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녀들 소설 조선 연애사 1
조현경 지음 / 사람in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의 연애사 1. 하녀들]격동의 조선 초기를 살았던 청춘들의 쫄깃한 러브 스토리

 

지금 jtbc에서 금·토요일 밤에 방영 중인 <하녀들>을 원작소설로 먼저 만났다. ‘소설 조선 연애사시리즈의 제1편인 조현경 원작의 <하녀들>을 읽으면서 고려 말과 조선 초의 어지럽던 신분질서에 휘둘리던 청춘들의 연애사를 볼 수 있었다.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을 참조했다던 최범서의 <조선왕조야사록>을 먼저 읽었기 때문일까. 정사가 아닌 야사에서 볼 수 있었던 이야기들이 로맨스와 함께 버무려져 더욱 슬프고 극적이었다.

 

조선이 개국하던 시기의 야사와 그 시절의 러브스토리가 얽혀 있기에 청춘남녀들의 멜로도 평탄치가 않다. 스스로의 힘으로 어찌 할 수 없었던 신분질서 속에서 양반에서 노비로, 노비에서 왕족으로, 정치에 무심하던 왕자에서 빼앗긴 나라를 찾으려는 반란 세력의 우두머리로 거듭나는 청춘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운명의 장난이 너무나도 얄궂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심하고 야속한 시절이건만 시대를 탓하지 않고 스스로의 삶과 사랑을 이루려는 청춘들, 이들의 신분과 빈부의 귀천을 넘는 경계를 허문 러브스토리이기에 더욱 애잔하면서도 쫄깃한 재미와 전율이 이는 흥미를 더해준 역사소설이었다. 지금 드라마로 인기리에 방영 중이기에 스포가 될 수도 있어서 글을 쓰기가 어렵다.

 

고려 말과 조선의 초기는 격동의 시기였다. 왕이 바뀌면서 지배세력이 바뀌고 신분이 급변하던 시기였다. 충신이 역적이 되고 역적이 충신이 되던 시절이었다. 배반과 반란이 난무하던 시기였고 노비는 인권조차 없던 재산이자 소유물이었던 시절이었다.

  

양반가에서 노비로 전락하는 이, 노비의 신분에서 왕자로 등극하는 이, 궁궐의 무수리에서 첫사랑의 노후를 수발드는 궁인 등의 러브스토리엔 안정된 신분조차 장담할 수 없을 정도기에 극적 긴장감을 동반한다.

 

개국공신인 부원군 국유의 외동딸인 국인엽은 아버지가 역모에 가담했다는 누명을 쓰고 참수를 당하면서 노비로 전락한다. 더구나 동생이라고 여겼던 윤옥의 집에 하녀로 가게 되면서 비루하고 참담한 신세가 된다. 개성에서 살 때부터 정혼자였던 은기는 윤옥과 결혼을 하게 된다. 하지만 윤옥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이는 건장하고 잘생긴 매력적인 수노 무명이었다. 차츰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자각하게 되면서 인엽은 수노였던 무명과 가까워진다. 하지만 수노라고 여겼던 무명은 이방원의 아들이라는 징표를 갖고 있는데......

 

소설에서는 고려 왕족의 고려 회복 운동, 왕자의 난과 이성계의 함흥 행성이 차려진 배경, 한 번 가면 죽음인 함흥차사의 이야기, 꼭두각시 왕인 정종, 이방원이 고려 왕족을 강화도 앞바다로 유인해 몰살한 일, 두문동에 고려 충신 72명을 불을 놓아 죽인 사건, 고려의 백성으로 살고자 한 이들의 결집인 만월당 사건 등 야사에서 만날 수 있는 이야기들이 빼곡이 들었다.

 

 

정인에서 종으로, 종에서 왕자로 급변하던 시절의 사랑은 비극적이다. 진실을 숨겨야 했고 서로의 속마음도 묻어야 했기에 오해와 미움, 복수와 비극은 당연한 결말이었다. 천지가 여러 번 바뀌던 시절, 누가 상상이나 했을 까. 나라가 망할 줄, 왕족이 천해질 줄, 귀족이 하녀가 될 줄 누가 알 수 있었을까. 한 치 앞을 볼 수 없었던 시절이었기에 모진 운명과 드라마틱한 사랑이 그려진 조선 청춘들의 이야기다. 격동의 조선 초기를 살았던 청춘남녀의 쫄깃하고 흥미진진한 러브 스토리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77 2015-08-03 14: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정종은 꼭두각시 왕이 아닌 당당한 왕으로서의 위엄을 갖추고자 노력했습니다.