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하지 않은 인생은 잊어도 좋다
고지마 게이코 지음, 신정원 옮김 / 싱긋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선택하지 않은 인생은 잊어도 좋다]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실패에 대처하는 자세

 

 

사회생활 중 인간관계에서 실패하거나 커뮤니케이션에서 실패한다면 누구나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실패한 인간인가 싶어 자책하기도 하고 무능하다는 평가에 의기소침해진다. 하지만 자책이나 의기소침, 실패에 대한 불안 등은 살아가는데 활력을 잃게 하면서 악순환을 거듭하게 한다. 인간관계나 커뮤니케이션에서 실패를 했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방송인이자 에세이스트인 고지마 게이코는 사람과의 관계에서 실패한 경험, 그에 대처해서 성공한 자신의 체험을 바탕으로 실패에 대처하는 자세를 이야기한다. 누군가에게 미움을 받을 수 있고, 누군가에게 외면 받을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에서 실패를 할 수 있기에 그런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고 한다. 오히려 그런 일을 당하는 경우엔 실패에 대처하는 법을 통해 자신을 알리는 절호의 기회로 삼으라고 한다. 누구나 오고가는 이야기 속에서 오해를 받을 수 있기에 실패를 수용하고 그 실패를 바탕으로 대책을 세우는 것이 현명하다고 한다.

 

누군가 나를 욕해도 실패한 게 아니다.(97)

 

실패했다는 것은 시도를 하고 행동을 했다는 말이기에, 실패도 쓸모가 있기에 실패 속에서 희망을 봐야 할 것이다. 사실, 실패를 하게 되면 아무리 좋은 말로 위로를 해도 일단 마음의 상처를 입게 된다. 실패를 쿨하게 인정하고, 대담하게 넘기려면 시간이 걸리는 법이다. 실패도 쓸모가 있다는 말, 쓸모없는 실패란 없다는 말이 위로가 된다. 모든 성공은 리스크 관리에서 시작되는 법이니까.

 

저자는 대화에서 실패했다면 상대와 관계 맺을 수 있는 최고의 기회라고 한다. 실패한 후 그 처리 과정을 통해 자신을 알릴 최고의 프레젠테이션을 할 기회라고 한다. 우리는 실패 후 대처방법에 따라 새롭게 평가되기도 한다. 만약 상대가 대화하기를 거부한다면, 말실수로 나를 오해한다면 시간을 기다리거나 예의를 갖춰 설명 하라고 한다.

 

인간적으로는 대단히 싫을지라도 절차를 제대로 거치는 사람은 신용한다. ‘좋은 사람이냐 절차를 착실히 밟는 사람이냐는 전혀 다른 문제다. (82)

 

먼저 상대가 어떠한 관점의 왜곡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나는 어떠한 왜곡을 가졌는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이 문제를 생각하는 힘이 커뮤니케이션 능력인 것이다. (145)

 

커뮤니케이션 능력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저자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관찰력이라고 한다. 관찰을 통해 상대의 왜곡하는 습관을 파악할 수 있다면 서로에 대한 이해력을 높일 것이다. 만사를 분명히 해두고, 커뮤니케이션을 양식화하거나 행동 원리를 분명히 밝혀두면 오해를 방지할 수 있고 문제도 예방할 수 있다.

 

이 세상은 아직 살 만하다라고 여길 수 있는 순간은 이미 스스로가 가지고 있는 것들 속에 수두룩하게 존재한다. (183)

 

우리는 실패 속에서 성공을 이루는 법을 나름대로 터득하고 있다. 더 많은 실패를 통해 더 많은 성공을 이룬 사람들은 실패가 두려움의 대상이 아니라 성공의 출발임을 믿고 있다. 그러니 실패 속에서 성공을 찾는다는 위인들처럼, 무수한 실험 속에서 발견을 이뤄낸 과학자의 실험처럼,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격언처럼 실패는 인생에서 절호의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일 것이다.

 

제목처럼 선택하지 않은 인생은 내 인생이 아니니 신경 쓰지 말고 잊어버리자. 그 대신에 내가 선택한 일에 집중하는 것이 현명한 일이다. 실패를 했다면 실패의 원인을 찾아 새롭게 기회를 만드는 연습을 하면 된다. 그러니 선택하지 않은 인생은 당연히 잊으면 된다.

 

 

만약 인간관계에서 실패하거나 커뮤니케이션과 소통에서 실패했다면 실패에 대처하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먼저, 자신의 생각을 존중하고, 자신의 느낌을 믿어야 하고, 원칙에 따르는 행위를 중심으로, 스스로를 믿고 사랑하는 용기를 가져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누구나 실패 속에서 성공을 이뤄왔음을 믿어야 할 것이다. 불안과 실패를 겁먹지 말고 당당하게 실패를 성공의 초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강한 정신을 위한 65가지 메시지를 통해 용기의 심리학자인 아들러의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