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로 세운 집 - 기호학으로 스캔한 추억의 한국시 32편
이어령 지음 / arte(아르테)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언어로 세운 집/시에 대한 이해를 튼튼하게 세우게 된 책~
시를 좋아하기에 만나서 반가웠던 책이다. 일상을 언어로 채우고, 매일 시를 접하고 있지만 시에 대한 분석은 학창 시절 이후론 처음 접하기에 신선했던 책이다. 더구나 이어령 교수님의 구수한 글인데다 시에 대한 논리적인 해석까지 읽게 되니, 다시 학창시절로 되돌아간 느낌도 들었다.
한국인이 사랑한 시를 기호학적으로 분석한 책이다. 그중에서 교과서에 나왔던 시를 중심으로 논리적 분석을 한 책이기에 이전에 몰랐던 이야기가 많아서 몹시 충격적이다. 시의 분위기나 시어의 문화적 코드도 제대로 모르면서 여태 사랑하는 시라고 외웠다니, 순간 부끄러운 마음도 들었다.
김소월의 <진달래꽃>에 대한 분석은 나도 무척 충격적이다. 가장 널리 알려졌으나 가장 잘못 읽혀지고 있다는 시이기에 뒤통수를 제대로 맞은 기분이다.
나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보내 드리오리다.
(이하 생략)
-<진달래꽃> 김소월
너무나 잘 알고 있는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이별을 노래한 시가 아니라 사랑의 기쁨과 열정을 노래한 시라니, 진달래가 이별의 슬픔을 억제하고 너그러운 부덕을 상징하는 꽃이 아니라는 설명을 읽으면서 교실에서 배운대로 익히고 무심코 시를 암기했던 나의 생각없음에 부끄럽기도 했다.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보내 드리오리다'라는 표현은 미래추정형이기에 앞으로의 의지와 바람을 나타낸 것이라고 한다. 그렇기에 <진달래꽃>에서는 열렬한 사랑이 진행 중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이별의 슬픔은 미래형이고, 사랑의 기쁨은 현재 진행형인 것이다. 김소월의 <진달래꽃>은 이별의 가정법을 통해 사랑의 농도를 강조하는 표현법인데다, 역설법의 묘미를 살려 사랑의 기쁨을 내포한 시였다니, 다시 읽으며 새삼 생각이 깊어졌다.
진달래꽃으로 유명한 영변 약산! 진달래는 자기억제의 꽃이 아니라고 한다. 하긴 봄은 생명을 잉태하는 발산의 시기이기에 봄의 전령인 진달래는 슬픔이나 이별의 이미지보다 기쁨이나 반가움의 이미지일 것이다.
이 책은 20년 전 조선일보에 연재된 칼럼을 엮은 책이다.
책에서는 진달래꽃, 향수, 서시, 광야, 춘설, 남으로 창을 내겠소 등 너무나 유명한 한국의 대표적 명시 32편을 담았다. 교과서에서도 본 현대시들이기에 더욱 친숙해서 흥미롭게 읽은 책이다. 한국의 대표 현대시를 시대적 배경, 시인의 전기적 배경 뿐 아니라 시어가 가진 문화적 상징을 기호학으로 분석했기에 논리학을 읽는 느낌도 든다. 일상의 언어에 담긴 문화 코드를 찾아내고, 시어로서의 기호학적 의미도 분석해 내기에 색다른 시 감상법을 알게 된 책이다.
너무나 사랑하는 시들이기에 빨려서 읽은 책이다.
생각 없이 암기하고, 교과서적 해설에 익숙해진 시들이기에 읽으면서 받은 충격이 세다. 시의 외형에 취해 기계적으로 암기한 탓에 해석적 오해를 하게 될 줄이야. 시험을 위해 생각 없이 시를 암송했던 폐단으로 시에 대한 오류를 저지르게 될 줄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