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블 이야기
헬렌 맥도널드 지음, 공경희 옮김 / 판미동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이블 이야기/메이블을 길들이며 상실의 고통을 이겨내는 도전기~

 

상실의 충격을 직접 당하지 않고서야 어찌 안다고 할 수 있을까 싶다. 그중에서도 가장 믿고 의지하던 이의 죽음을 직접 겪지 않고서는 상실의 공허함과 두려움을 모르는 게 아닐까 싶다. 사랑하는 이를 잃은 뒤 홀로서기의 외로움과 괴로움을 어찌 다 알 수 있을까마는, 그래도 최근 상실의 아픔을 느꼈기에 다소나마 헬렌의 고통에 공감한 책이다.

 

 

언론사의 사진 기자인 아버지와 많은 추억을 쌓았던 헬렌 맥도널드는 아버지의 갑작스런 죽음으로 방황의 시간을 보낸다. 그녀는 역사학자답게 상실과 애도에 관련된 책 속에 파묻혀 보기도 하고, 나름대로의 방식으로 상실의 아픔을 이겨보려 하지만 생각만큼 쉽지가 않다. 아버지에 대한 애정과 의지가 많았던 그녀는 막막하고 허전한 현실 속에서 주저앉고 싶고 세상과 격리되어 살고 싶다는 생각마저 든다. 그렇게 늘 든든한 버팀목이었던 아버지의 부재는 단순한 상실을 넘은 당황스런 충격을 주게 된다.

 

애정이 깊을수록 애도의 슬픔은 크고, 의지를 많이 했던 대상일수록 상실감은 깊고 넓은 법이다. 아무리 참담한 현실이라도 산 사람은 살아가야 한다.

 

헬렌은 어릴 적 꿈이기도 했던 야생 참매 기르기에 도전하게 되면서 자연과 벗하며 슬픔과 고통, 허전함을 이겨나가게 된다. 북아일랜드의 참매 사육사로부터 매서운 야생 새끼 참매를 분양받아 다정스런 메이블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메이블 길들이기를 자신의 상실의 고통을 이겨내는 대상으로 삼으며 진정한 매잡이가 되는 과정에서 고통을 견뎌내게 된다. 자연을 좋아했던 그녀에게 참매와 함께하는 삶은 치유의 삶이 된다. 더구나 그녀는 귀족적이며 남성 전유물이라는 매잡이에 대한 통념을 깨고, 자신의 어린 시절 꿈이었던 참매와 함께 살아가는 법을 자신만의 방법으로 터득하게 된다.

 

<참매>에 대한 서적을 읽으며 자신이 참매잡이가 되는 과정과 비교하기도 하고, <매 훈련법>에 대한 책도 보면서 후드와 끈을 통해 메이블과 의사소통하고 연대감을 느끼기도 한다. 그녀가 메이블과 동거하며 매를 지켜보는 와칭의 단계는 서로를 알아가는 사색의 시간이었을 것이다. 메이블을 길들이면서 매의 식성을 닮거나 매의 특징에 닮아 게걸스럽게 먹거나 아예 먹지 않거나 사회에서 몸을 숨기고 싶은 마음이 스스로 매가 되어가는 과정 같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에 대한 몰입의 시간은 치유의 시간이 되는 것인가 보다.

그녀는 메이블과 함께 하면서 상상으로라도 인간이 아닌 참매의 기분을 안다면 인간미를 더 느낀다는 것을 알게 되고, 인간이 사물에 부여하는 야생을 본래의 야생과 혼동하면서 생기는 위험도 알게 되고, 참매를 자신의 세계로 들여왔지만 매와 그녀가 각자의 행복을 공유하는 기쁨을 함께 하게 되고, 매에게 긁힌 상처가 낫는 시간을 통해 자신의 마음의 공허와 두려움, 외로움을 이겨내게 된다.

 

사랑하는 이를 잃게 되면 일단 현실을 회피하고 싶은 게 인지상정일 것이다. 하지만 헬렌은 자신의 방법으로 상실감 가득한 고통스런 현실과 정면으로 대면한다. 헬렌은 애통과 슬픔을 피하려고 현실을 떠나 무조건 야생으로 달아나는 것이 능사가 아님을 보여준다. 헬렌의 야생 참매 메이블을 길들이는 과정은 자연과 야생을 인정하면서도 서로 길들여지고 공감을 느끼는 과정이다. 헬렌은 그 과정에서 메이블에게 무수히 긁히는 상처를 얻게 되고, 그 상처가 치유되는 과정에서 마음의 깊은 상처가 서서히 치유됨을 고백한다.

 

 

인간은 상실의 고통이 산만 한 무게로 삶을 짓누를 때 아픔과 동시에 공포감을 느낀다. 황량한 공허감과 동시에 무기력함을 느낀다. 슬픔에서 살아남기 위해 야생으로 달아나야 한다는 이들에게, 무조건 대자연의 푸르고 깊은 숲 속에서 치유를 해야 한다는 이들에게 그녀는 그런 거짓의 매혹성을 이야기한다. 자연과 야생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사랑, 몰입과 집중의 경험이 애통과 비애를 치유함을 보여준다.

감정치유의 방법은 자신이 진정으로 좋아하는 일을 찾는 것이 아닐까? 애정의 대상을 잃었다면 더 깊은 애정의 대상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마음 속 감추어진 열망을 끄집어내는 것도 치유의 한 방법이지 않을까?

 

매와 사람이 익숙해지면서 서로가 길들여지는 시간들, 메이블이 먹이사냥에 익숙해지면서 주먹 위에 앉혀 자연 속으로 먹이사냥을 나서는 과정들, 일거수일투족 매와 함께 하면서 스스로 참매가 되는 과정들이 섬뜩하지만 자세하면서도 아름다운 문장들에 빨려 읽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