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없는 나라 -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이광재 지음 / 다산책방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라 없는 나라/이광재/다산책방/지금 녹두장군이 그립다~

 

 

 

 

 제5회 혼불문학상 수상작이라는 점에서도 끌렸지만 녹두장군 전봉준에 대한 이야기라서 더욱 끌린 책입니다. 학창시절 국사책 한 자락에서 만난 전봉준은 그의 끌려가던 사진이 인상적이었다. 비록  동학농민혁명이 실패로 끝났지만 그의 눈빛은 살아있었으니까. 

 

 전봉준의 동학농민혁명을 다시 살려낸 소설을 읽으며 다시 전봉준의 눈빛을 마주 대하는 듯하다.  전봉준이  얼마나 목숨을 걸고 조직적으로 농민운동을 일으켰는지, 힘 없는 백성들이 얼마나  세상을 바꾸길 원했는지,  일부 지도층마저 조선 백성의 힘을 볼여주길 원했는지를 알게 되면서 조선 민초들의 위력을 새삼 느끼기도 했다.  대원군의 은밀한 지지까지 받았던 농민군의 조직과 위세를 보며  지금도 전봉준 같은 백성이 주인이 되는 세상을 꿈꾸는 리더가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신분질서가 엄격하던 시절에 하극상은 위험천만한 일이었다. 백성들의 저항은 자신의 목숨은 물론 일가 친척과 그 후손까지 목숨을 담보하는 일이기에 동학농민운동의 시작부터 쉽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 시대적 배경과 그런 농민들의 마음을 읽게 되니 더욱 애잔하면서도 가슴이 뜨꺼워진다. 살아서 꿈틀대는 민초들의 역동성에 존경스러웠다.   

 

 

 

반상의 신분질서가 지배하던 조선에서 인간 대접을 받지 못하던 양민들의 불만이 조선 전국에 팽배했던 시절이었다. 그렇게 불만 가득한 백성들에게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는 이들의 불만에 불을 지른 격이었으리라.  이들의 조직력과 위세에 힘입어 세상이 바뀌었으면 좋겠다던 이들도 많지 않았을까?  굉장히 조직적이고, 대단한 위력을 펼쳤던 동학농민운동의 기세등등함이 하늘을 찌를 정도였다고 하니 말이다. 이들의 저항을 막기위해  관군으로는 부족해서  일본군의 지원을 받아야 했을 정도였으니까. 비록 실패로 돌아갔지만 동학농민혁명은 단순한 농민혁명 이상을 보여주었다. 깨어있는 백성의 중요성도 일깨우고, 백성들의 저력을 끌어올릴 좋은 지도자의 중요성도 일깨우고, 민초들의 저항정신도 보여준 대사건이었다.

 

 

 

 

 

 

동학농민혁명은 군수 조병갑의 폭정에 대한 항거를 넘어선 세상을 개혁하고자 한 백성들의 힘을 보여준 사건이기에 대단하다. 지방 정부의 세금 착취를 넘어선 믿고 따를만한 지도자를 원한다는  백성들의 열망을 보여준 쾌거이기에 대단해 보인다. 청나라와 일본의 야욕 앞에 무너져 가는 조선을 일으켜 세우고 싶었던 농민군의 목숨을 건 대활약, 탐욕적이고 부화뇌동하는 믿을 수 없는 지도자 대신 믿고 의지할 지도자를 간절히 바랐던 농민들의 열망을 담은 혁명을 보니 지금도 그와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만약 동학농민혁명이 성공했다면 조선은 어떻게 되었을까? 역사에 가정은 무의미하지만 그래도 그런 가정을 하게 된다. 농민 동학군의 위세와 조직력에 은근히 기대했던 대원군의 야심과 은밀한 지지, 일본군 개입으로 지도층에 잡히면서 실패로 돌아간 이야기엔 진한 아쉬움이 남기에 말이다. 

 

나라 없는 나라란 허울뿐인 나라, 백성을 지켜주지 못하는 나라, 백성을 착취만 하는 나라, 백성에게 불행만 안기는 나라일 것이다. 그러니 나라 없는 나라는 어떤 면에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이야기일 것이다. 그러니 지금도 녹두장군 같은 백성을 위한 마음을 지닌 리더가 그리울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