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25시 - 공부벌레들의 잠들지 않는 열정과 근성
싱한 지음, 김경숙 옮김 / 스타북스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하버드 25]책임감과 인간 존중, 사고력과 평정심을 키우는 하버드 기질들....

 

강자의 기질이나 리더의 자질은 본능적으로 타고 나기보다 오랜 기간 훈련과 연습에 의해 몸에 밸 정도로 습득된 자질이라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어릴 적부터 가정에서, 학교에서, 사회에서 길러야 할 강자의 기질은 무엇일까. 많은 책에서 리더십을 이야기하고 있기에 익숙한 주제지만 하버드 학생들의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신선한 충격이다.

 

 

하버드 대학교는 널리 알려진대로 세계 최고의 대학교다. 노벨상 수상자 37, 퓰리처상 수상자 33, 대통령 7, 부통령 12, 미국 500대 기업의 리더 중 3분의 2, 수많은 기업가, 세계에 흩어진 학자와 교수들을 배출한 학교다. 밤새 불이 커진 학교, 졸업생들의 학교 기부가 많은 대학교, 소박한 외모에 공부에 대한 열정적인 학생들, 졸업 이후에 두드러지는 졸업생들의 독립적이고 진취적인 활동 등은 하버드를 다른 대학과 차별화시킨다. 하버드생들이 이렇게 남다른 이유는 무엇일까. 저자는 교수들을 통해 훈련되어지는 리더의 자질, 본인들의 노력으로 이뤄내는 강자의 기질에 있다고 한다.

 

책에서는 침착한 태도, 세심한 생각, 대담한 마음, 넓은 도량, 솔직함과 성실함, 책임감 등 6가지 주제로 하버드의 기질을 해부하고 있다.

 

강자의 기질인 침착한 태도를 키우는 방법을 보자.

흔들리지 않는 마음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간사한 입을 단속하는 것이다. 감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 말고 힘든 일은 절대 입 밖에 내지 않는 것이다. 묻기 전에 먼저 스스로 사고 하는 습관을 들이고, 중요한 일은 함부로 결정하지 말며, 바른 자세로 걷고, 침착하게 말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다.

 

저자는 불평불만이 많거나 부정적인 것은 약자 기질이지만 불평불만을 다스리는 것은 강자 기질이라고 한다. 사실, 사사건건 불평하기보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자신의 자질을 향상시키려 노력하는 것은 강자의 모습이다. 반면에 불평은 무능한 약자 기질이고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기도 하다.

잔소리를 멈추게 하는 하버드 기질을 보자. 현재 상황을 정확히 인식한 다음에 완곡한 대화나 재미있는 대화를 나눈다. 당연히 반복적인 명령조는 피해야 한다. 감정을 표출하는 대신 좋지 않은 감정을 발산시킬 다른 출구를 찾는다. 예를 들면, 주의력을 전환시킬 수 있는 것 찾기,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것 찾기, 환경적인 요건을 바꾸기 등이다. 직면한 문제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화제를 확대하지 않는다.

 

하버드 기질은 쓸데없는 감정을 버리고 문제해결책을 찾는 것이다.

부정적인 감정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일은 내면 성격에 악영향을 끼친다. 감정으로 드러내기 보다 감정 컨트롤이 영혼을 건강하게 한다. 침묵은 하되, 끊임없이 결과를 생각하고, 사고를 하면서 늘 자신을 일깨운다. 감정 컨트롤을 통해 경험과 도량을 넓힌다. 역경을 고통이 아닌 즐거움으로 생각한다. 수업 중에 행해지는 결정을 내리는 훈련이 하버드에서는 중요한 과정이라니, 놀랍다.

 

하버드 기질인 대담한 마음을 키우고 싶다면...... 자신감 없는 말을 사용하지 마라. 당당하게 자신의 관점을 드러내라. 궁핍한 환경 속에서도 즐겁게 생활하라, 일이 마음대로 진척되지 않을 때는 잠깐 쉰다. 누군가 당신을 감시하고 있다고 생각하라. 결정한 일을 쉽게 번복하지 마라. 알고는 있으나 실천은 쉽지 않은 것들이다.

 

처음부터 하버드 기질이나 강자 기질을 가지고 태어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가정 교육으로 터득한 이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약간의 강자 기질을 바탕으로 대학 생활 중에 이뤄진 훈련과 노력의 결과물일 것이다. 수업 중이나 면담 중, 교수들에게 듣는 조언들이 장기적으로는 강자로 키우기 위한 전략이었다니, 대단하다. 열정과 애정 가득한 교수와 학생들, 우리의 현실과 달라도 많이 다른 모습이다.

 

 

책임감과 인간 존중, 사고력과 인격, 가치 존중, 평정심 등을 키우는 하버드 기질이다. 지식 습득은 쉬우나 그 실행은 어려운 법이다. 지식이 그저 이론에 머무르지 않게 학생들을 끌어내는 교수들,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계속 발전하기 위한 실천하고 연습하는 학생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하버드 기질을 만들었을 것이다. 말하기는 쉬우나 몸에 배기는 어려운 하버드의 강자 기질이다. 자신을 위한 기질이기도 하지만 사회를 위한 기질이기도 해서 밑줄치며 읽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