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뿌리친 정치사상 - 정치교육의 새로운 방법을 찾다
박종성 지음 / 인간사랑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가 뿌리친 정치사상/박종성/인간사랑/정치교육의 방법을 영화에서 찾는다면..... 

 

 

영화가 뿌리친 정치사상!

영화는 왜 정치사상가들을 다루길 거부했을까라는 테마의 책을 읽다가 보니, 영화가 정치사상을 쉽게 받아들이지 못한 이면엔 경제논리가 가장 크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더구나 요즘같은 대형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을 보면 흥행성 위주의 영화상영으로 예술영화나 비상업적 영화는 들어갈 틈조차 주지않는 상황이기에 정치사상을 다룬 영화는 더욱 들어갈 틈이 없을 것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영화는 경제논리에 따른 대부분의 영화와  예술논리에 따른 약간의 영화로  이루어져 있기에 정치사상까지 비집고 들어갈 틈은 없지 않을까 싶다.  게다가 보통 정치사상을 담은 영화는 선전도구나 선동정치의 수단이라고 여겨지기 십상이다. 과거의 전제주의 국가나 공산주의 국가나 독재국가에서 흔히들 사상을 세뇌하기 위한 도구로 정치사상 영화를 사용해왔기에 영화에 정치나 사상이 들어간다면 아무래도 영화의 순수성을 의심받게 마련일 것이다. 그렇기에 마르크스, 모택동, 레닌 등 정치사상가들이 영화팬들에게 그리 매력적인 인물들인가도 중요한 논의의 대상일 것이다. 

 

 

 

 

 

그래도 영화 주제로는 비주류에 속하는 정치사상가를 다룬 영화들이 있기에 그런 영화를 통해 이데올로기를 들여다보는 책이다.

전체주의를 다룬 <한나 아렌트>, 사회주의를 다룬 <필름 소셜리즘>, 원리주의를 다룬 <클린스킨>와 <천국을 향하여>, 자본주의를 다룬 <코스모폴리스> 등 5편의 영화를 통해 이데올로기 수업을 듣는 셈이다. 생소한 영화이기에 일단 영화부터 보고 싶다. 아무래도 영화로 배우는 정치사상은 최고로 쉽고도 재미있는 수업이니까.

 

 

 

 

 

 

 

영화보기를 즐기지만 영화를 보러갈 때 정치사상가는 내게도 목록의 최우선 순위가 아니다. 하루의 스트레스를 풀 수 있거나 그저 즐길 수 있는 영화이거나, 문학작품을 영상화한 작품들을 즐기기 때문이다. 책으로는 정치사상가의 책을 즐기지만 영화로 즐기기엔 웬지 그 무게감에 부담스럽기도 하다. 그래도  정치사상 영화로 상영되었으면 하는 이가 있다면, 그건 바로 녹두장군 전봉준이다. 최근에 읽은 전봉준의 동학 농민 혁명을 다룬 소설 <나라 없는 나라>를 흥미롭게 읽으면서 앞으로 드라마나 영화로 만들어지지 않을까 싶었던 작품이다. 민초들의 꿈틀대는 힘을 보여주는 전봉준의 이야기는 이 시대의 서민들에게도 힘을 실어줄 수 있을 것 같아서 말이다. 부디 전봉준의 이야기가 소설의 인기에 힘입어 영화로도 만들어졌으면 좋겠다.

 

지금은 정치사상적 혁명의 시대는 지나고 기술혁명의 시대다. 그래도 인류를 뒤흔들었던 이데올로기를   한번쯤은  정리하는 의미에서도 정치사상 영화가 나와도 좋을 것 같다.   불평등과 차별에 저항했던 정치사상가들의 외면과 내면, 그 이면도 다룬다면 의외로 히트칠 수도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