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야, 파리 - 파리가 들려주는 신기한 곤충 이야기 스콜라 똑똑한 그림책 7
브리짓 히오스 지음, 제니퍼 플리커스 그림 / 스콜라(위즈덤하우스)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나는야, 파리 /브리짓 히오스/스콜라/더러운 파리가 들려준 신선한 곤충 이야기

 

 

 

 

파리는 쓰레기 더미나 동물의 똥, 시체를 옮겨다닌 더러운 발로 병균을 옮기기에 우리집에선 불청객이다. 늘 집안에 파리채를 두고 살 정도로 온 가족의 파리에 대한 거부감은 대단하다. 그런 파리에게도 많은 사연이 있다니, 파리를 통해 새롭게 듣는 이야기가 무척 흥미롭다. 

 

 

 

파리는 나비처럼 알, 애벌레, 번데기, 어른벌레 단계를 밟으며 완전변태를 하는 한살이 과정을 거친다. 파리는 한 번에 알을 500개나 낳고, 그 알은 열흘 만에 새로운 엄마와 아빠가 된다. 꿈틀 거리는 파리 애벌레인 구더기가 세 번의 허물을 벗는다니, 삶에 대한 본능이 대단한 구더기다. 파리는 날개가 2개여서 일까? 날갯짓 소리가 엄청 요란하다. 마치 곤충계의 헬리콥터 같다.  파리는 뒷날개가 있어야 할 자리에는 막대 사탕 모양의 평균곤이 있는데, 평균곤은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니, 잘 살펴봐야겠다. 

  

파리는 액체를 빨아 먹기에 과일 껍질을 자신의소화액을 토해 액체로 만들어 스펀지처럼 생긴 입으로 쭉쭉 빨아먹는다. 그렇기에 너무 단단한 음식은 토하기도 한다. 파리의 감각기관은 몸에 난 센털인데, 언제나 깨끗하게 손질하기에 자주 비벼댄다니, 나름 깨끗하고 부지런한 파리다. 

 

 

 

파리는 200만 개 정도의 세균을 달고 다니며 사람에게 65가지 볍을 옮기지만 시체에 생긴 구더기의 나이로 범행 시간을 판정하기도 하고 , 사촌인 초파리는 과학실험실의 모르모토가 되기도 한다.  물론 음식물 쓰레기 일부를 처리하기도 한다.

 

파리목의 모기라니, 모기도 파리의 친척이었구나. 

 

 

 

파리를 통해 듣는 나비 이야기도 흥미롭다.

나비는 뼈가 없는 대신 근육이 1,000개 이상이나 된다니, 10도 이하에서는 날지 못하는 변온동물이라니, 발목 마디로 미각을 느낀다니 모두 신기한 이야기다. 나비는 4장의 날개로 1초에 5~12번 날갯짓을 하는 모나크나비도 있지만 대개 1초에 200번의 날갯짓을 한다니, 소리없이 조용한 날갯짓이 그리도 부지런하게 움직였다니, 새롭게 알게 된 사실이다.

 

더러운 파리가 들려주는 곤충 이야기지만 신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