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위한 미움받을 용기 - 아들러 심리학의 성장 에너지
기시미 이치로 지음, 김현정 옮김 / 스타북스 / 2015년 6월
평점 :
품절


[엄마를 위한 미움받을 용기/기시미 이치로]아이와 엄마를 위한 아들러 심리학

 

사랑하는 아이들이 늘 사랑스럽게 자란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현실은 늘 이상과 다른 법이다. 집집마다 육아 전쟁이다. 육아에 대한 부모의 고민들은 시대가 흘러도 변하지 않는 것 같다.

 

이 책은 그런 문제의 원인을 찾고 해법을 구하는 책이다. 문제적 육아를 아들러의 용기 심리학에서 그 비결을 찾기에 용기 육아법인 셈이다. 특히 말썽꾸러기 아이에 대한 미운 감정을 믿음으로 바꾸는 부모심리 가이드북이다. 마찬가지로 잔소리쟁이 부모라는 타이틀에서 믿고 의지할 부모라는 타이틀로 바꾸게 될 자녀 교육 가이드북이다.

 

 

모든 부모는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고 싶어 한다. 저자는 엄마가 아이에게 도움이 되려면 엄마가 먼저 행복하라고 한다. 아이를 자신의 소유물이 아닌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야 한다. 아이의 자립을 위한다면 아이를 인격적으로 대우해야 하고, 아이에 대한 인격적 대우가 아이의 자립심도 키운다고 한다. 육아의 효과는 금방 나타나는 게 아니기에 느긋하게 기다려야 한다. 아이마다 각자의 개성이 있기에 서로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알면서도 느긋해지기 힘든 게 부모 마음일 텐데, 부모가 욕심을 버리거나 도인의 경지에 이르러야 하지 않을까 싶다.

 

문제적 행동을 보이는 아이를 어떻게 해야 할까? 만약 등교 거부하는 아이가 있다면 애정결핍일 수도 있으니 더 많이 안아주라고 한다. 엄마와의 스킨십 부족은 문제행동으로 나타난다니 엄마의 안아줌의 효과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숙제를 하지 않는 것으로 주목을 받으려는 아이는 이를 성공이라고 여기기도 하고, 사람의 반응을 언제나 기대하거나 항상 주목 받고 싶은 아이들도 있다. 이런 아이들은 부모의 관심을 독점하려는 아이이기에 바람직한 태도가 아님을 알려줘야 한다.

 

떼를 쓰는 아이는 어떻게 대해야 하나? 떼를 쓰거나 혼나며 자란 아이는 부모의 말을 더욱 듣지 않는다고 한다. 아이들은 왜 혼이 나야하는지, 자신의 행동이 왜 문제행동인지 모르기 때문에 아이의 실패를 지적하다보면 아이가 반발하거나 소극적이 된다. 혼내기는 아이가 성장할 기회를 빼앗기도 합니다. 아이를 혼내면 관계는 더욱 나빠지는데, 아이와의 관계가 가까워야 아이를 도울 수 있다.

섣불리 아이를 혼내는 것과 아이를 비판하는 것은 아이의 반항을 불러온다. 억압하지 않고 책임감을 준다면 반항하는 대신에 자신의 주장을 펼치게 된다. 자신의 주장이 억압받을 때 누구나 반항하거나 저항하는 건 맞다. 그러니 자기주장을 정당하게 하는 법을 가르치는 게 현명하겠지.

혼내는 것은 백해무익하기에 행동 결과에 대한 책임을 스스로 지게 한다. 반항적 행동이 관심을 받고 싶은 마음의 표출이기에 소속감을 부여해야 한다. 아이에게 가정의 소속감, 학교의 소속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스스로 저지른 행동에 대한 반성을 하게 해야 한다. 자신의 행동 결과를 책임지는 것은 아이의 실패를 줄이게 한다. 행동의 결과가 뻔히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아이의 행동을 지켜보기만 해야 하나? 저자는 그래도 의연하게 대하고 굳이 혼내지 말라고 한다. 아이의 적절한 행동에 대해서 주목한다면 행동수정도 되기에 아이를 혼낼 일도, 분노할 일도 줄어들지 않을까?

 

 

저자인 기시미 이치로는 <미움받을 용기>로 알게 된 작가다. 그는 이 책에서 자신의 육아경험을 바탕으로 아들러 식 육아해법을 설명한다. 아이와 어른의 동등한 관계에서 바라본다면, 아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면서 대한다면, 부모자식 관계나 스승과 제자 관계를 상하관계가 아닌 수평관계로 이해한다면, 서로에 대한 신뢰가 싹 튼다면 문제적 육아는 사라진다는 이야기다.

 

아이와 엄마를 위한 아들러 심리학이기에 현실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에서 육아는 출발할 것이다. 힘든 일과 황당한 일이 발생하더라도 솔직하게 인정하고 신뢰와 용기를 더한다면 문제적 육아가 사라지지 않을까? 육아 전문가의 책이 아니기에 다소 이해하기 힘든 말도 있지만 아이를 인격체로 대하라는 말은 지극히 동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