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품은 영어 이야기 - 천부적 이야기꾼이 들려주는 영어의 역사
필립 구든 지음, 서정아 옮김 / 허니와이즈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세계사를 품은 영어이야기/필립 구든/허니와이즈] 영어의 흔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 재미있다!^^

 

모든 사물에 역사가 있든 언어에도 역사가 있을 것이다. 언어 역시 탄생과 성장 소멸의 과정에서 살아남거나 사라져버리는 부침을 겪어왔다. 지금 세계공용어의 지위를 꿰찬 영어의 흔적을 따라가는 세게사를 보며 이런 생각이 든다. 정복과 침략의 역사 위에 얻은 영어의 지위가 계속 먼국공용어로 존재할 수 있을까. 세상엔 영원한 것이 없다는데...... 그럼 다음 타자는 어떤 언어가 될까.

 

 

세계의 관광지엔 영어 표기가 당연한 듯 게시되어 있다. 국제 회의, 국제적 모임 등도 영어 표기는 당연한 듯 보인다. 국제 항공업계는 안정성을 고려해 표준 언어나 상용어로 영어를 의무화했다. 저자는 그런 바탕에 영어의 개방성과 수용성, 단순성과 유연성 덕분이라고 한다.

 

영어가 속한 인도 유럽어군의 전파과정을 보자. 인도-유럽어는 히타이트어, 토카리어, 고트어 등 다양한 고대 언어를 파생시켰고 이들 바탕으로 스페인어, 독일어, 영어로 갈라졌다고 한다. 그 중에서 영어가 가장 빠르게 전파되고 변화하면서 전 세계 공용어가 된 배경은 무엇일까.

 

영국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인 영어의 시작은 어디에서 비롯된 걸까.

켈트족으로 시작된 영국이지만 게르만족의 일파인 앵글로색슨족이 정복을 하게 되었다. 제대로 된 글자가 없던 앵글로색슨족이 켈트 어를 이기고 고대 영어를 발전 시킨 위력은 단어의 힘이었다고 한다. 지금도 동전엔 라틴어의 흔적이 있고, 켈트 어는 지형이나 높낮이 정도로 남아 있다고 한다.

이후 로마제국의 침략도 받았다. 기원전 54년 율리우스 카이사르 군대의 영국 침공, 기원후 43년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영국 상륙은 로마제국의 공용어인 라틴어를 영국으로 들여왔다. 고대 영어와 노르만 프랑스어의 대결에서도 승리자는 영어였다. 종교 개혁, 세익스피어 시대를 거치며 언어의 전파가 이어진다. 해가 지지 않던 나라였던 식민지 시대는 영어 사용자를 늘리는 데 결정적 시기였을 것이다. 이후 신대륙으로 건너간 청교도인들의 미국 독립과 팍스아메리카나는 영어를 세계 공용어로 만드는데 한 몫 했을 것이다.

 

SKY에 대한 이야기가 흥미롭다. 고대 노르드어 sky가 처음에는 구름의 뜻으로만 쓰였다고 한다. ‘덮다라는 단어에서 파생한 sky하늘을 뜻하기까지 수백 년의 세월이 걸렸다니. sky가 영국 시인 제프리 초서의 시엔 구름으로 묘사되어 있고 셰익스피어 시대엔 하늘이나 창공으로 묘사되고 있다니, sky의 변천사가 재미있다.

바이킹의 호전적 전사 기질이 영어에도 남아 있다고 한다. berserk(er)은 광폭한 전사를, berserkr곰 가죽으로 만든 외투나 상의’, bare-shirt는 상처를 입지 않은, 혹은 갑옷 없이 싸울 정도의 무모한 전사를, , ransnak은 허리춤에 차는 장검이나 단검, club은 곤봉, slaughter는 도살하다를 말한다. 잔인하고 호전적인 전사 기질이 담긴 단어들이다.

 

초기 영어에서 시작해 중세영어, 셰익스피어 시대, 신대륙, 존슨 박사의 시대, 미국 독립과 19세기 영어, 영어의 전파와 오늘날의 영어, 영어의 미래, 영어와 정치 등 영어의 탄생과 성장, 성숙과 전파 등의 이야기가 꽤나 흥미롭다.

 

세계사를 언어 중심으로 들려주는 이야기이기에, 분명 색다른 여행이다. 영어의 흔적을 따라가는 시간 여행이기에, 단언컨대 생소한 여행이다. 영어의 자취를 따라가다 보면 문화 전파와 문화 이식의 역사를 볼 수도 있고, 침략과 정복의 역사도 볼 수 있기에 세계사의 씁쓸한 뒷면을 보는 듯했다. 힘 센 자의 영향력은 정치, 경제, 언어, 의식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으니…….

 

세계 공용어가 된 영어의 기저엔 팍스브리태니카, 팍스아메리카나가 있다. 그런 정복의 시기에 영어사용권자들이 세계를 장악하면서 이룬 쾌거다. 물론 그 바탕에 깔고 있는 라틴어라는 어원도 그리스로마 문화에 대한 향수를 자극하기에 이점도 있었으리라. 셰익스피어 문학 등 영국 문학이 미친 영향도 있었을 것이고......

 

 

성경은 바벨탑 사건 이전엔 세계가 하나의 언어를 사용했다고 하지만 세계가 모두 하나의 언어를 쓴다면 무슨 재미로 살까. 아니면 하나의 언어로 통일된다면 더 편리하게 살까.

영원한 것이 없는 세상이라는데 언젠가 영어도 사멸의 시간이 올까. 콩글리시, 싱글리시, 칭글리시로 바뀌고 있는 요즘, 영어의 위력이 점점 커진다고 볼 수 있을까, 아니면 약세라고 볼 수 있을까. 아무래도 언어의 최다 사용자를 자랑하는 중국어에 밀리진 않을까. 사용 인구수로 중국 보퉁화가 세계 최대인데다 앞으로의 중국의 정치적, 경제력 위력도 언어 사용에 분명 영향을 미칠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