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워지지 않는 나라
이제홍 지음 / 푸른향기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지워지지 않는 나라/이제홍] 나라를 지켜준다는 금동 대향로에 숨겨진 비밀들, 놀라워라!~

 

소설을 읽으면서 역사 공부를 할 수 있다는 건 분명 덤으로 얻는 선물이다. 백제의 보물인 금동 대향로에 감춰진 이야기가 황하문명보다 천 년을 앞섰다는 홍산문화와 연결된다니 놀라운 이야기다. 그저 섬세하고 우아한 아름다움을 생각했던 백제의 금동 대향로가 던지는 의미와 상징성이 이리도 깊고 대단한 줄 처음 알았다. 소설을 읽으면서 홍산문화, 백제 역사를 더 알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히 들 정도였다.

 

 

우리 역사에서 고구려·백제·신라 삼국 중에서 백제의 역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이다. 그래서 가끔 그런 의문이 든다. 고구려의 왕족이었던 온조와 비류가 소서노와 함께 고구려를 떠나 백제를 세울 때의 높은 기상과 원대한 포부는 어디로 갔을까. 조상의 땅인 부여를 되찾고자 부여 씨라는 성 씨를 쓰면서 부여를 잊지 못했던 이들은 어쩌다가 신라와의 싸움에서 지게 되었을까. 백제가 단지 일본에 문화전달자로서의 역할만 했을까.

 

소설에서는 백제 유물에 관심이 많은 전문가들이 금동 대향로에 숨겨진 백제 역사의 내밀한 이야기를 추적한다.

이야기는 어느 여름날 부여 궁남지에서 한 남자의 시체가 발견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의문의 변사체는 서울에서 문화재청에 근무하며 수리 및 수리관리업체를 맡고 있다는 백동운이다. 그는 한국의 금동 대향로 전문가다. 금동 문화재의 달인인 백동운이 마지막으로 통화한 이들은 백제사 연구에 일생을 건 서민준과 부여박물관 학예사 박은서였다. 은서의 동창인 조만선 형사 등은 역사토론을 상당히 좋아하고 태권도와 유도 유단자, 쌍절곤으로 호신술을 익힌 서민준을 용의 선상에 올리게 된다.

 

그 과정에서 민준으로부터 듣는 금동 대향로가 황하문명보다 천 년을 앞섰다는 홍산문화와 관련 있고, 한 나라 때의 박산향로를 모태로 한 불교문화와 도교의 신선사상이 결합된 작품임을 알게 된다. 더구나 금동 대향로가 사라졌을 때 그 나라들은 쇠락했고, 금동 대향로를 신성시 하며 지켰을 때 한나라와 북위처럼 번성했으며 지금도 여전히 한국의 수호신 역할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듣게 된다. 무엇보다 금동 대향로의 손잡이가 봉황이기에 암수 한 깡으로 다니는 봉황의 특성 상 금동 대향로도 2개일 것이라는 이야기도 듣게 된다. 그리고 그런 상서로운 유물을 중국과 일본이 노리고 있을 지도 모른다는 사실도 알게 된다. 하지만 범인을 잡기도 전에 금동 대향로가 도난당하고 또 다른 희생자들이 생기게 되는데......

 

살인과 유물 도난에 얽힌 미스터리를 풀어가는 여정이 한중일 삼국지요, 유물과 역사 첩보전 같다. 그 과정에서 한중일 삼국의 유물 전문가들이 벌이는 역사 논쟁을 통해 전혀 몰랐던 새로운 사실들을 접하게 된다.

 

참고로, 금동 대향로는 백제의 위덕왕이 신라와 싸우다 전사한 성왕을 명복을 위해 능사를 창건하고 금동 대향로를 만들었다고 한다.

금동 대향로의 중간부분엔 연꽃으로 둘러싸고 있고, 연꽃잎 속이나 연잎 사이에 각양각색의 동물과 인물을 배치된 특이한 문양이다. 게다가 용문이나 봉황문 등도 있기에 불교적 이미지와 유교적 이미지, 도교적 이미지가 결합된 왕의 사찰에서 쓰던 향로였다고 한다. 이것은 중국 한 나라 때의 박산향로를 모태로 한 불교문화와 유교, 도교의 신선사상이 결합된 작품이다. 불교적 이상세계와 도교의 신선세계가 하나로 융합된 백제인의 정신세계를 보여주고 백제를 수호신의 상징으로 여겼던 유불선이 합치된 향로다. 나라를 지켜준다는 금동 대향로에 숨겨진 비밀들, 모두 놀라운 우리 역사 이야기다.

 

무심코 보았던 금동 대향로의 역사적 비밀, 동이족과 연관된 네이멍 지역의 홍산문화의 진실, 산동 반도와 베트남, 일본까지 진출했던 백제의 담로 제도, 다시 고개를 드는 일본의 정한론, 한중일 삼국의 역사관 차이 등이 연쇄살인범 체포와 유물 도난과 함께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부여박물관의 상징적 의미인 금동 대향로에 감춰진 의미, 떠다니는 섬의 미스터리, 한중일의 복잡한 역사적 관계와 맞물리는 우리의 문화재 유출 등을 통해 중국의 동북공정에 맞설 우리 고대문화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 소설이다.

 

   

백제 성왕의 백제 중흥은 국호를 남부여라고 했을 정도로 백제의 고토인 부여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고도로 계획된 사회였던 홍산문화의 중심지인 츠펑은 적석총과 빗살무늬 토기로 유명하다고 한다. 적석총과 빗살무늬 토기는 황하의 토광묘, 채도토기, 용을 상징으로 쓰는 문화와 차이가 난다니, 홍산문화의 유물들이 만주와 한반도에 걸친 우리 조상인 동이족의 흔적이기에 우리의 고대문화와 연결된다니, 더구나 옥으로 만든 새 모양, 곰 모양의 장신구는 단군신화를 연상케 하기에 일부 학자들은 츠펑 근처인 이우뤼샨을 단군이 도읍으로 정했던 아사달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니, 모두 놀라운 이야기다.

 

유물과 유적, 기록이 있는 한 역사는 지워지지 않는다. 역사를 잊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고 했다. 중국의 동북공정과 일본의 독도 망언을 보며 우리는 얼마나 이들의 주장에 논리적으로 답할 수 있는가를 생각해 보게 된다. 일본인과 중국인들이 자신들의 고대사에 기울이는 관심만큼 우리는 우리 역사를 얼마나 알고 있는가 백제 역사, 홍산 문화 등에 대해 더 자세한 이야기가 알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