댱뇨약 끊을수 있다 - 최고의 당뇨병 전문의가 밝혀낸 당질의 비밀
야마다 사토루 지음, 이근아 옮김 / 이아소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당뇨약 끊을 수 있다/야마다 사토루] 당뇨병 치료, 당질의 비밀을 알면 가능하다.

 

 

주변에서 당뇨병으로 고생하는 어른들이 없지만 그래도 혹시나 도움이 될까 싶은 마음에 읽게 된 책이다. 당뇨병 환자들은 당뇨약을 평생 먹어야 한다는데, 당뇨약을 끊을 수 있다니? 진짜야?

 

저자는 일본 기타자토연구소 당뇨병 센터장 야마다 사토루 의학박사다. 그는 당뇨병에 대한 오랜 연구와 임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당뇨병 밥상을 연구했다고 한다. 당뇨병 환자들이 당뇨약을 끊고 즐거운 당뇨 밥상으로 치료를 할 수 있다고 한다.

 

 

저자는 당뇨병 치료를 위해 칼로리가 아닌 당질을 제한하라고 한다. 당질 제한 식사는 식사로 인한 혈당치나 인슐린 수치 상승을 막을 수 있다고 한다. 칼로리 제한 식사는 환자들이 꾸준히 지속하기 어렵지만 당질 제한 식사는 꾸준히 지속하기가 쉽고 치료효과가 뛰어나다니. 먹는 것을 제한한다는 데 얼마나 제한을 할까?

 

당질 제한식의 개척자인 번스타인의 당질 제한식에서는 하루 당질 섭취량 130g 이내를 말한다. 한 끼의 당질량은 40g이내다. 쉽게 말해 저탄수화물식이다.

사실 당뇨병 치료에는 운동, 약제, 식사요법을 통해 평생 동안 혈당치를 관리해나가야 하는 병이다. 과식과 운동부족에 기인한 생활습관병이다. 그러니 당뇨병 치료에는 운동과 식사요법이 필수다. 기존의 칼로리 제한 식사에서는 당질 50~60%, 지방 25% 이내, 단백질 15~25%의 비율로 식사해야한다. 하루 당질이 20g 내외다. 하지만 저자는 당뇨약 없이 당질 제한식사만으로도 효과를 보고 있다고 한다.

 

저자는 칼로리 제한 식사로 꾸준히 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이내 허기져서 대부분 실패한다고 한다. 당질의 기준이 약간만 느슨해도 맛있게 배불리 먹으면서 지속할 수 있기에 당질제한 식사가 당뇨병 치료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당뇨병 치료의 핵심인 당질이 왜 중요한가?

당질의 과다 섭취로 인해 혈당치가 높으면 혈관이 상하게 된다. 당뇨로 인해 혈관장애가 일어나면 혈액공급이 원활치 못하게 된다. 인슐린 분비가 제대로 되지 않기에 망막증, 신증, 신경장애 등 합병증에 쉽게 노출된다. 그러니 당뇨에서 가장 무서운 식후 고혈당을 관리하려면 당질 제한이 우선되어야 한다.

 

당질 제한식에서는 한 끼에 밥 반 공기 이하나 식빵 반 조각 정도로(20~40g 정도) 탄수화물을 제한한다. 그 대신 당질이 적은 반찬을 보통 식사처럼 많이 먹는다. 만약 밥을 먹었다면 감자나 면 종류, 전분과 단 것을 제한하는 것이다. 당질이 많은 음식으로는 밥, , , 호박, 연근, 옥수수, 갈분, 고구마, 감자, 토란, 떡이나 과자, 설탕과 엿, 조미료가 많이 든 음식이다.

당질이 적은 음식은 어패류나 해조류, 알류, 육류, 버섯류, 흰 우유 등이다.

 

임상 결과로 나온 당질 제한식의 장점을 보자.

영양요법의 주목표인 혈당 관리를 개선해 인슐린의 변동을 억제한다. 칼로리 제한식 정도의 감량 효과가 있다. 탄수화물을 지방으로 치환하기에 동맥경화증에 도움이 된다. 대사증후군도 개선된다.

 

의학적인 정보를 담은 책은 유비무환의 관점에서 읽게 된다. 그런 책을 읽을 때마다 생활습관도 바꾸게 된다. 책을 통해 얻은 정보를 주변 어른들에게 전달하기도 하고, 나 자신의 건강에도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병 없이 살려면 의자부터 끊어라>는 책을 읽은 뒤로는 의자에 앉기 보다는 서 있거나 움직이게 된다. 치매예방에 대한 책을 읽은 후로 어른들에게 도움이 되는 조언도 하게 된다.

 

 

이번엔 당뇨병에 관련된 책이다. <당뇨병 끊을 수 있다>

당뇨병으로 고생하는 이들에겐 도움이 될 정보가 아닐까?

아직은 주변에 당뇨병 환자가 없지만 건강을 위해 미리 조심을 하게 된다. 건강은 건강할 때 지켜야겠지. 해서 적어도 오늘만큼은 과자를 줄이거나 아이스크림을 줄이거나 밥 공기를 덜어내거나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