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에서 만난 예술 교육 - 예술이 교육이다 ㅣ 서울문화재단 예술교육총서 3
곽덕주.남인우.임미혜 지음 / 이안재 / 201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 /북유럽, 모두가 예술을 즐기는 예술교육을~
북유럽 국가의 교육이나 예술 교육에 관심이 많았기에 북유럽 4개국의 예술교육 탐방기는 무척 끌렸던 내용이다. 책을 통해 간접 경험해 본 북유럽 예술교육은 정부나 교육 기관, 전문가들의 체계적인 뒷받침을 받는데다 거의 무료 교육이어서 놀랍고 부러웠다.

핀란드, 스웨덴, 영국, 벨기에의 예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예술교육의 현주소를 알 수 있어서 좋았지만 특별히 핀란드 헬싱키의 아난딸로 아트센터, 스웨덴의 서커스 시르쾨르, 영국의 로열오페라하우스, 벨기에의 ABC 등을 집중 탐방한 이야기에선 그 나라의 구체적인 예술교육의 현주소를 알 수 잇어서 좋았다.
먼저 나온 핀란드 헬싱키의 아난딸로 아트센터 탐방이야기가 가장 인상적이다. 아난딸로 아트센터는 헬싱키시에서 설립한 예술교육 기관이다. 인구 60만인 헬싱키여서 일까? 헬싱키에 사는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방과 후 예술교육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곳이다. 모든 교육비용을 국가나 학교에서 지불하기에 아이들은 즐겁게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더구나 학교 교육을 위한 ‘공교육 보조 예술기관’의 범위에서 아이들이 예술을 알게 되고 예술을 사랑하게끔 전문 예술인들이 돕는다고 한다. 헌신과 배려, 지식과 전략으로 무장한 스태프들에 의해 운영된다는 아난딸로 아트센터의 창의적인 예술교육을 위해 현장의 전문가들이 힘을 합쳤다는 점이 좋았다. 교육은 현장을 떠나서는 공허한 이론 교육일 뿐이기에 말이다.

아난딸로 아트센터에서 아이들은 단 5분의 짧은 시간이라도 작은 극장 무대 체험을 할 수 있고, 수백 벌의 무대 의상까지 갖춘 무대 의상 보관실을 이용할 수 있고, 보관실, 가마까지 갖춘 지하 공예실에서의 도자기를 만들고 굽는 체험도 한다. 이곳에서의 예술교육을 통해 아이들은 몸의 감각을 익히고 훈련하고, 즐거이 스스로 하는 예술 활동을 통해 예술의 본질에 가깝게 접근한다. 이곳에서는 수영수업과 예술교육의 접목, 아이들의 수업을 중시하는 규칙준수, 자발성과 능동성을 키우는 예술교육, 예술의 기쁨과 행복을 즐기게 하는 교육, 인성과 예술정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예술교육을 기반으로 하기에 공교육의 보조기관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한 곳이다.
대부분의 북유럽 교육은 수월성 교육이 아닌 평등 교육을 지향한다. 그래서 북유럽 예술교육도 모든 학생들에게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제공하고, 각자의 적성을 살리는 예술 교육을 목표로 한다. 아난딸로 아트센터에서의 교육도 방과 후 예술교육이지만 공교육과 연계된 수업이라는 것과 지도자들도 공교육을 돕는 수업을 늘 염두에 두고 있다고 한다. 예술적 성장과 성숙을 목표로 국가나 지방정부가 학생들의 예술 공간을 마련하고 전문가들을 불러모아 무료로 체험하게 하고 있다니, 핀란드 헬싱키의 아이들이 그저 부럽기만 하다.

평소 예술 분야에 관심이 많았기에 ‘창의예술교육’이라는 기치 아래 서울문화재단에서 발간된 책들을 눈여겨보고 있었다. 이번에는 『유럽에서 만난 예술교육』이다. 예술교육사업 실무자, 학자, 프로듀서 등 예술교육 전문가들이 북유럽 4개국 예술교육의 현장을 직접 답사하고 쓴 보고서 같은 에세이다. 북유럽의 예술교육을 체험하기 위해 떠난 전문가들이 유럽 예술교육의 현주소를 살핀 체험담을 읽으며 유럽의 예술교육의 오랜 역사와 전통, 성숙한 예술 감각, 예술정신을 알게 된 시간이었다.
예술은 전문가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국민이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모든 아이들에게 무료의 예술체험을 제공하는 핀란드 헬싱키의 아난딸로 아트센터가 부럽다. 아이들이 방과 후 수업이나 학원, 과외를 떠도는 한국의 예술교육의 현주소를 생각하니, 한국에서도 공교육을 돕는 이런 보조 예술기관이 있어서 방과 후 예술 활동을 체계적으로 전담한다면 참 좋겠다. 더구나 수월성 교육이 아닌 평등 교육을 바탕으로 누구나 자유롭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예술교육이기에 더욱 부럽다.
대한민국 예술교육도 영혼이 없는 기술적 예술이 아니라 영혼을 담은 본능적이거나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예술교육이 되길 바래본다. 모두가 예술 정신으로 즐기는 예술교육이 되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