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 잠언 500선
범립본.홍자성.장조 지음, 신동준 옮김 / 인간사랑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양 고전 잠언 500]필사의 재미까지 주는 동양고전 잠언집

 

 

 

마음의 평정심을 갖기 위한 방법이 여러 가지일 것이다. 운동이나 요가, 등산, 독서나 취미 생활, 필사, 명상, 걷기 등 다양할 것이다. 그 중에 인생의 지침도 얻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으려면 고전읽기도 좋은 방법일 것이다. 고전엔 삶의 지혜와 통찰이 농축되어 있기에 늘 가까이 하고 싶은 책이다. 더구나 동양고전은 지역적 끌림이 있는 책이다.

 

 

 

 

동양 고전 잠언 500

동양의 3대 잠언집인 명심보감, 채근담, 유몽영에서 뽑은 잠언들이라니, 정말 멋지다.

명나라 초기에 지어진 명심보감은 원나라 말기 지금의 철강성 항주인 무림 출신의 학자 범립본의 저서인데, 저자를 고려 말의 문신 추적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고 한다. 청대 중기에 나온 채근담은 홍자성의 저서다. 임어당에게 영감을 주었다는 책인 유몽영은 청나라 장조의 저서다. 이 세 권의 책에서 고르고 고른 내용들이라니, 근사하지 않나.

 

목차를 보니, 권학, 수신, 제가, 치평, 자연, 출세 등 6개의 테마로 나뉘어져 있다. 그 중에 수신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자연과 출세에 대한 잠언이 많은 편이다. 잠언 필사 노트까지 있기에 필사의 재미, 사유의 여유를 느끼는 시간이었다. 처음에 나온 권학부터 읽으며 필사해 보았다. 필사는 처음이지만 다들 필사, 필사 하기에 나도 한 번쯤 해보고 싶었던 필사다.

 

 

 

 

널리 배워라.

공자의 제자 자하가 논어』「자장에서 말했다.

널리 배우면 고루함에 빠지지 않고, 뜻을 돈독히 하면 세속으로 흐르지 않는다. 간절히 물으면 아는 것이 정밀해지고, 가까이 있는 것으로 미뤄 짐작하면 깨닫는 것이 실질에 가까워진다. 어짊이 바로 그 안에 있다.”

 

子夏曰,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 (권학)

자하왈,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의.” (13)

 

 

 

 

폭넓게 보고 듣고 익히고, 자신의 뜻을 굳건히 세우면 주변의 유혹에도 흔들림이 없을 것이다. 호기심을 갖고 질문을 던지는 사람은 깊이 있는 앎에 이르를 것이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사람은 자신에 더욱 잘 알게 되겠지. 마지막 문구는 어떤 의미일까. 가까이 있는 것으로 미뤄 짐작하면 깨닫는 것이 실질에 가까워진다니, 궁금하다. 주변 상황을 보고 유추하거나 추리하는 능력이 커지면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된다는 말일까. 분위기 파악이 중요하다는 말일까. 알 것 같다가도 모르겠다. 좀 더 생각해 봐야겠다.

 

군자의 길로 나아가라.

예기』「곡례 상에서 말했다.

널리 들어 기억하되 양보하고, 선을 돈독히 하여 실행하되 게으르지 않게 한다. 이를 일컬어 군자라고 한다.”

 

禮記, “博聞强識而讓, 敦善行而不怠, 謂之君子.”(권학)

예기, “박문강지이양, 돈선행이불태, 위지군자.”(13)

 

군자란 상황이나 형편을 잘 듣고 잘 기억해서 잘 양보하는 사람일 것이다. 부지런히 몸을 움직여 선행을 적극 실행하는 사람일 것이다. 부지런히 선을 행하기가 결코 쉽지 않지만 마음속의 선한 생각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봄비는 독서하기에 좋고, 여름비는 바둑을 주기에 좋고, 가을비는 옛 일을 추억하기에 좋고, 겨울비는 술 마시기에 좋다.

春雨宜讀書, 夏雨宜弈棋, 秋雨宜檢藏, 冬雨宜飮酒. 춘우의독서, 하우의혁기, 추우의검장, 동우의음주. (86)

 

 

 

 

가장 끌리는 건 자연인데, 천천히 음미하고 필사하며 사유를 즐기고 삶의 통찰을 느끼고 싶다.

동양 고전 잠언 500유불도 삼교합일의 관점이라는 설명도 의미 있게 다가온다. 동양고전을 정수를 뽑은 500, 오랜만에 한자를 쓰고 생각하며 유유자적한 시간이었다. 필사의 재미와 생각의 즐거움을 준 책이었다. 매일 한 구절 씩 필사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