 쇼팽 찬가~ 

 

 

잘 모르는 분야지만  끌리는 분야라면  미술과 음악 등 예술분야랍니다. 음악은 메마른 감성을 촉촉히 적셔 줄 것 같고, 미술은 편협한 시야를 넓혀 상상 스케치를 가능하게 할 것 같아서죠.  그중에서도 음악은 학창시절 이후로는 접할 기회가 드문드문 했기에 요즘 들어서 자주 접하려고 노력중인데요.

 

쇼팽의 녹턴(야상곡)을 알고부터는 피아노의 천재인 쇼팽에 관심을 가졌더랬어요. <좁은문>의 작가로 알고 있던 앙드레 지드가 쇼팽의 열혈 팬이었다니, 그런 쇼팽을 위해 40년을 머뭇거리다가 <쇼팽 노트>를 남겼다니, 이런 대문호의 응원을 받은 쇼팽은 참으로 행복한 음악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교회에서 밤 기도서를 낭송하기 전에 부르는 기도의 노래인 야상곡은 밤의 서정과 종교적 감성을 담은 곡인데요. 쇼팽의 야상곡은 주로 소박하고 단순하지만 가끔은 웅장하거나 극적인 느낌도 들었어요. 그런 쇼팽이 주로 조용하고 서정적이며 달콤한  피아노곡으로 낭만주의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미친 천재로 칭송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했나 봅니다.

 

종교적 영향으로 쇼팽의 음악을 불온하게 여기던 시절,  쇼팽의 음악을 이해하지 못한 사람들이 많던 시절에 그들을 이해시키기 위해 <쇼팽 노트>를 남긴 앙드레 지드를 보며 그의 쇼팽 사랑을 느낄 수 있었답니다.

 

 

 

앙드레 지드의 쇼팽 찬양은 대중의 관심과 이해를 받지 못하던 초창기부터 시작합니다. 쇼팽은 기교의 달인이기도 하지만 소녀 감성을 많이 가진 소박한 피아노 연주를 하기에 대중들로부터 외면을 받았어요. 하지만 앙드레 지드는 소박하고 단순한 쇼팽의 연주엔  우울하거나 애절한 느낌의 연주도 있지만 기쁨이 스며든 연주를 주로 한다며 쇼팽의 연주를 이해하지 못하는 이들을 이해시키려 이렇게 글을 남겼을 정도랍니다.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이기도 했던 지드의 입장에서 쇼팽의 피아노 소리는 화려함을 의도적으로 배제한 순수한 천재의 능력으로  느꼈나 봅니다. 쇼팽의 연주는 대개 현란하거나 유혹적이지 않기에 대중의 이해를 얻지 못하는 상황이었기에 앙드레 지드는 이를 안타깝게 여겼어요. 그래서 지드는 쇼팽의  피아노 연주를 누구보다도 순수하고 맑다며 많은 글로 두둔을 하곤 했어요. 

 

특히 보들레르의 <악의 꽃>과 쇼팽의 G단조 발라드 서두 부분을 암시적 어법을 사용하는 점에서 비슷하다며 머뭇거리다가 변신을 꾀하는 마술봉 같은 놀라움을 선사한다며 음악가 쇼팽을 문학가 보들레르와 비유하기도 합니다.

 

 

 

 

 

처음에 이 글의 제목으로 '슈만과 쇼팽에 관한 노트'라고 했다가 점차 슈만은 사라지고 40년이 지나서는 쇼팽 노트로 바꾸었다니,  앙드레 지드의 쇼팽 사랑을 알 수 있었던 글입니다. 쇼팽의 맑고 순수한 연주를 사랑한 지드의 <쇼팽 노트>는 쇼팽에 대한 오마주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자신을 인정해주는 한 사람만으로도 세상을 살아갈 힘을 얻는다고 하는데요. 세상이 인정하지 않던 시절에도 대문호 앙드레 지드의 인정을 받은 쇼팽은 참으로 행복한 작곡가, 행복한 피아노 연주자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잘 몰랐던 클래식의  세계로 여행을 하면서 자주 음악 관련책을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런 음악여행은 지적충전은 물론 감성충전의 독서이기에 마음이 여유로워지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