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 ㅣ 민음사 모던 클래식 72
요나스 하센 케미리 지음, 홍재웅 옮김 / 민음사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형제들에게 전화를 거네/비주류 이슬람의 설움을 토해 낸 독특한 형식의 소설~
독특한 형식의 소설이다. ‘나는 내 형제들에게 전화를 걸어 이야기한다.’로 시작해서 ‘나는 내 형제들에게 전화를 걸어서 이렇게 말한다.’로 끝나는 소설이다. 시종일관 친구들에게 전화를 걸거나 받는 내용만 담겨 있기에 사건의 추이는 대화의 내용으로만 짐작해야 한다.
도심에서 한 남자가 벌인 듯 한 자동차폭발 사고를 본 샤비는 주인공 아모르에게 다급히 전화를 한다. 가족처럼 여기는 친구에게 의심받는 행동을 하지 말도록 말이다. 이들이 사건과 연루되지 않았지만 몸을 사리도록 서로 전화를 하는 습관은 과거의 경험을 통해 체득한 생존기술이다.

아모르는 형제 같은 친구 샤비로부터 자살 폭탄 테러 소식을 접한 뒤 사촌인 알렘에게서도 같은 전화를 받는다. 집에서 나오지 말고 전화기도 꺼 두고 사건이 잠잠해질 때까지 불 꺼진 집에서 숨 죽이고 있으라고 한다. 아모르와 그의 친구들은 피부색이나 머리 색 등 인종적인 특징 때문에 미행을 받는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강도, 도둑, 폭발사고의 관련자들로 지목되는 현실 앞에서 저항하기보다 일단 피하라는 메시지들을 주고받는다.
스웨덴 사회의 비주류인 이슬람인들이 받는 인종차별, 을의 위치에 선 소수자의 비애가 전화선을 타고 흐른다. 결국엔 테러범이 자신이라는 착각까지 들게 만드는 현실이 묵직한 울림을 남긴다.

자살폭탄 테러가 빈번해진 요즘, 폭탄테러의 주범들은 주로 이슬람 계다. 그래서 자살 폭탄테러가 발생하면 대부분의 이슬람인들을 범인 취급하는 분위기다. 다문화 사회인 스웨덴 역시 매 한가지인가 보다. 이슬람 계 사람들이 잠재적 자살 폭탄 테러범으로 인식하게 되는 분위기, 집단적 증오의 대상이 된 이야기가 폐부를 찌르지만 그건 어쩔 수 없는 현실일 것이다. 메르스 사태로 해외를 여행하던 한국인들이 받은 오해처럼 말이다. 이슬람 계통의 사람들이 더 이상 자살 폭탄 테러를 벌이지 않는 그 순간까지 어쩔 수 없이 계속될 오해가 아닐까?
이 소설은 2010년 12월 11일 스톡홀름의 쇼핑 거리 드로토닝가탄에서 발생한 타이무르 압둘와하브의 자살 폭탄 테러를 모티브로 한 것이다. 압둘와하브의 손에 쥐고 있던 압축폭탄이 먼저 터지면서 시내가 엉망이 된 사건 이후 이슬람 이주민들은 혐오 대상으로 몰리는 설움을 겪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편견과 오해의 이야기다. 이민자, 이슬람계, 소수자는 혐오대상으로 내몰리는 현실을 다루며 약자들의 설움, 비주류의 슬픔, 왜곡과 편견에 대한 경종 같다. 그래도 이슬람인들이 더 이상 자살폭탄 테러를 자행하지 않는다면 오해는 사라지고 편견은 줄어들 것이다. 어쨌든 비주류 이슬람의 설움을 토해 낸 독특한 형식의 소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